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Designing for slow communication: pause moment design for slow communication in social media = 느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자인: 쉬어가기 디자인을 통한 느린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서명 / 저자 Designing for slow communication: pause moment design for slow communication in social media = 느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자인: 쉬어가기 디자인을 통한 느린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 Jae eul Bae.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793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D 15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research, with the notion of philosophy of slowness, grounded its start on the claims of the importance of the slowness in our online communication in social media. Such a finding considers its worth of being an alternative for the current ever-fastening communication. It also takes into account its contribution to enriching the diversity of our experience. On that basis, it had suggested the necessity of intensive research efforts to establish comprehensive design knowledge on empirical grounds, in reviews on related debates, which currently lack referable cases. These debates also lack design knowledge that is empirically accumulated, given its reliability through analytic and critical grounds of acquisition. After all, the scheme of design research, which is grounded on the appropriated philosophy of research through design was developed. It targets the contribution of design knowledge that extends to a wide spectrum, from particular references of design instances. It involves the concrete generative concept of design, associated design considerations, and extensive understanding of potential implications from implemented design - implying the gradual advance of design knowledge throughout iterative process of developing the ground of knowledge as well as design instances alternately. Based on the scheme that involves the series of ripening room designs, the design instances spread over the diverse forms of communication applications for communication in a social media context. The design instances share the common seed idea of pause moment design, which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grounds of design knowledge. They were also tested on an empirical basis to provide empirical grounds and a reliable source of inspir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grounds of design, as well as to validate the relevance of accumulated design knowledge for design for slow communication. Overall, the repeated advance and examination of design instances, as well as the grounds of design, have led the advance and refinement of primitive seed ideas to a validated concept of pause moment design, which is the fundamental gestalt of an interactivity of system which stretches the pace of interaction throughout system use with strategically and aesthetically assigned substantive pause moments. They also include an associated set of design considerations, which are the more particular ideas of design to draw slow communication in social media, which implies the presence of a design component and opportunity, as well as a related strategic address of design approach. The repeated empirical test on designed instances of a pause moment design had built the grounds of understanding of their characteristic aspects of experience, which imply the potential impact of suggested design knowledge of users’ communication experience and the influence of an external factor (e.g., the personality of the user, the context of use, etc.) on the consequence of design. Those implications of pause moment design are expected to provide theoretical grounds for the anticipation of the expected impact of suggested design on users’ behavior and the experience of online communication, their ways of appreciating and appropriating the given design features - accordingly, enabling design practice with much extensive and delicate estimate of the potential impact of design. The accumulated grounds for design and acquired knowledge on the potential implications of design are considered to be closely conjunct for resulting in a reliable practice of design for slow communication, with extensive considerations of possible design solutions and delicate anticipations of expected result of design, which reciprocally lead the advance of each. Therefore, those are considered to be the comprehensive body of design knowledge for the design for slow communication in social media. Furthermore, the accumulated and extensive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 of suggested design instances provided the body of framework to draw the characteristic and distinguished experience. From individual level, the emotional and reflective qualities of experience that inspire its users to have a private moment of reflective experience to the synthetic experience of online communication, with preserved room for solitude preserving private reflection and sentimental experience, expanded time experience with an enhanced awareness of the presence of time and an augmenting indirect cue to enrich the expressiveness of communication. The understandings of impact of the suggested design are working as understanding potential implication of design, and also by extensive examination, turned out to be distinguished and unique experience of online communication which comprise the body of experience of slow communication. After all, the body of experience is considered to draw the substantial instance of slow communication in online space, which formerly had been limited to be drawn in theoretical and conceptual grounds without an intensive substantialized understanding of user experience.

