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Cyber-deviance and social capital in virtual community = 버추얼 커뮤니티의 사이버 일탈과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Cyber-deviance and social capital in virtual community = 버추얼 커뮤니티의 사이버 일탈과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 / Jiyeon Hwang.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6].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862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T 16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dividuals are increasingly subjected to flaming or negative behaviors as society becomes digitally adept. Abusive language, rude comments, and slander are increasingly prevalent online and are pervasive in many virtual communities. Negative behaviors are escalating online both in quantity and in the degree of offense. Negative online behavior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website or country, and virtual communities in which members’ exhibit negative behavior have become bigger and more popular than ever. The deviant behavior of a specific community should not be ignored as the weird behavior of some groups. It is because they are large-scale communities that the repetitive behavior in the communities becomes a cultural factor of social behavior that is transferred to the next generation by imitation that can spread to the whole of the Internet. Because of the social influence of these communities, the generalization of their deviant behavior can be connected to their users’ fixation on an inappropriate Internet culture. Therefore, research on the causes of the deviant behavior found in virtual communities and the social effects of the deviant behavior is required. Two research questions were motivated by this interest in deviant behavior. First, what factors make individuals practice deviant behavior? Second, what influences do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communities in which deviant behavior is prevalent have on the social capital and subjective well-being of members? The first essay verified the factors that cause the flaming behaviors of virtual communities through the theoretical model developed by integrating criminological theory and social psychological theory. Existing research on flaming is largely fragmented and insufficient for understanding what induces individuals to engage in flaming actions online. Neutralization theory,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motivational theory are integrated to develop a theoretical model that explains flaming in virtual communities. A large-scale online questionnaire targeting individuals who had experience with flaming in a virtual community was employed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neutralization, enjoyment, subjective norms, and low self-control significantly influence flaming. Enjoyment, moral beliefs, subjective norms, and self-control influence neutralization, or efforts made by individuals to rationalize their deviant behavior. Neutralization is a major predictor of flaming in virtual communities, which has not previously been examined. Intrinsic motivation or enjoyment influences flaming, which is important because neutralization theory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do not account for motivation. Virtual communities have a tremendous amount of influence on an individual’s rationalization of, and repeated engagement in flaming. The government, Internet service providers, the media, virtual communities, and Internet activists have an opportunity to define appropriate online behavioral standards that diminish the prevalence of flaming. The second essay verified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communities in which deviant behavior is found on social capital and well-being. These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by the exposure levels of antisocial contents in conversation quality and virtual communities recognized by users. Virtual community activities improve interactions among actors and create new relationships. Moreover, virtual community features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social capital and subjective well-being. Do all virtual communities, however, positively influence the social capital and subjective well-being of their participants? Among the features of a virtual community, poor conversation quality and antisocial content might engender a negative effect. It is expected that a virtual community filled with swearing, slander, and violent postings would not increase social capital and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explores how that conversational quality and exposure to antisocial content influences social capital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virtual community participants. Conversation quality induces individuals to build social capital, and antisocial contents attract the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but obstruct their creation of social capital. The quality of conversation and content do not influence subjective well-being directly, as the association between them and subjective well-being is mediated by social capital. Through the findings of two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due to virtual community norms that accept cyber deviance, justification of deviant behavior is made and the virtual community norm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Internet culture. Besides, it was verified that deviant communities have limitations to give positive effects to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improvement of subjective well-being. If the deviant cyber behavior is overlooked continually for a long time of period, the whole Internet culture can become contaminated.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recalls that that cyber deviance may give negative effects to our life and society and suggests social agreement and public opinion on the necessity of a minimum demand for internal regulations on virtual communities.

