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Identifying range anxiety of electric vehicle drivers using psychophysiological measures = 정신생리학적 측정을 통한 전기자동차 운전자의 주행거리 불안 현상 연구
서명 / 저자 Identifying range anxiety of electric vehicle drivers using psychophysiological measures = 정신생리학적 측정을 통한 전기자동차 운전자의 주행거리 불안 현상 연구 / Seyun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6].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884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CE 1600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Electric vehicles were developed as the alternative eco-friendly transportation to reduce dependen-cy on fossil fuel which primarily consumed for riding cars by 42% percent of entire oil consumption of USA. However, technic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from short driving range, slow recharging speed and fewer recharge stations still limit the broad acceptance of electric vehicles to the public. This study focused on the phenomenon of range anxiety which is treated as one of the great barriers for people to change their vehicle from gasoline or diesel based to electricity driven. Range anxiety can be defined as drivers’ anxiety about the limited range of their electric vehicles and underdeveloped infrastructure of charging opportunities. Unlike previous researches which surveyed electric and non-electric vehicle drivers for expressing their feeling about the range anxiety or analyzed driving patterns by simulations, this research first attempted to analyze psychophysiological measures recorded from field operational test of electric vehicles to observe various signs from range anxiety. Psychophysiological measuring which deals with the relations between psychological status and re-sulting physiological responses, has an advantage of providing unconscious emotion without detailed sur-veys while analyzing psychophysiological data needs paying close attention from noise and volatility. Among various psychophysiological measures, electroencephalogram (EEG), electrocardiogram (ECG) and pupillary size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and they first processed to extract anxiety-related indexes for representing drivers’ mental status while driving electric vehicles. In case of EEG, intensity of each brain wave was extracted by short-time Fourier transform and high $\beta$/$\alpha$ value was calculated which is related to subjects’ stress and anxiety and heart rate was extracted from ECG data by analyzing detail structure of signals. Also, eye tracking data was used to figure out drivers’ eye fixation history to the instrumental pan-el areas showing state of charge (SOC) status to observe their anxiety change after they know current SOC status. With analyzing three anxiety-related indexes of test drivers extracted from psychophysiological measuring and recorded vehicle data like SOC, velocity, GPS, this study tried to figure out signs of range anxiety with identifying typical phenomena affected by range anxiety. For some subjects and moment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cases where drivers instantly feel more anxiety when SOC suddenly decreases and feel more or less anxiety after they check current SOC status or driving range value by eye fixations. This would be the hint to unearth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 information and personal feeling related to range anxiety in electric vehicle driving and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psychophysiological measuring to the similar studies.

한정된 화석연료 매장량으로 인해 대체에너지 개발에 대한 전세계적 관심이 높은 가운데, 미국 기준 전체 원유 소비량의 42%를 차지하는 휘발유 및 경유 자동차를 대체할 전기자동차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다. 하지만 전기자동차는 약 100~200km 의 짧은 주행거리, 느린 충전속도, 부족한 충전소 인프라 등으로 인해 유발되는 여러 심리적 한계로 인해 대중에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며, 본 연구는 그 중 하나인 주행거리 불안(Range Anxiety) 현상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행거리 불안 현상은 전기자동차의 한정된 주행거리와 부족한 충전인프라로 인해 일어나는 운전자의 불안 현상이라 정의할 수 있다. 특히 자동차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패턴 추적조사나 가정을 통한 시뮬레이션으로 한정되었던 기존 주행거리 불안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처음으로 실제 도로 운전 실험을 통해 수집, 측정한 운전자의 정신생리학(Psychophysiology)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행거리 불안으로 인해 발생한 현상을 관찰하였다. 신체 행동의 생리학적 측면과 심리학적 측면과의 관계를 다루는 정신생리학은 사람의 심리를 의식이나 지식의 개입 없이 생체신호 또는 반응을 통해 직접 파악할 수 있지만 신호의 세기가 작고 잡음이 많아 이를 감지하고 분석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여러 정신생리학적 반응 중 뇌전도(EEG), 심전도(ECG), 안구 운동이 활용되었으며 이를 분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작업이 선행되었다. 뇌전도의 경우 단시간 푸리에 변환(Short Time Fourier Transform)을 통해 뇌파를 추출하여 피실험자의 스트레스 및 불안과 관련된 high $\beta/\alpha$ 값을 구해 사용하였으며, 심전도에서는 신호 형태의 상세 분석을 통해 심박수를 추출하였다. 또한 피실험자가 전기자동차 운전 도중 배터리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를 인지하면서 느끼는 불안 현상 관찰을 위해 시선추적 데이터를 가공하여 계기판의 충전 상태 관련 장소 주시 여부를 산출하였다. 이렇게 정신생리학적 측정을 통해 추출한 전기자동차 운전자의 세가지 불안 관련 지표와 함께 전기자동차 주행 시험 중 기록된 배터리 충전 상태, 속도, 위성 좌표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주행거리 불안으로 인한 현상으로 여겨지는 패턴을 분석하였다. 일부 피실험자의 경우 속도 증가, 오르막길 등으로 인해 배터리 충전 상태가 급격히 감소하는 구간에서 불안 관련 지표 값이 상승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또한 일부 경우 피실험자가 계기판을 통해 배터리 충전 상태를 파악한 직후 불안 관련 지표 값이 순간적으로 상승 또는 감소하는 사례가 수 차례 관찰되어 모든 피실험자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주행거리를 결정하는 배터리 충전 상태의 변화 또는 인지를 통해 전기자동차 운전자의 불안 상태가 크게 바뀔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정신생리학적 측정을 통한 연구 접근 방법의 추후 활용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E 16003
형태사항 vi, 46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세윤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onjin Yoo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윤윤진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건설및환경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39-4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