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Essays on firm R&D performance analysis : classification of R&D investment by K-IFRS and purpose of R&D = 기업의 연구개발 성과 분석에 관한 연구 : 회계기준 및 연구개발 목적에 의한 연구개발비 분류를 고려하여
서명 / 저자 Essays on firm R&D performance analysis : classification of R&D investment by K-IFRS and purpose of R&D = 기업의 연구개발 성과 분석에 관한 연구 : 회계기준 및 연구개발 목적에 의한 연구개발비 분류를 고려하여 / Dong Phil Chun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789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TM 1500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Korea has achieved an outstanding economic growth with its proactive R&D investment. Many existing studies argue that the growth of Korean firms is derived from its active expansion of R&D investment, rather than efficient allocation of resources for R&D activities. However, this simple approach of active expansion of R&D investment has reached its limit to sustain Korean firms’ growth. In order to narrow down the gap with developed nations, newly industrialized countries such as Korea needs to implement efficiency-based resource allocation approach to manage its R&D activities. Thus,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R&D performance of Korean firms. Korean firm’s R&D investment is divided into expensed and capitalized R&D investment by K-IFRS (Korea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The firms have been managing their accounting using both capitalized and expensed R&D investment to adjust their profit. Previous studies have not focused focusing on this type of accounting practices. However, the attentions have been diverted to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nsed and capitalized R&D investment and financial performance. R&D investment is also classified by R&D purpose that includes internal and external R&D activities. Previous studies have not taken into account the above classification of R&D investment to analyze the R&D performance which limited drawing policy,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This dissertation consists of two core essays to address the above issues by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firms’ R&D. The first essa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major firms’ R&D performance by using DEA. Overall, R&D efficiency score of Korean major firms was high. However, their marginal efficiency was low. Based on the results, firms not only need to focus on securing R&D investment, but also on improving their efficiency. Capitalized R&D investment was found to be less efficient than expensed R&D investment. In this sense, policy makers and practitioner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mproving firms’ R&D performance. Capitalized R&D investment can be suggested as a key area which may enhance marginal efficiency thereby contributing to the firms’ R&D performance. The second essay introduced the concept of R&D process which consists of innovation and commercialization stages. In this essay, R&D performance was measured by considering the classification of R&D investment based on R&D purpose. In order to analyze the efficiency throughout each stage, two-stage DEA was applied. The R&D efficien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throughout the two stages of R&D. Firm size and industry type were found as influential factors throughout each stage.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basis for policy makers to develop relevant policies to enhance firms’ R&D performance by considering the stage of R&D. The last essay estimated the R&D performance of Korea’s hydrogen energy sector. The R&D activities in this sector are sponsored by Korean government, which promotes the collaborations among firms, universities, and government research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hydrogen sector’s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on Korea’s national economy were found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domestic industries. From 2020 to 2040, the total production value was estimated to be from 2,979 to 13,484 billion KRW. This dissertation mainly focused on firms’ core innovation activities taking place in a short-term period. Furthermore, this study also introduced a new approach to measure firms’ R&D performance in which an actual market does not exist and technological breakthrough is required. This breakthrough type of innovation requires provision of a long-term funding and taking high-risks to develop new technologies for creating new markets. DEA and I-O analysis were used broadly to analyze R&D performance. Empirical results in this study provided insightful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business managers, and scholars. Future studies need to integrate comparative approach to address national and sectoral differences in R&D performance. Especially, further studies must consider firms’ strategy such as non-disclosure of their technological assets. Investigation of influential factors on R&D performance is also a promising area for future studies. These future attempts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firms’R&D performance.

