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Essays on sustainable performance management : focusing on environmental perspectives = 지속가능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 환경적 측면을 중심으로
서명 / 저자 Essays on sustainable performance management : focusing on environmental perspectives = 지속가능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 환경적 측면을 중심으로 / Chung Won Woo.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6].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862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T 1600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terest from stakeholders, such as employees, managers, governments, shareholders, and NGOs, in not only economic activities but also environmental and social practices has been growing because environmental regulations have become intensive and cases of unethical behavior have increased. In addition, a long-term recession and economic crisis, such as the Greece default or China market drop, increase stakeholders’ concerns regarding social and environmental issues. However, companies could not satisfy stakeholders’ environmental and social needs with existing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Although some recently develope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such as the Sustainable Balanced Scorecard (SBSC) consider sustainable performance, many firms have difficulty applying the framework to their practice.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explain how to implement sustainabl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depending on firm size or industry. Accordingly,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ree parts of sustainable performance management: environmental management,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and sustainable energy management. Research on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considers firm-level environmental innovation and the role of social capital (e.g.,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external green integration). On the other hand, study on energy management deals with country-level environmental efficiencies. This dissertation provides sustainable growth strategies based on management theories (e.g., natural resource based view, social capital theory, and stakeholder theory) and supports establishing policies related to sustainability. Chapter 2 uses the Korean Innovation Survey to focus on the role of complementary assets in increasing environmental performance in manufactur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he economic impact of Korean SMEs is significant because they account for about 88% of total employees and 99% of total business. Recently, the environmental impact of SMEs also has been increasing. Thus, the government has to formulate environmental policies to support SMEs as they implement environmental innovation. The large market means SMEs also continuously conduct environmental activities to maintain their competitiveness. To confirm the argument, this essay examines the impact of environmental innovation on economic performance in SME manufacturers by using regression analysis. Subsequent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mplementary assets, which help firms overcome resource shortage and network deficiency by commercializing environmental innovation. The results show that SMEs increase their labor productivity through environmental innovation. Moreover, the results highlight that SMEs have higher labor productivity by using complementary assets obtained by affiliating business group and listing on public market. Next, Chapter 3 examines the impact of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external green integration as social capital between buyers and suppliers on the performance of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environmental demands are diverse, an individual firm cannot handle the complex environmental issues by itself. In this sense, firms start to cooperate with supply chain members to deal with environmental activities. However,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GSCM) has not been implemented well owing to lack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Consequently, buyers do not recognize suppliers’ environmental capabilities and suppliers struggle to satisfy the needs of buyers regarding environmental capabilities. This phenomenon appears more frequentl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due to an intens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buyers and suppliers. Thu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role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of suppliers, external green integration, and alignment on performance of GSCM. We collected data from a survey of 103 construction suppliers in Korea and employ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est the hypothese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suppliers with higher information sharing capabilities 1) improve their environmental collaboration, 2) contribute to green cost reduction, and 3)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green alignment―the degree of consistency in the buyers’ and suppliers’ evaluation of suppliers' environmental capabilities―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uppliers' competitiveness. Following, Chapter 4 examines static and dynamic environmental efficiencies regarding renewable energy input and output among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countries for benchmarking sustainable energy management. In recent years, interest in improving environmental efficiency through renewable energy has been increasing in both academia and industry. In this sense, this essay conducts a comparative study to evaluate environmental efficiency considering renewable energy across OECD countries and to reveal how countries make up inefficient energy management. As a non-parametric methodology, data envelopment analysis is used to measure environmental efficiency through multiple inputs and outputs. To measure the dynamic environmental efficiency, the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is applied to estimate the average efficiency change from 2004 to 2011. The results demonstrate geographical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efficiency depending on region. Whereas the OECD America have the highest average environmental efficiency, the OECD Europe have the largest number of efficient decision making units (DMUs) in static environmental efficiency. On the other hand, static environmental inefficiency was caused by inefficient production system despite the region. For dynamic environmental efficiency, this essay shows that the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is critically influenced by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riggered in the United States in 2008. Excluding this crisis period, most environmental efficiency