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철강재소비 원단위에 의한 철강 수요 예측 = Long-term forecast of steel demand through analysis of steel consumption coefficients
서명 / 저자 철강재소비 원단위에 의한 철강 수요 예측 = Long-term forecast of steel demand through analysis of steel consumption coefficients / 이기석.
발행사항 [서울 : 한국과학기술원, 1976].
Online Access 제한공개(로그인 후 원문보기 가능)원문

소장정보

등록번호

400012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E 761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a methodology for forecasting the future domestic steel demand. The developed methodology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industries. A microscopic approach is used to forecast steel demand between 1976 and 1985. First, steel consuming industries and their products are investigated and listed. Then long and short-term future production quantities of each of these products are forecast. The short-term production quantity forecast for the period of 1976 was done by means of actual survey of forecast quantities of businesses which produce the steel-consuming products. The long-term forecast for each product for the period form 1977 through 1985 were performed by using one of the following three methods : A. Historic data are utilized to formulate a quantitative model for a product which then is used to forecast future production quantity. B. The growth rate extracted from the input-output table is used for the forecasting. This input-output table used here is the temporary guideline for the Fourth Economic Development Plan. C. The growth rate induced from the international growth projection of steel-consuming industries is used to forecast future production quantity. A steel consumption coefficient is a factor which represents the amount of a specific steel consumed for production of a unit product. These coefficients are determined through actual survey. They can be utilized in many other areas besides the demand forecast work. The steel consumption coefficient and forecast production quantity of each product are multiplied to yield the total steel demand forecast quantity. The conventional forecasting method used the quantitative model only, thus disregarding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etween steel-consuming products. The methodology presented here, however, choose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which best fits a product's characteristics out of the three introduced above. Therefore, it is asserted that much improved forecast values can be obtained through this methodology.

본 논문은 국내 철강재의 수요 예측을 목적으로 하며, 본 연구에 사용된 예측방법은 타산업이나 타제품의 수요예측에 응용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은 미시적 접근방법에 의하여 1976 ∼ 1985년간의 강종별 철강재 국내 수요 예측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강종별 철강 수요 산업을 분류하고, 소비산업당 제품을 정하여 각 제품에 대한 장·단기 생산량을 예측하였다. 그리고 각 제품에 대한 철강재 소비 원단위 (단위 제품이 소비하는 강종별 철강재량) 를 구하여 이것과 앞의 예측 생산량을 곱하여 총 강종별 국내 수요량을 예측한 것이다. 철강 수요산업의 생산량 예측은 크게 단기와 장기로 구분하였는데 1976년도의 철강 수요 산업의 생산량은 기업가 예상조사에 의거하여 예측하였으며, 1977 ∼ 1985년간의 생산량은 다음과 같은 3가지 방법중 제품특성에 맞는 최적방법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ⅰ) 과거자료를 이용하여 계량「모델」을 설정하고 이 「모델」 을 통하여 미래의 생산량을 예측하였다. ⅱ) 제4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을 위해 작성된 "다 부문 계획 모형"에 의한 산업별 생산량 성장율을 활용하여 각 제품의 예측량을 구하였다. ⅲ) 1963년도의 선진, 개발도상국 65개국의 횡단면( cross section ) 분석에 의하여 도출된 일인당 국민 총 생산 탄성치와 규모의 탄성치를 활용하여 철강 수요 산업별 성장 율을 구하였다. 철강재 소비원단위는 각 단위 제품당 철강재가 강종별로 얼마의 량이 소비되는가를 나타내는 계수로 실지조사를 통하여 구하였다. 본 연구는 종래의 예측방법인 제품특성을 고려치 않는 계량「모델」 한 종류에만 의존한 예측이 아니라 위의 3가지 방법중 제품특성에 맞추어 선택한 방법에 의해 행하여진 예측이므로 훨씬 정확한 내용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E 7615
형태사항 [vii], 126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부록 : 회귀분석에 대해
저자명의 영문표기 : Key-Suk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배도선
공동교수의 한글표기 : 김윤형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Do-Sun Bai
공동교수의 영문표기 : Yoon-Hyung Kim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공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109-[112]
주제 Demand (Economic theory)
Steel alloy industry.
수요 예측.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철강업.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생산량.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Forecasting.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