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The combined effects of relationship conflict and the relational self on creativity: extensions to process conflict and task conflict = 관계 갈등과 관계 중심 자아의 상호작용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프로세스 갈등과 업무 갈등으로의 확대
서명 / 저자 The combined effects of relationship conflict and the relational self on creativity: extensions to process conflict and task conflict = 관계 갈등과 관계 중심 자아의 상호작용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프로세스 갈등과 업무 갈등으로의 확대 / Eun Jin Jung.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841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T 1500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 and creativity has been mostly understood from a group-level perspective. That is, conflict has been occurred in a group, and not possible to happen without members.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showing an individual-level creativity under a conflict situation. To fill in this part, this current research aims to demonstrate how individuals enhance creativity under a conflict situation. This research utilizes the self-construal theory, which refers to different ways of defining the self in relation to others. Depending on self-construal differences, it examines how individuals enhance their creativity under each type of conflict situation. Different types of conflict are also considered. Chapter 2 examines the effects of relationship conflict on individual-level creativity. Although relationship conflict has been shown to generate negative consequences on work outcomes, such as satisfaction or performance, this chapter proves new positive effects of relationship conflict on creativity. This research deals with relational selves who value relationship the most, since relationship conflict is a goal frustrating situation for them. In particular, relational selves would generate more creative ideas to resolve problems under a relationship conflict (vs. harmonious relationship) situation by thinking more deeply and in-detail. Experiment 1 and Experiment 2 supported our hypotheses that relational selves show higher creativity under a relationship conflict situation rather than under a harmonious relationship, mediated by their cognitive persistence enhancement. By the same logic, this research extends the boundaries to process and task conflict situation. Our hypothesis is that process conflict (vs. harmonious process) situation would enhance creativity for independent selves who value their autonomy goal, mediated by their cognitive persistence. Experiment 3 supported our hypothesis. Theoretical contribution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Chapter 3 examines the consequences of a high task conflict asymmetry, perceiving more task conflict than the rest of the group, on individual-level creativity. This research proposes that high (vs. low) task conflict asymmetry enhances creativity for independent selves who value expressing their ideas and being differentiated from others. Experiment 1 proved hypothesis that independent selves foster their creativity under a high (vs. low) task conflict asymmetry, mediated by cognitive persistence, defined as the ability of in-depth and elaborate thinking. This pattern is not observed under a relationship conflict asymmetry situation (Experiment 2). That is, independent selves foster creativity level when they are faced with high task conflict asymmetry situation, which is problematic to them.

기존의 연구에서 갈등과 창의성의 관계는 그룹 수준의 관점에서 이해되어 왔다. 갈등은 그룹 내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다른 구성원들이 없이는 발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그룹 내에서 발생한 갈등 상황에서 특정 개인의 창의성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 부분을 보완하고자, 갈등 상황에서 개개인의 창의성이 어떻게 다른 영향을 받는지를 정확하게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가 사용하는 이론은 “자기 구성 이론”이다. 이 이론은 자기 자신을 정의할 때에, 타인과의 관계 여부를 중요시 여기는 지 아닌 지에 따라 다른 특성의 자아가 존재함을 밝힌다. 본 연구는 이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개개인의 창의성이 갈등 상황에서 어떻게 다르게 발현이 되는지를 증명한다. 또한, 다양한 갈등 상황들을 고려하고 있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관계 갈등 상황이 개인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있다. 기존의 연구를 살피면, 관계 갈등은 만족감 혹은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관계 갈등이 창의성에 주는 긍정적인 효과를 밝힌다. 여기서, “자기 구성 이론”에 따라, 관계를 중요시 여기는 “관계 중심 자아”에 초점을 두는데, 그 이유는 관계 중심 자아에게 관계 갈등 상황은 그들의 목표가 좌절된 상황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계 중심 자아는 관계 갈등 상황에 처해 있을 때 조화로운 상황에 있을 때 보다, 그 상황을 문제시 여기고 그 상황에 대해 더 깊이 상세히 생각함으로써, 더 높은 창의력을 발현할 것이라고 예상 하였다. 실험 1 과 실험 2을 통해 가설화한 내용, 관계 중심 자아가 관계 갈등 상황에서 조화로운 인간 관계일 때 보다 높은 창의력을 발현할 것이라는 현상을 밝히었고, 그 매개 요인으로 인지적 노력이 작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같은 논리를 기반으로 하여, 본 연구는 프로세스 갈등상황과 업무 갈등 상황으로 그 범위를 확대했다. 프로세스갈등 상황은 일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책임감 혹은 자원의 배분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한 상황을 의미한다. 이 상황은 다른 사람의 관계를 중요시 여기지 않고 본인의 특성을 중요시 여기는 독립적 자아의 자주성 목표가 문제시 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프로세스 갈등 상황이 조화로운 프로세스 상황일 때 보다, 독립적 자아의 창의성을 높일 것이고, 매개변인은 독립적 자아의 인지적 노력이 될 것이라 예상하였다, 실험 3을 통하여, 본 연구의 가설을 증명하였다. 하지만, 업무갈등 상황은 본 연구가 “자기 구성 이론”을 통해 중점을 둔, 독립적 자아와 관계 중심 자아의 목표와 밀접한 관련이 없기 때문에 개인의 창의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하였고, 이 부분 역시 실험 4를 통하여 증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와 관련한 이론적 공헌도와 실무적 시사점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하였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갈등인지 비대칭성에 대한 개념을 다루었다. 기존의 연구에서 업무갈등 상황은 업무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바탕으로 토론하게 함으로써, 그룹 창의성을 높인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 그룹 내에서, 개개인이 그 갈등을 인지하는 정도에 따라 개인 창의성이 달라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특히, 다른 사람들 보다 업무 갈등을 더 심각하게 느끼는 경우 특정 개인의 창의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갈등연구자들에 의해 밝혀진 갈등인지 비대칭성 개념을 도입하였다. 높은 갈등인지 비대칭성은 본인이 다른 구성원들보다 갈등 상황을 더 심각하게 느끼는 상황을 의미하고, 낮은 갈등인지 비대칭성은 본인이 다른 구성원들보다 갈등 상황을 덜 심각하게 느끼는 상황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높은 업무갈등인지 비대칭 상황에서, 개인의 의견을 주장하는 중요시 여기는 독립적 자아의 창의성이 높게 발현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그 이유는 개인의 의견 주장을 중요시 여기는 독립적 자아가 높은 업무갈등인지 비대칭 상황을 낮은 업무갈등인지 비대칭 상황보다 더 문제시 되는 상황으로 인지할 것이기 때문이다. 실험 1을 통해서 그 가설을 증명하였고, 독립적 자아의 인지적 노력이 매개작용을 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현상은 관계 갈등 상황 비대칭성에는 적용이 되지 않았다 (실험 2).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T 15002
형태사항 98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정은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u Jin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수진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