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User acceptance of Internet of things(IoT) devices and services : the case of wearable devices and smart home services = 사물인터넷 기기 및 서비스의 소비자 수용에 관한 연구 :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홈 서비스를 중심으로
서명 / 저자 User acceptance of Internet of things(IoT) devices and services : the case of wearable devices and smart home services = 사물인터넷 기기 및 서비스의 소비자 수용에 관한 연구 :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홈 서비스를 중심으로 / Heetae Yang.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6].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862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TM 1600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CT markets around the world have become more competitive and continue to grow. Specifically, in recent years, ubiquitous connectivity has realized with the advancements in, and decreasing costs of sensors, storage, and bandwidth have paved the way for a rapidly rising new seg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 the Internet of Things (IoT). The market forecast for IoT is very promising. According to Gartner (2014), 4.9 billion of connected things will be in use in 2015, up 30 percent from 2014, and will reach 25 billion by 2020. Machina research (2011, 2013) forecasted 25 billion of connected things in 2020 with $ 948 billion market size. The main driving force behind these positive prospects is declining cost. Fairview Capital (2015) reported that the cost of computing power measured by price per million transistors is nearly 4,000 times lower today comparing two decades ago. Deloitte (2013) said the costs of storage and internet bandwidth have fallen dramatically ? storing one gigabyte of data now costs no more than a couple of cents and internet bandwidth costs have fallen by 98% in just over a decade. Also, technological progress such as a dramatic increase in processing power, storage and bandwidth has contributed to initial IoT market form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user acceptance of wearable devices and smart home services by an extended perspective of traditional theories through empirical analysis. Wearable devices and smart home services are two representative business areas in IoT industry. Vision mobile (2015) showed smart home and wearables are most targeted market of IoT developers. IoT Analytics (2015) presented ‘The 10 most popularity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s’ based on web analytics and revealed smart home ranked the highest popularity followed by wearable devices. The first essay develops a research model for adopting wearable de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customers’ perceived value. The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each component of perceived benefit and risk on the perceived value of the wearable devices and explores how its attributes affect customers’ perceived benefits. This study verified that perceived value is a clear antecedent of adoption inten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lue of wearable devices (i.e., perceived usefulness, enjoyment, social image) and the product characteristics (i.e., functionality, compatibility, visual attractiveness, and brand name). Perceived benefit including perceived usefulness, enjoyment, and social image seems to have a greater impact on perceived value than the level of perceived risk. For the potential user group, perceived usefulness was shown to have a slightly stronger effect on perceived value than perceived enjoyment. But for the actual user group, unlike potential users, perceived enjoyment seems to play the most influential role in affecting perceived value. This study also demonstrated that perceived risk is only an significant factor for potential users but not for actual users. All components reflecting wearable device characteristics positively affect perceived benefit both for potential and actual users. The second essay proposes and examines a research model that can explain the potential customers’ behavioral intentions to adopt and use smart home services. this study employe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nd enhanced by proposing six exogenous variables which reflect the funtionality of smart home services such as automaion, mobility, and interoperability, risk factors (i.e., security/privacy risk, physical risk), and trust in service providers. This study confirmed three components of the TPB (i.e.,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s key factors to influence the behavioral intention to use smart home services. This study verified mobility was shown to have a stronger effect on attitude than interoperability. It can be inferred that potential users would recognize more value in remote access functionalities such as remote control, management, and monitoring without time and location restriction based on networking between mobile devices and home appliances than in ubiquitous service from different vendors. Automation, the long standing dream of proactively helping their residents in a smart hom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ttitude only for single-family house residents, not for apartment/multi-family house residents. This result may be caused by the difference of house architecture. Furthermore, this study verified security/privacy risk was a negatively affected the attitude for both single-family house and apartment/multi-family house residents, but physical risk was not. This dissertation aims to propose a new technology adoption model for new devices and services of the new emerging ICT market, IoT. Theoretically, this study contributes to a mor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wearable device and smart home service adoption based on the extended theoretical models.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insights for the wearable device manufacturers and smart home service providers in terms of marketing and R&D considering consumer segmentation.

