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 study on the knowledge sharing behavior in professional research information community : the case of biology field in korea = 전문연구정보 커뮤니티 구성원간 지식공유행동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A study on the knowledge sharing behavior in professional research information community : the case of biology field in korea = 전문연구정보 커뮤니티 구성원간 지식공유행동에 관한 연구 / KyeongNam Yeon.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790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TM 15007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study investigates possible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knowledge sharing intention and behaviour between researchers within a web-based online community on the basis of social capital theory and individual motivation theory to maximize the R&D productivity and to promote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e empirical data are collected from the Biolog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BRIC), one of the fifteen government funded Nation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s (NRIC). The NRICs were established in a number of universities in 1995 as the Korea government bega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search information as a significant R&D resource and as it holds a purpose of collection, process and dissemination of core research information. Amongst the fifteen NRICs, BRIC was selected as a target for this empirical research as it is known for operating the most advanced community function. According to the Global Innovation Index, published annually by WIPO, a noticeable difference in figures between the R&D investment indicators and output indicators of Korea is evident. This study raised its preliminary question from such recognition. South Korea is undoubtedly a world leader in human capital and research investment. In 2013, its total R&D investment ranked 5th in the world, and its ratio of R&D spending to gross domestic product (GDP) was second to Israel. Moreover, the number of scientists for every one million people in the country was ranked 4th in the world. Nevertheless, its level of research output performance is rather low in comparison with other nations of similar level of resource input. Such consequence is a major concern for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funding agencies that invest heavily in R&D activities. Cooperation and knowledge sharing between researchers is one of the vit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output performance within an R&D sector. In additi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must be based on a strong knowledge sharing between researchers in various fields. Thus, it is fundamental to recognize the possible reasons which encourage the knowledge sharing behavior as this will constitute the first step toward increasing the R&D output performance.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lowers temporal and spatial barriers, which, as a consequence, improves access to knowledge information and accelerates knowledge sharing. The investigation was based on the social capital theory to explore how three different types of capitals; cognitive capital, relational capital and structural capital could contribute to knowledge sharing behaviour along wi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A total of 286 members in the Biolog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 (BRIC) participated in the survey were tested on a knowledge sharing model framed with 7 hypothese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cognitive and relational capital exerts significant effect on the members’ knowledge sharing intention although structural capital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he lack of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capital and the intention to share knowledge goes in contrast to previous findings in the literature that indicated significantly a positive effect. This maybe due to the lack of social ties amongst members of the BRIC as its members interact thoroughly on a web-based community on account of temporal and spatial boundaries all around the world. In case of relational capital, ‘trust’ is found to be valued in members’ knowledge sharing intention and this ‘trust’ is often built over time via shared history, frequent interaction, and co-presence. Therefore, presence of research communities such as small group meetings for specific research fields is crucial to enhance continuous and frequent interaction which will help to establish trust among the researchers. Additionally, cognitive capital, which are created when opinion-sharing and self-efficacy are eviden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members’ intention to share knowledge. The members’ knowledge contribution towards the goal of the research community should also be emphasized. Engagement of common aspiration will eventually enhance members to contribute and exchange knowledge with others within the group. The individual motivation is also thought to influence one’s intention to share knowledge regardless of whether it is intrinsic or extrinsic. The accomplishment and enjoyment achieved when helping others worked as a distinct influence on intention among all the factors tested. In a virtual context where participation is voluntary, it is crucial that members find and receive pleasure in the process of exchanging their knowledge to others. Besides that, members also expect some forms of either economic or socio-economically extrinsic return from their sharing. Finally the survey also proved that the ‘intention’ to share knowledge substantially led to their actual knowledge sharing ‘actions’. The main contribution of the study comes from its application of social capital theory and motivation theory to the knowledge sharing context of NRICs,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 and run voluntarily by the R&D community. To promote knowledge sharing as an effort toward better