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스마트폰 브랜드 사용 경험을 통해 형성된 이용만족도가 동일브랜드의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 구매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brand satisfaction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other smart devices under the same brand
서명 / 저자 스마트폰 브랜드 사용 경험을 통해 형성된 이용만족도가 동일브랜드의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 구매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mart phone brand satisfaction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other smart devices under the same brand / 노민영.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8316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M 1500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5265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IM 15009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market for smart devices is not distinct from the smartphone market and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that it is an ‘extension of the ecosystem’ built on the platform, services, and other factors of ex-isting smartphones. In that sense, the smart device market is an important market that will decide not only the growth of smartphone manufacturers, but also their survival. At present time, there are few domestic re-search investigating smartphone usage experience in conjunction with purchase intention of smart devices. Therefore, this study will analyze the impact that smartphone brand experience ha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smart devices. The research model established as the basis for this study was the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 which has a high level of explanatory power for the post adoption intent measurement of information devic-es. By defining the concepts of smartphone brand experience a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and perceived aesthetic, which represents aesthetic elements such as design,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brand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other devices. The difference from existing research was that this study defines satisfaction not as with a single smartphone product line or technology, but as satisfaction with a specific brand experience. In addition, it defines smart devices as portable devices and non-portable devices, such as home appliance produc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expectation confirm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rand ex-perience factor. On the other hand, while perceived usefulness, a brand experience factor, does not affect user satisfaction, perceived enjoyment and perceived aesthetics do have significant impact on user satisfac-tion. Brand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portable and non-portable devices. Perceived en-joyment, which are user experience factors, influenced portable/non-portable device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but had no direct effect on perceived aesthetics. Perceived Usefulness influenced portable/non-portable device purchase intention negatively. The use of the sobel test to test the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 shows that brand satisfaction was partially mediated from perceived enjoyment and purchase inten-tion of other smart devices. Perceived enjoyment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the purchase intention of other smart devices. There was a ful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esthetics and purchase intention of other smart devices, while the indirect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dditionally, I studied more details of study on the distribution specific characteristics about each group through multiple group analysis-focused on brand loyalty, age, gender and so on.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performance and functionality of smartphones are not ma-jor factors that affect user satisfaction, which signifies that performance and functionality can no longer function as differentiating elements of smartphones. Emotion elements such as perceived enjoyment and perceived aesthetics can influence user satisfaction; therefore, smartphone manufacturers will have to estab-lish smart device development and sales strategie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such satisfaction of users.

스마트 디바이스는 기존에 스마트폰을 통해 구축되어 있는 플랫폼 및 서비스 등 ‘에코시스템의 확장’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스마트 디바이스 시장은 스마트폰 제조사들에게는 성장뿐만이 아니라 생존을 결정할 중요한 시장이다. 하지만, 스마트폰 사용 경험과 연계된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매의도를 검증한 국내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 브랜드 사용 경험이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모형은 정보기기의 차후 선택(Post adoption) 의도 측정에 설명력이 높은 기대일치모형을 근간으로 수립하였다. 스마트폰 브랜드 사용 경험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유희성, 그리고 디자인 등의 심미적 요소를 나타내는 지각된 심미성을 구성개념으로 정의하였으며, 사용자의 브랜드 이용만족도를 매개로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기존 연구와 다른 점은 만족도를 단일 제품군이나 기술이 아닌 특정 스마트폰 브랜드에 대한 이용만족도로 정의하였다는 점이며, 스마트 디바이스 또한 Portable 디바이스와 가정용 가전제품인 Non-Portable디바이스로 세분화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브랜드 기대일치는 브랜드 사용 경험 요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브랜드 사용 경험 요소인 지각된 유용성은 사용자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지각된 유희성과 지각된 심미성은 이용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브랜드 이용만족도는 Portable 디바이스와 Non-portable 디바이스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사용자 경험요소인 지각된 유희성은 Portable 디바이스와 Non-Portable 디바이스 구매의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심미성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지각된 유용성은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Sobel 검증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브랜드 이용만족도는 지각된 유희성과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매의도에 부분 매개하였다. 지각된 유희성은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매의도에 직, 간접적인 영향이 확인되었으며, 지각된 심미성과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매의도 관계에서 이용만족도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반면 지각된 유용성의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추가연구로, 집단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성별, 연령별, 브랜드 충성도, 보유 브랜드별로 다중집단분석을 수행하여 집단별 경로계수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의 성능 및 기능적 요소는 사용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가 아님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더 이상 성능과 기능이 스마트폰의 차별요소가 되지 못함을 의미한다. 지각된 유희성 및 지각된 심미성 등 감성적인 요소가 사용자 만족에는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이를 이용한 사용자 만족도 고취를 통한 스마트 디바이스 개발 및 판매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M 15009
형태사항 vi, 103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Min Young Noh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병태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Byung Tae Lee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정보경영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