서지주요정보
Discourse on nuclear safety after fukushima disaster among Korean twitter users =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 안전에 대한 한국 트위터 사용자의 담화 연구
서명 / 저자 Discourse on nuclear safety after fukushima disaster among Korean twitter users =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 안전에 대한 한국 트위터 사용자의 담화 연구 / Seung-Hoi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6].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895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16010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 the era of hyper-connected world, a catastrophe in one country is broadcasted live and can affect policies in other countries. The 2011 Fukushima Daiichi nuclear disaster in Japan is one such prominent case that influenced many countries. Based on analyzing 158,964 tweets generated over a 4-year period, this paper presents a model of risk perception on radiological accidents in Japan's nearest neighbor, Korea. We explain the process through which continual media broadcasts of foreign risks (i.e., disaster in Japan) become perceived by Korean social media users as internal risks and hence call for agenda setting and participation at a societal level. Our model empirically presents a mechanism that could transmit perception and awareness towards risk across cultural boundaries.

한 나라의 대형사고는 전세계에 실중계되고 다른 나라에서도 위험인식이 되어 여러 정책의 변화를 일으킨다. 그 급격한 사건 중 하나가 최근이 일본 대지진 및 원자력 사고이며, 이를 통해 세계 각국의 원자력 정책이 변경되었다. 우리는 4년간의 소셜미디어 데이터 수집을 통해 한국의 온라인 미디어 사용자들이 일본에서 발생한 위험인식을 어떤 과정을 통해 일으키는지 관찰하고 이에 대한 모델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온라인 소셜 미디어에서 장기간에 걸친 한국과 일본에 대한 언급의 빈도에 소셜 미디어 활동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의미망 구축을 통하여 해외의 불안과 위험 요소가 시간에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관찰한다. 이를 토대로 위험인식이 전혀 다른 사회구조 사이에서 어떻게 전파 혹은 재생되는지의 모델을 제시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16010
형태사항 iv, 26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승회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eeyoung Cha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차미영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21-23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