한국은 적극적인 연구개발을 통한 성과를 기반으로 이례적인 경제성장을 이룬 국가이다. 과거 한국 정부 및 기업은 연구개발 성과 분석에 따른 효율적인 자원 배분 보다는 절대적인 투자의 확대를 기반으로 한 성과 창출을 기반으로 성장하였다. 이와 같은 전략으로는 지속적인 성장에 무리가 있으며, 특히 선진국과의 격차를 좁히고 중국과 같은 신흥 공업국과의 격차를 유지 및 확대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연구개발 성과 분석을 기반으로 한 효율적인 연구개발 관리, 자원 배분이 요구된다. 한국 기업의 연구개발비는 회계기준에 따라 자본화 처리된 연구개발비와 비용화 처리된 연구개발비로 구분된다. 기업들은 연구개발비의 자본화 처리의 정도에 따라 이익 조정의 기회가 있기에 자본화 처리와 비용화 처리를 함께 활용하여 연구개발비의 회계 처리를 수행한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이러한 회계 처리에 대하여 충분한 고려가 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국내 주요 연구들의 경우 비용화 및 자본화 처리와 재무적 성과 또는 회계 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어 왔다. 또한 기업의 연구개발비는 목적에 따라 구분이 가능한데, 내부 연구개발을 위한 연구개발비와 외부 연구개발을 위한 연구개발비로 구분이 가능하다. 이의 고려를 통한 연구개발 성과 분석과 관련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고, 이에 따라 각 연구들의 시사점이 제한되어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한국 기업의 현황과 기존 연구개발 성과 분석과 관련한 선행 연구들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3개의 논문으로 구성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 에세이에서 자료포괄분석을 활용하여 한국 주요 대기업의 연구개발 성과 분석을 기반으로 현황을 파악하였다. 한국 주요 기업들의 경우 전반적인 연구개발 효율성은 높았지만, 한계 효율성이 낮은 상태에 있는 기업들이 다수로 나타났다. 기업의 의사결정자들은 연구개발투자의 절대액의 확대 뿐 아니라 이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자본화 처리된 연구개발비가 비용화 처리된 연구개발비와 비교하여 비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이 밝혀졌는데, 이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 자본화 처리된 연구개발비는 한계 효율성의 개선을 위한 관리 분야로 제시가 가능하며, 이의 효율적인 사용은 기업의 연구개발 성과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두 번째 에세이에서 연구개발 과정은 혁신과 상업화 단계로 구분해야 한다는 개념을 소개하였다. 기업의 연구개발 목적에 따른 연구개발비 분류를 고려하여 연구개발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각 단계 별 연구개발 효율성의 분석을 위하여 2단계 자료포괄분석을 적용하였으며, 각 기업의 연구개발 효율성은 각 단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함을 밝혔다. 뿐만 아니라 각 단계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써 기업의 크기와 산업 유형을 제시하였다. 기업의 크기와 산업 유형은 각 단계에 있어서 반대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정책 입안자로 하여금 정책 개발을 위한 중요한 기반 자료를 제시하였다. 마지막 에세이를 통하여 최근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연구개발 유형인 정부 주도의 산o학o연이 협력하는 연구개발 유형에 대하여 한국 정부에 의해 수행된 수소에너지 기술개발 연구개발을 사례로 성과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수소에너지 관련 산업은 한국 경제에 있어서 전o후방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2020년부터 2040년까지 약 2조 9천억원에서 13조 5천억원 사이의 생산유발액이 창출될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기업의 단기적 관점의 현재 주력하는 핵심 분야를 위한 혁신에 집중하였다. 뿐만 아니라 아직 시장이 창출되지 않은 분야에 대한 선도적 기술 개발을 위한 장기적 관점의 신기술, 신시장 분야에 대한 혁신을 소개하였다. 자료포괄분석과 산업연관분석을 기반으로 이에 대한 연구개발 성과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학문적, 정책적,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를 통하여 국가 간 비교, 산업 간 비교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특허를 등록하지 않는 전략을 활용하는 기업과 같은 기업의 전략적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며, 기업의 연구개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영향 요인 규명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은 향후 기업의 연구개발 성과 향상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TM 15002
형태사항 vii, 84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천동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ang Hon Chu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정양헌
수록잡지명 : "The role of hydrogen energy development in the Korean economy : An input-output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39.no.15, pp.7627-7633(2014)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