온라인 공간에서 반복적인 접촉과 공공 토론을 통해 생성된 버추얼 커뮤니티가 대중적 인기와 함께 확산됨에 따라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또한 부각되고 있다. 상대방에게 적대적인 표현과 행동을 반복하는 사이버 일탈 행동으로 인해 개인적으로 정신적 피해를 줄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악성 루머를 양산하고 극단적인 여론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일부 버추얼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욕설, 폭언, 인신공격을 일삼는 플레이밍(Flaming)의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으며, 버추얼 커뮤니티에서의 일탈 행동의 일상화는 잘못된 인터넷 문화의 고착화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버추얼 커뮤니티에서 일탈 행동의 원인과 그로 인한 사회적 영향을 고찰하는 것은 중요한 연구과제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 의식에 따라 두 가지 연구 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버추얼 커뮤니티에서 나타나는 일탈 행동의 원인은 무엇이며, 둘째, 일탈 행동이 만연한 버추얼 커뮤니티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질문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버추얼 커뮤니티에서 나타나는 일탈 행동의 원인과 사회적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일탈 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 사회적, 문화적, 정책적 대응 방안 마련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했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버추얼 커뮤니티에서 발생하는 플레이밍의 선행요인들과 그 과정을 탐색하고자 중화이론(Neutralization theory)과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동기이론(Motivation theory)을 통합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모델에서는 중화(Neutralization)와 플레이밍의 선행요인으로서 일탈 행동의 주요 결정 요인인 도덕적 신념(Moral belief), 자기 통제력(Self-control), 주관적 규범 (Subjective norm)의 역할을 검증하였다. 중화이론은 일탈 행위자들이 사회 규범을 준수하면서도 비교적 규제로부터 자유로운 상황에서 중화의 기술을 사용하여 일탈 행동을 정당화한다는 논의이다. 현실 사회에서는 사회적 규범이 개인들의 행동에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지만, 온라인 공간에서는 상대적으로 사회적 강제의 영향력이 다소 완화될 수 있다. 중화이론은 온라인 공간에서 사회적 규범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황에서 일탈 행동의 경계를 표류하는 버추얼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일탈 행동을 설명하기에 적합하다. 연구 모델의 검증 결과, 중화(Neutralization)는 플레이밍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수이고, 버추얼 커뮤니티에서 개인들은 중화의 기술(Techniques of neutralization)을 사용하여 플레이밍을 정당화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버추얼 커뮤니티에서 행동 규칙의 부재는 플레이밍을 합리화할 수 있도록 행동의 범위를 확장해주고, 플레이밍에 대한 정당화를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주관적 규범은 중화의 선행요인으로서 일탈 행동의 결정 요인인 주관적 규범, 자기 통제력, 도덕적 신념, 즐거움에 비해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버추얼 커뮤니티의 구성원들은 공동체 내부의 규범과 정체성을 기준으로 일탈 행동을 하기 때문에, 주관적 규범은 플레이밍을 합리화하도록 지원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연구 결과를 통해, 온라인 공간에서는 명확한 행동 규칙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개인들은 개별적 커뮤니티 규범에 따라 규범적 행동의 경계를 표류하면서 중화의 기술을 사용하여 플레이밍을 정당화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에 인터넷에서의 올바른 행동 기준의 부재와 도덕적 가치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해 플레이밍이 정당화될 수 있음을 일반 사용자들이 주지할 수 있도록 정부 및 공공기관, 인터넷 사업자, 커뮤니티 운영자 등의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인터넷에서의 행동 규범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바람직한 규제 정책을 제안해야 한다. 두 번째 연구는 일탈적 성향이 나타나는 버추얼 커뮤니티가 구성원들의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버추얼 커뮤니티의 확산은 새로운 소통의 장을 마련해줌으로써 개인들 사이의 교류를 증가시키고, 새로운 관계 형성, 지식 및 정보의 공유, 자발적인 사회 참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과 주관적 웰빙(Subjective well-being)을 향상시키고, 삶의 외형적인 형태뿐만 아니라 내적인 만족도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모든 버추얼 커뮤니티 활동이 참여자들의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웰빙을 향상시키고 그들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커뮤니티 활동이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웰빙을 향상시켜 준다고는 하나, 일탈 행동이나 불건전한 게시물이 만연한 커뮤니티에서의 활동도 사회적 자본 형성과 주관적 웰빙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지는 재고의 여지가 있다. 불건전한 게시물이 많이 게재되고, 욕설과 폭언, 인신공격이 만연한 버추얼 커뮤니티의 특성은 사회적 자본 형성, 주관적 웰빙 향상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공동체와는 다른 양상을 보여줄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버추얼 커뮤니티의 일탈적 성향에 따라 참여자들의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웰빙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연구 결과, 사람들은 높은 수준의 대화의 질(Quality of Conversation)을 유지하고 있는 버추얼 커뮤니티 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고, 이는 사회적 자본 향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화의 질은 주관적 웰빙에는 직접적인 영향력을 주지 않지만, 대화의 질이 커뮤니티 참여와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줌으로써 간접적으로 주관적 웰빙 향상에 기여한다. 반면, 사람들은 반사회적 게시물에 많이 노출된 버추얼 커뮤니티일수록 오히려 커뮤니티 참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자본을 발전시키는 데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대화의 질은 버추얼 커뮤니티에 대한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해 중요한 요소임이 검증되었다. 또한 대중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 고안된 선정적, 자극적인 게시물들은 단기적으로는 광범위한 청중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반사회적 콘텐츠가 버추얼 커뮤니티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요구되는 사회적 자본이 형성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최근 대중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버추얼 커뮤니티에 대해 일부 사람들은 이러한 커뮤니티들이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공간으로서 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긍정적인 평가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연구는 일탈적인 커뮤니티가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인 웰빙 형성에 있어 한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이러한 일탈적 성향의 커뮤니티들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에 대한 일종의 반론을 제시할 수 있다. 위의 연구를 통해, 사이버 일탈을 방관하는 모호한 규범으로 인해 일탈 행동에 대한 정당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버추얼 커뮤니티의 규범이 인터넷 문화 개선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일탈 행동 및 반사회적 게시물이 일상화된 일탈적 커뮤니티는 구성원들의 사회적 자본 형성과 주관적 웰빙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한계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버추얼 커뮤니티의 일탈 행동과 반사회적 콘텐츠의 무분별한 공유를 방관하고, 장기적으로 묵인하게 된다면 인터넷 문화 전체를 오염시키고 잘못된 인터넷 문화가 고착화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이버 일탈이 우리들의 삶과 사회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상기시키고, 버추얼 커뮤니티 내부 규제에 있어 최소한의 요구가 필요하다는 사회적 합의와 공론화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T 16001
형태사항 vii, 95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황지연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Hangjung Z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조항정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73-8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