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빛의 조형물을 통한 서사공간 디자인: 혼성동물 프로젝션 맵핑 사례를 중심으로 = Narrative space design affected by light-sculpture: focused on making a hybrid animal applied with projection mapping
서명 / 저자 빛의 조형물을 통한 서사공간 디자인: 혼성동물 프로젝션 맵핑 사례를 중심으로 = Narrative space design affected by light-sculpture: focused on making a hybrid animal applied with projection mapping / 최함이.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5].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7442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1501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Digital life continues to accelerate at the speed of light. Technology of light is an important factor in digital driven space design. The implications of digital media touch upon spacial composition pattern on the one hand and aesthetic phenomenology on the other. Life space modeling by light can be defined as digital technology thoroughly integrated into everyday life and activities, and it is often regarded as the intersection of computer science, visual arts, and space design. Media arts are booming these days and as a result are reshaping the city`s appearance. Everyone can conduct an experiment with projection mapping to improve the real world’s stark image. Light-scape on digital wave is constantly unfolding, pervasive, and far reaching space. The purpose of this inquiry is to search the concept about creation of robotic lifeforms on light-space. An epic passion for light, born out of animal spirit, made 4 meter-sized sculpture titled Anima mundi. As a canvas of light, the big animal was fabricated from pieces of wire and then put on clothes made of hanji, Korean traditional paper. It was designed as a mythical horse from ancient Greek history using 3D modeling techniques. The animal has a notable feature of futuristic robot as well. This experimental artwork is a hybrid of robotic head and horse`s body. In this research, robot design is positioned as a transitional phenomenon with respect to a movement from a mechanical paradigm to a biological paradigm. The main characteristic of robot stories is a transforming motif. Robot’s narrative design has recently risen to prominence. At this point, the hieroglyphs carved into hybrid animal’s skin by digital light were magic spells for dramatic change. According to Choi Han-ki, Korean philosopher in 19C, cosmic space composed of four dynamic elements, seeds of light; vitality(活), motility(動), circularity(運), variability(化). From a place of origin for Asian robot design, dragon signifies metamorphosis and rebirth(換骨奪胎). Nowadays robots have the ability to morph their body and look flexible, almost dragon-like. As a living embodiment of the animal spirit, it took on a new spectacular robotic lifeform at night, electrifying the sky with live art. Novel application in spacial experiments arises through addressing how transformable media skin can dynamically occupy predefined physical space, KAIST Sports Complex. Throughout field studies, animated animal changed the nature of space. In the context of campus environment, the appreciation of light-sculpture evoked diverse emotions such as hopeful feeling and deeper understanding of coexistence. The vision of space design guides human life into light. It reflects something about our daily campus lives.

빛의 공간조형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결합한 공간디자인의 미래이다. 빛의 언어로 일상의 생활공간에 이야기를 새기는 공정은 종합데이터예술(Gesamtdatenwerk)이라고 볼 수 있다. 현대적 공간은 물리적 건축물이 아닌 무형의 데이터로 풍경(landscape)을 만들어내는 추세이고, 이를 새롭게 빛의 경관 (lightscape/datascape)이라고 칭한다. 미디어 프로젝션 기술에 예술적 콘텐츠가 접목되면 빛은 공간의 의미전달체로 기능하게 된다. 생태계의 구조화된 빛으로 환상적인 동물형태(Animal Lifeform)을 조형하고, 그 동물몸(Skin)에 동아시아 로봇의 문화원형인 창룡(蒼龍)의 내러티브를 입혔다. 고대의 문화원형을 아날로그적인 서예와 전각으로 가공하여, 그 아이콘(圖像)이 디지털 영상콘텐츠로 흐르게 하였다. 신화 속 환상동물이 현대에 와서 미디어스킨을 입고 변신(Metamorphosis) 하는 과정이 일으키는 경이감, 희망의 서사시를 그리고자 했다. 다채로운 색은 이야기를 풀어내기에 좋은 소스이다. 모든 색은 빛에 의해 존재하기에, 색깔을 빛깔이라고도 부르는 것이다. 물질공간에다 빛(Digital Light)을 투사하는 순간ㅡ 컬러풀한 서사공간으로 변모하는 것은 빛이 곧 색을 담지하고 있는 까닭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4m 사이즈의 초대형 하이브리드 애니멀이 공대 캠퍼스라는 공간적 맥락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보려는 것이다. 상용공간을 채우는 감성의 빛을 사람들이 어떻게 인지하고 반응하는지, 어떠한 정서적인 체험을 제공하는지 현장에서 실험해보았다. 본 실험으로는 현장 연구와 포커스그룹 인터뷰 등을 통해 다양한 피드백을 종합하고, 설문조사를 한 통계를 내어 가치를 검증했다. 우리 일상생활을 비추는 빛의 공간조형과 문화기술(Culture Technology)의 혼성체가 열어가는 로봇생태계의 미래를 고찰하며 논고를 마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15013
형태사항 vi, 95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Ham-i Cho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명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yung Suk Kim
공동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우성주
공동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Woo, Sungju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