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STAP세포 사건 보도 과정에 대한 연구 : ‘황우석 사건의 교훈’이 과학 보도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 focusing on Korean media's coverage of STAP cell research fabrication issue
서명 / 저자 STAP세포 사건 보도 과정에 대한 연구 : ‘황우석 사건의 교훈’이 과학 보도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 focusing on Korean media's coverage of STAP cell research fabrication issue / 김한별.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6].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8866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SJ 1600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 January 2014, Japan and US researchers published what purported to be the easiest and the most powerful new method for turning adult cells into stem cells in Nature. The authors named the new cell the "STAM(Stimulus-Triggered Acquisition of Pluripotency) cell". But Haruko Obokata, the lead author of the papers was found guilty of misconduct and Nature retracted the STAP cell papers. This scandal reminds Hwang’s Scandal in 2005. Hwang, who was a famous Korean stem cell researcher, fabricated a series of experiments, which appeared in Science. Covering his scandal, Korean news media went through a failure of truth-telling. At that time many Korean journalists said that they have learned the lesson from the failure and their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science journalism have changed. However the Korea media's STAP cell coverage has not changed dramatically. To explore the reason and background, this study conducted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1 journalists who covered this issue. Consequently this study found that the Hwang' lesson was practically lost on journalists who covered STAP cell scandal. Journalist said they experienced the same 'situational barrier' and failed again to investigate the scandal and provide explanatory reporting. Another major reason of repeated failure was a deep structural problem of Korean media's news-gathering and reporting system. It didn't acknowledged the independency and specialty of the science journalism. So it trusted not science journalists but correspondents in Japan with a reporting the STAP cell scandal. Most science journalists were excluded from covering the issue.

본 연구는 2005~2006년 황우석 사건 보도의 경험이 2014년 발생한 ‘닮은꼴 사건’인 STAP세포 사건 보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했다. 국내 일간지 7곳, 과학 전문 온라인 매체 2곳의 보도 내용을 조사하고, 보도에 참여한 기자 11명(전·현직 일본 특파원 2명 포함)을 심층 인터뷰했다. 그 결과 STAP세포 사건 보도가 황우석 사건 보도와 상당 부분 닮았음을 확인했다. 두 사건은 과장된 연구 성과 보도→의혹 제기→논조 변화→연구 윤리 비판으로 이어지는 유사한 보도 패턴을 보였다. 초기에는 연구 성과의 과학적 의미보다 연구자 개인을 집중 조명했다. 조작 사실이 드러난 후에는 거꾸로 연구자 개인에게 모든 비판의 화살을 집중했다. 기자들을 심층 인터뷰한 결과, 이 같은 ‘판박이 보도’는 ‘황우석 사건의 교훈’이 취재현장에 제대로 뿌리내리지 못한 탓으로 분석됐다. 기자들은 황우석 사건 이후에도 저명 과학저널과 연구 기관에 대한 신뢰를 거두지 않았다. 언론사의 구(舊)시대적 조직·시스템 문제도 여전했다. 독립된 과학부서가 없어 과학 담당 기자들은 이질적인 부서에서 혼자 ‘섬’처럼 일했다. 담당 부서장들은 과학에 관심이 없거나 전문 지식이 부족하다는 평을 들었다. 국경이 사라진지 오래된 과학 분야를 다루면서 여전히 ‘국경’을 기준으로 기사 가치를 판단하고 담당 기자를 결정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SJ 16006
형태사항 iv, 59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Han Byul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진달용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Dal Yong Jin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52-57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