센서, 스토리지,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환경이 구축되고 있으며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이 신성장 동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국제전기통신연합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은 사물 인터넷을 ‘사물들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혁신적인 서비스가 제공되는 정보 사회의 글로벌 인프라’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ETSI)에서는 ‘인간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두 개 이상의 객체 간에 이루어지는 통신’으로 규정하고 있다. 종합하면, 사물 인터넷이란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가전기기, 자동차 등 식별 가능한 사물들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해 소비자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인터넷 패러다임이다. 주요 기관들의 사물인터넷 시장에 대한 전망은 매우 낙관적이다. 가트너(Gartner)에 따르면 사물 인터넷 기기 보급 대수는 2015년 49억대로 전년 대비 30% 증가하였고 2020년 250억대까지 판매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마시나 리서치(Machina Research)는 2020년 사물 인터넷 기기의 보급 대수를 180억대, 시장 규모는 9천5백억 달러로 추정하고 있다. 지난 20여년 간 정보 시스템(Information System) 분야에서 소비자 행동 및 기술 수용은 핵심적인 연구 주제로 다루어져 왔으며, 합리적 행위 이론 (Theory of Reasoned Action, TRA), 계획적 행동 이론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기술 수용 모델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혁신 확산 이론 (Innovation Diffusion Theory, IDT), 지각된 가치 (Perceived Value) 등 다양한 관련 이론들이 등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전통적 이론을 확장하여 사물 인터넷의 대표 분야인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홈 서비스의 소비자 수용에 부합하는 연구 모델을 제안하고 실증적인 검증을 통해 소비자들의 제품 및 서비스 수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한다. 첫 번째 연구는 지각된 가치(Perceived Value)를 이론적 배경으로 웨어러블 기기의 소비자 수용에 대해 다루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웨어러블 기기의 제품 속성 - 사용자의 지각된 가치 - 수용 의도에 이르는 웨어러블 기기의 수용과 관련된 전체적인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사용자를 현재 웨어러블 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실 사용자와 그렇지 않은 잠재적 사용자로 구분하여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많은 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두 사용자군 모두에서 지각된 가치가 행동 의도의 명확한 선행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각된 가치 구성 요인들이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지각된 편익이 희생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 사용자와 잠재적 사용자 간의 차이도 확인할 수 있었다. 실 사용자의 지각된 가치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지각된 즐거움인 반면, 잠재적 사용자의 경우 지각된 유용성이 도출되었다. 이는 실 사용자의 경우 웨어러블 기기 사용 자체가 주는 쾌락적 요인을 중시하는 반면 잠재적 사용자는 실용적 목적으로 이용하려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잠재적 사용자군에서는 웨어러블 기기의 기능적, 재무적 위험이 지각된 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 사용자군에서는 이와 같은 위험이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초기 수용자(Early-adopter)들이 위험을 감수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가격 변화에 덜 민감하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본 연구는 지각된 가치와 웨어러블 기기의 특성을 고려하는 포괄적 접근을 통해 사물 인터넷을 대표하는 단말인 웨어러블 기기의 수용을 살펴본 데 주된 의의가 있다. 또한 지각된 편익과 위험 요인을 고려하여 지각된 가치를 개념화하고 사용자의 웨어러블 기기 수용에 관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 실증적으로 검증한 최초의 연구로써 학문적 의의가 있다. 실질적으로는, 웨어러블 기기 제조사 및 기타 이해 관계자들이 사용자들의 지각된 가치와 수용 의도를 어떤 방식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지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 및 R&D 방향성에 대한 함의를 제공한다. 두 번째 연구는 계획적 행동 이론 (Theory of planned behavior)를 바탕으로 스마트홈 서비스의 잠재적 사용자에 대한 수용 의도를 다루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세 가지 신념인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에 대한 지각된 통제감이 수용 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와 유용성 측면의 스마트홈 서비스의 특성과 내재된 위험, 서비스 제공 기업에 대한 신뢰가 세 가지 신념의 유의한 선행 변수인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특히 잠재적 사용자 군을 단독주택 거주자와 아파트/다세대 주택 거주자로 구분하여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 연구 결과와 같이 두 사용자 군 모두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에 대한 지각된 통제감이 수용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한 위험 요인 중 보안/프라이버시 위험은 유의한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나 해킹 등에 의한 화재, 외부인 침입 등을 의미하는 물리적 위험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리나라의 경우 단독 주택이나 아파트/다세대 주택 모두 물리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기본적인 보안 시스템과 소화기 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서비스 유용성에 대한 특성 중 자동화 요인은 단독 주택 거주자의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아파트/다세대 주택 거주자의 태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면적, 복층 여부 등 주택 구조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아파트의 경우 인당 평균 거주 면적이 단독 주택보다 작고 단층 구조이기 때문에 댁내 기기를 수동으로 조작하기에 무리가 없으나, 단독 주택의 경우 넓은 복층 구조가 가능해 모든 기기들을 직접 조작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번거로울 수 있다. 따라서 단독주택 거주자의 경우 자신의 생활 패턴을 분석해 자동으로 조작되는 자동화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계획 행동 이론을 확장하여 서비스 유용성, 지각된 위험,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신뢰를 포괄하는 설명력 높은 모델을 제안한 것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잠재 사용자들의 수용 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거주 형태에 따라 어떤 서비스 특성을 고려하여 마케팅 및 R&D 전략을 수립, 진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방향성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홈 서비스의 사용자 수용을 실증적으로 살펴본 최초의 연구이다. 스마트폰에 이어 신성장동력으로 각광받고 있는 사물 인터넷의 대표적인 사업 분야에 대한 새로운 기술 수용 모델을 제안하고, 사용자의 수용 의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향후 사물인터넷 시장에 등장할 다양한 신기술 수용에 있어서 활용 가능한 의미 있는 연구 모델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의의가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TM 16002
형태사항 viii, 110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양희태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Hangjung Z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조항정
공동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unkee Choi
공동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최문기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82-105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