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ing limit curves of steel sheet and aluminum sheet were abtained through Punch-stretching experiments. Stretchings were conducted with specimens of various widths and with various lubrication conditions to get limit strains of various strain states.
Material properties that influence forming limit strain we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forming limit curve of steel sheet with that of aluminum sheet. Of all properties that influence forming limit strain, strain hardeninging exponent n, and through-thickness anisotropy parameter R are found to have the most pronounced effect on limit strain.
The forming limit curve predicted by Hill and Swift instability theory is comparatively consist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 but there is inevitable gap between them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definition. It is found that there is much deviation between the result of Marciniak and Kuzynski's theory and that of experiment, while the modified theory of Marciniak and Kuzynski's by Tadros and Mellor predicts limit strains reasonably well. However the method by Tadros and Mellor can be only used with the aid of experimental data.
철판과 Aℓ판의 punch stretching 실험을 통하여 각각의 재료에 대한 한계 성형도 곡선을 구해 보았다. strain path 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윤활조건과 시편의 폭을 변화시켰으며 stretching 의 중간 중간에서 변형도 상태를 조사하여 strain path를 구하였다. 철판과 Aℓ판의 F.L.C 를 비교 분석하여 한계 변형도에 영향을 미치는 재료의 여러가지 성질을 알아 보았으며 그중 소성경화지수 n과 두께 방향의 이방성 계수 R값의 영향이 두드러지는 것 같다.
F.L.C 에 관련된 이론과 실험결과를 비교해 보았으며, 그 결과 Hill 과 Swift 의 불안정 이론과 실험결과는 비교적 일치하나 불안정까지의 변형도와 한계 변형도의 정의의 차이 때문에 약간의 gap 이 있다. M - K 의 이론 결과와 실험결과는 차이가 많으나 수정된 M - K 의 이론 (Tadros 등에 의한) 은 양호한 결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Tadros 등의 방법은 F.L.C 를 반 실험적으로 밖에 구할 수 없으며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실험에 사용한 철판의 경우 F.L.C 는 Keeler-Goodwin 의 Band 속에 완전히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