output performance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e government should devise clear guidelines and assistance on how knowledge exchange and sharing could or/and should take place among the members in the community. Especially, it needs to be acknowledged that knowledge-sharing only through journals or offline meetings has severe limitations as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cycle is shortened by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Therefore, the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in cyber spaceutilizing advanced IT technology will be more important than off-line knowledge sharing. In addition, by having objective measures, the government will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n the success of its NRICs initiatives and the strategy for enhancing the R&D productivity through the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R&D 생산성에 대한 여러 측정지표 중에서 WIPO 등이 매년 발표하는 세계혁신지수(Global Innovation Index)에 의하면 대한민국은 연구개발 투자지표와 산출지표 간에 큰 격차가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대한민국은 투입지표 측면에서는 인적 자본과 연구개발투자에 있어 세계 최고 수준의 국가이다. 2013년 국가연구개발비 총액은 전 세계 5위, 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은 이스라엘에 이어 2위, 인구 백만 명당 과학기술자 수는 4위이다. 그러나 R&D 투자대비 산출성과는 상대적으로 뒤쳐져 있다. 특히 논문·특허 등 과학적 성과는 142개 국가 중 12위로 우수한 편이나, 지식공유·지식자산 등 무형자산 산출성과는 68위, 창조적 성과는 54위로 낮은 편이다. 이는 과학기술 경쟁력 향상 및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해 막대한 연구개발비를 투자하고 있는 대한민국 정부로서는 반드시 극복해야 할 과제인 것이다. 기존의 과학기술 협력 및 혁신 연구들에서는 무형적 성과의 향상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같은 연구분야와 관심사를 가진 연구자들 간의 네트워크 형성 및 협력, 그리고 지식공유를 지목하고 있다. 이외의 요인들도 있으나, R&D 부문은 고도로 전문화된 영역이므로 오랜 경험과 연구를 통해 각 연구자들에게 축적된 전문지식이나 암묵지 같은 무형의 자산들이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각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지식들의 공유와 협력이 활발하게 이루어 질 때 학계 및 국가 R&D 분야에 풍부한 사회적 자본이 쌓이게 되고 이는 바로 국가의 창조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한 국가의 R&D 연구자들 간의 지식공유와 협력이 국가 전체 R&D 성과에 중요하다는 기존 연구들을 토대로 연구자들 간의 교류를 통해 만들어 지는 사회적 자본이론과 개개인의 내외적 동기 이론들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 지식공유와 지식 협력연구들에서는 연구자간 활발한 사회적 교류가 연구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의 연구추세인 학제·융합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도 여러분야 연구자 간의 지식공유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지식공유와 협력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유를 아는 것은 필수적이며, 성과 증진 및 학제연구 촉진에 첫걸음이 될 것이다. 더욱이 정보통신기술의 진보는 시간적·공간적 제약을 낮추고 지식정보에의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지식공유는 점점 더 가속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연구자 네트워크이며, 연구개발성과 향상을 위한 혁신 사업의 하나인 국가연구정보센터를 플랫폼으로 이루어지는 회원 간의 지식공유 행동과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모델은 기존 사회자본 연구들을 기반으로 세 가지의 자본 유형으로 나누어 연구하였으며, 또한 내재적·외재적 동기로 나누어서 어떻게 이러한 선행변수들이 지식공유에 영향을 주는지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본 조사에는 생물학연구정보센터 회원 286명이 참여하였다. 7가지 가설로 구성된 지식공유모델을 통한 테스트 결과 구조적 자본, 관계자본, 인지자본 등 3가지의 사회자본 중에서 관계자본과 인지자본은 구성원간의 지식공유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조적 자본은 지식공유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구조적 자본과 지식공유 의도 간에 상당한 유의성이 있었는데 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의미한 연관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난 점이 대조적이다. 이는 조사 대상 연구정보센터 회원간에 연대감이 부족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각자 다른 물리적 공간에 존재하면서 사이버 공간을 통해서만 회원들이 상호 교류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각 자본 유형별로 살펴보면, 관계자본의 경우 회원간의 신뢰가 지식공유 의도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자본을 형성하는 비전공유와 자아효능감 또한 지식공유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회원들이 커뮤니티가 추구하는 목표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고 지식공유를 통해 더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를 품는 것이야말로 각자가 지닌 지식의 공헌을 유도하는데 있어 중요한 것이다. 아울러 R&D 커뮤니티는 대부분의 회원들이 학술 프로필을 보유한 전문가 집단이므로 자신의 지식 수준과 역량에 대한 자신감, 자아효능감 또한 지식공유 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기존연구에서도 각 개인이 본인 스스로 평가한 전문성이 공헌하는 지식의 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된 바 있다. 타인을 돕는 것에 즐거움을 느끼는 개인의 내재적 동기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외재적 동기 또한 지식공유 의도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타인을 돕는 즐거움은 본 연구를 통해 조사한 6개 요인 중에서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회원들이 외적 강요나 조건 없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즉 온라인 커뮤니티의 지식공유는 회원들이 자신의 지식을 다른 사람과 교환하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것이 가장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구성원들은 자신이 지식을 공유하는 만큼 받기를 기대하는데, 이러한 외부로 부터의 반환이 경제 및 사회·정서적 자원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정보센터 구성원들의 지식공유 의도는 구성원들의 실제 지식공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 정부가 대학에 설치하여 산학연이 자발적 참여하여 운영하며, 각종 정보와 논문, 특허, 장비 정보들을 교류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인 국가연구정보센터의 맥락에서 연구자간의 실제적인 지적교류인 지식공유를 사회자본이론과 개인의 동기이론에 근거하여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향후 정부가 연구개발성과를 향상하고 학제간 연구를 촉진하여 창조경제에 기여할 성과를 창출하고자 한다면, 그 노력의 일환으로써 산학연 연구자들의 지식공유를 촉진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R&D 커뮤니티에서 어떻게 지식의 교환과 공유가 일어나는지 이해하고 명확한 가이드라인과 지원방안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급격한 과학기술 발전으로 기술개발 주기가 급속히 짧아지는 요즈음에는 학술지 또는 오프라인을 통한 지식공유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IT 기술을 활용한 사이버 공간에서 더 많은 전문가들이 실시간으로 만나 축적하는 사회적 자본에 더욱 주목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본 연구가 제시한 바와 같은 객관적인 측정을 통해서 국가연구정보센터 사업의 성과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국가 연구개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사회자본으로서 육성전략을 구안할 수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TM 15007
형태사항 vii, 82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연경남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yeong Cheol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명철
수록잡지명 : "Knowledge sharing behavior among community members in profession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s". Information Development,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학과(IT경영학),
서지주기 References : p.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