현대의 온라인 소셜 미디어들이 커뮤니케이션의 신속함과 간편함, 편리함이라는 ‘빠름’의 특성에 편향되어 발전되고 있는 경향이 있다. 이를 배경으로, 이 연구는 ‘느림의 철학(philosophy of slowness)’이 내포하는 소통을 통한 성찰의 가치, 그리고 경험의 다양성이라는 가치에 주목하여, ‘느림의 철학’을 소통의 영역에서 구현한 ‘느린 커뮤니케이션(slow communication)’의 가치와 느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slow communication)의 중요성에 대해 재고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느린 커뮤니케이션을 염두에 둔 온라인 소셜 미디어의 디자인을 위한 ‘쉬어가기 디자인 (Pause moment Design)’과, 이를 중심으로 한 종합적 디자인 지식(comprehensive design knowledge)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쉬어가기 디자인’이란, 일종의 단순화된 인터렉션 방식을 묘사하는 디자인 개념의 한 종류로, 인터렉티브 시스템의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시스템 사용에 대한 몰입에서 한 걸음 물러나 자신의 내면이나 경험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주는 인터렉션 디자인 전략을 뜻한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온라인 소셜 미디어의 사용자들이 능동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활용하는 방식들을 실질적으로 관찰함으로써, 위와 같은 디자인 개념이 ‘느린 커뮤니케이션’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디자인 개념이라고 확신하였다. 그리고 이 기초적인 디자인 개념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디자인 사례의 반복적인 개발과 검증을 통해 발전된 ‘쉬어가기 디자인’의 개념과 더불어, ‘쉬어가기 디자인’을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디자인 고려사항, ‘쉬어가기 디자인’이 암시 혹은 내포하는 결과적인 영향에 대한 이해, 그리고 ‘느림의 철학’에 기반한 ‘느린 커뮨케이션’의 개념적 기반의 발전 등 다양한 스펙트럼에 걸친 디자인 관련 지식을 축적하고자 하였다. ‘쉬어가기 디자인’의 기본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제작 컨텐츠를 작성하고 이를 온라인 커뮤니티에 공개하기 이전에 1) 수 분에서 수 시간에 이르는 일정한 대기 시간을 가질 수 있고, 2) 대기 시간 동안 개별 사용자가 스스로의 컨텐츠를 검토-수정하도록 배려하며, 3) 기다림의 순간을 공유할 수 있도록 고려한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SNS) 사례인 숙성실(Ripening Room), 숙성실2 (Ripening Room 2)을 개발하였다. 실제로 일정 수준의 소셜 네트워킹 및 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위 사례들에서 이루어진 일련의 사용자 연구를 통해, 본 연구는 ‘쉬어가기 디자인’이 온라인 사용자들이 1) 자기 표현 과정에서 더 나은 내적 성찰의 경험을 가지고 이를 자기 표현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점과, 2) ‘확장된 시간 경험(expanded time experience)’, ‘사적인 성찰의 공간(preserved room for solitude)’, 그리고 ‘증강된 간접적인 표현 (indirect cue)’으로 이루어진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냈다. 특히, 빠른 커뮤니케이션의 속도로 인한 소셜 미디어의 현재와 순간에 초점이 맞추어진 사용자 경험, 즉각적인 공유와 반응으로 인한 성찰의 시간 부재, 그리고 온라인 매체 특유의 제한된 비언어적 소통을 고려했을 때, 본 연구가 밝혀낸 ‘쉬어가기 디자인’의 특징적인 사용자 경험은 느린 커뮤니케이션이 가지는 가치와 대안적 소통의 방식으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그리고 반복된 디자인과 개발의 과정을 통해 축적된 디자인 고려사항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현재 가장 유명한 SNS 서비스인 페이스북(Facebook)과 연동할 수 있는 ‘숙성실 앱 (Ripening Room App)’을 개발하였다. ‘숙성실 앱’은 빠르고 간편한 소셜 미디어의 대표적인 사례인 페이스북의 게시물을 작성하고 공유하는 과정에 ‘쉬어가기 디자인’을 적용하여, 페이스북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경험에 변화를 일으키도록 의도되었다. ‘숙성실 앱’을 이용한 사용자 연구는 결과적으로 ‘쉬어가기 디자인’이 ‘확장된 시간 경험’, ‘사적인 성찰의 공간’, ‘증강된 간접적인 표현’을 통해 페이스북의 사용자 경험에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밝혀냈으며, 더 나아가 페이스북 사용자의 자기 표현이 더 깊은 숨겨진 내면(hidden self)을 드러내도록 유도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그리고 또한, 사용자의 내적인 성향이 ‘쉬어가기 디자인’의 해석과 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소라는 점을 밝혀냄으로써, 향후 ‘느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자인을 적용하는데 있어 사용자들의 성향을 고려한 전략적인 선택이 중요할 것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쉬어가기 디자인’의 반복적인 적용과 개발, 검증을 통해 ‘쉬어가기 디자인’ 발전된 디자인 개념으로 도출하였으며, ‘쉬어가기 디자인’ 사례의 적용과 개발 과정을 통해 축적된 디자인 고려사항에 대한 지식, 그리고 ‘쉬어가기 디자인’의 ‘느린 커뮤니케이션’ 경험에 대한 이해를 종합하여 종합적 디자인 지식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쉬어가기 디자인’ 사례들을 통해 관찰된 ‘느린 커뮤니케이션’의 실현을 통해, 본 연구는 ‘느림의 철학’이 우리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 시사하는 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전까지, 특히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느림의 철학’은 단순히 개인의 내면과 정신적인 측면에서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쉬어가기 디자인’의 적용을 통해 관찰한 ‘느린 커뮤니케이션’은 더 나아가, 우리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얻는 경험과, 우리 스스로를 표현하는 방식, 그리고 사람 간의 소통하는 방식에 실질적이고 가치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현대의 ‘빠른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유의미한 대안으로 여겨진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D 15001
형태사항 x, 143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배재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yung Suk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명석
공동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un kyung Lim
공동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임윤경
수록잡지명 : "Ripening Room: Designing Social Media for Self-reflection in Self-expression". DIS '14 Proceedings of the 2014 conference on Designing interactive systems, pp.103-112(2014)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