in OECD countries has remained stagnant. They still have difficulty with improving environmental efficiency through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due to additional cost and vulnerable energy generation. To get over the difficulty, the OECD Europe implement a first-mover strategy and the OECD America conduct a catch-up strategy. In summary, this dissertation sheds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and performa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this dissertation applies management and economic theories to research on sustainable performance management and investigates using empirical methodologies. In addition, this dissertation reveals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s (i.e., environmental innovation, complementary assets, communication, external green integration, and environmental efficiency) to improve sustainable performance including social, environmental, economic performance. From a managerial and political point of view, this dissertation support policies or strategies 1) to develop of green or clean technology for future technology innovation, 2) to encourage minority groups (e.g. small- and medium-sized firms, suppliers, or emerging countries) to increase sustainable performance, and 3) to establish an eco-system with collaboration between large and SMEs.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비윤리적 경영 사례로 인한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조직의 경제적 활동뿐만 아니라 환경 및 사회적 활동에 대한 이해관계자들(e.g., 주주, 경영진, 종업원, 국가, NGO)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조직들은 적극적으로 환경, 사회, 경제적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성과관리전략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 제시된 지속가능한 균형성과 평가제도(Sustainable Balanced Scorecard)를 통해 조직들이 기업의 환경, 사회, 경제적 성과를 측정 및 관리를 수행하고자 하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조직들은 이 제도를 효율적으로 기존의 경영전략 및 시스템에 적용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어떻게 하면 지속가능 성과관리를 조직 내에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학위논문은 지속가능 성과관리 중에서 핵심인 3가지 분야(환경 관리, 녹색 공급망 관리, 지속가능 에너지 관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환경 관리 연구는 환경 기술혁신활동의 사업화 전략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다루었고, 녹색 공급망 관리 연구에서는 사회적 활동(e.g., 소통 및 협력)이 녹색 공급망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지속가능 에너지 관리 연구에서는 OECD 국가들을 대상으로 재생에너지를 고려한 환경효율성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학위논문은 위와 같이 기업 및 국가 수준에서 지속가능 성과관리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하기 위해 아래의 3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장에서는 한국 기술혁신조사표를 활용하여 국내 제조 중소기업의 환경 기술혁신활동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보완적 자산의 역할에 대해 연구하였다. 국내 중소기업은 전체 노동력의 88%, 전체 기업수의 99%를 차지할 만큼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고, 최근에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력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중소기업이 환경성과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환경기술혁신 정책을 수립하고, 중소기업들은 환경 분야의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환경 혁신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해서 중소기업의 환경혁신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어서 중소기업이 환경혁신을 수행할 때, 재정적 한계 및 네트워크 부족과 같은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보완적 자산의 효과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중소기업은 환경 기술혁신 활동을 통해 기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비즈니스 그룹과의 제휴 및 기업상장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보완적 자산을 활용해 환경 관련 기술사업화를 수행하고, 기업 생산성을 보다 더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 장은 사회적 자산의 일부인 소통 역량과 외적 녹색 통합(external green integration)이 건설 산업의 녹색 공급망 관리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환경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개별기업의 노력만으로는 이를 다 충족시켜줄 수 없게 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기업들은 공급망 구성원들과 협력하기 시작했지만, 소통부족으로 인해 녹색 공급망 관리가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고객업체는 공급업체의 환경적 역량을 제대로 인지하고 못하고, 공급업체들은 고객업체들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프로젝트 기반인 건설업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소통, 협력, 평가 일관성으로 보고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103개의 공급업체와 이를 평가하는 고객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가설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협력업체간 정보공유가 잘 이루어질수록 1) 기업들 간의 협력이 강화되고, 2) 녹색 비용이 감소되고, 3) 녹색 공급망 구성원들의 경쟁우위가 높아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고객업체가 평가한 공급업체의 환경역량평가와 공급업체 자체 환경역량평가에 대한 일관성이 높을수록 공급업체가 더 높은 경쟁우위 효과를 누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 번째 장은 OECD국가를 대상으로 재생에너지를 고려한 정적(static), 동적(dynamic) 환경 효율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학계뿐만 아니라 산업에서도 에너지 효율성 개선을 위해 재생 에너지 기술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생 에너지 기술을 통해서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는 선진 국가들의 환경 효율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각 국가의 에너지 관리 수준을 파악하고, 비효율적인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어떠한 전략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여러 개의 투입변수와 산출변수를 고려하여 정적 환경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비모수통계 기법인 자료포괄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2004년부터 2011년 동안 환경 효율성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맘퀴스트 지수를 계산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미주권, 아시아권, 유럽권 지역에 따라서 환경 효율성의 차이를 보였다. 미주권 국가의 환경 효율성이 평균적으로 가장 높았고, 유럽권 국가의 경우는 가장 많은 수의 효율적인 비교대상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지역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국가들이 비효율적인 환경 효율성 값을 가지는 이유는 최적화되지 않은 규모 때문이었다.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를 통해 본 동적 환경 효율성은 미국발 경제위기와 같이 부정적인 외부요인에 의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위기를 제외한 기간에는 대부분 국가들의 환경 효율성이 정체되어 있다. 이는 여전히 많은 OECD 국가들이 추가적인 비용 부담 및 불규칙적인 생산능력을 가진 재생에너지 기술을 가지고 환경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 분해를 통해 효율성 변화율과 기술 변화율을 비교 분석해 본 결과, 환경 효율성 향상을 위해 유럽권 국가들이 선도형(first-mover) 전략을 수행하고, 미주권 국가들이 추격형(catch-up) 전략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학위논문은 지속가능 성과관리를 위해 지속가능성의 구성요소인 환경, 사회, 경제적 요소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한 학문적 시사점은 경영 및 경제학적 이론들(e.g., 자연 자원기반 관점, 사회적 자산 이론, 이해관계자 이론)을 지속가능 성과관리 분야에 적용하였고, 그 효과를 정량적 방법론을 사용해 검증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조직의 환경, 사회, 경제적 성과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주요성과지표(환경 혁신, 보완적 자산, 협력 및 소통과 환경 효율성)를 밝혀냈다. 한편, 본 학위논문의 연구결과는 1) 녹색기술, 청정기술과 같은 미래기술혁신을 지원, 2) 중소기업이나 공급업체들이 지속가능 성과관리를 수행을 할 수 있도록 지원, 3) 대-중소기업이 동반 성장해서 지속 가능한 기업 생태계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을 뒷받침하는 자료임으로 정책적 관점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할 수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T 16004
형태사항 vii, 105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우청원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ang Hon Chu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정양헌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82-100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