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Energy dependence study on photodissociation reaction of ethyl bromide = 에너지 변화에 따른 에틸브로마이드의 광분해반응 연구
서명 / 저자 Energy dependence study on photodissociation reaction of ethyl bromide = 에너지 변화에 따른 에틸브로마이드의 광분해반응 연구 / Hee-Soo Yoo.
발행사항 [서울 : 한국과학기술원, 1983].
Online Access 제한공개(로그인 후 원문보기 가능)원문

소장정보

등록번호

410231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AC 831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vacuum ultraviolet photolyses of ethyl bromide were investigated in the wavelength range of 100-200nm by using various energy sources, i.e., 104.8-106.7, 123.6, 147, 163.3, 174.3-174.5 and 193.1 nm. The pressure effect by adding inert gases, He, $N_2$ and $CF_4$, was also observed. The order of collisional efficiencies were found to be $CF_4>N_2>He$. A scavenger effect of the reaction was performed by using NO as a radical scavenger. The establishment in this work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i) the major products are $C_2H_4$ and $C_2H_6$ regardless the energy sources; (ii) $C_2H_4$ is derived, primarily, from non-radical precursors by molecular elimination of HBr while $C_2H_6$ is originated from radical sources; (iii) the competitions between these two modes of reactions are found to be strong energy dependent to the irradiation wavelength. The fraction of molecular elimination has shown to increase as the wavelength shift to shorter side while that of radical reactions has shown the opposite trend. Secondary reaction mechanisms are also found to be energy dependent. A derived products $C_2H_2$, for example, was formed from $C_2H_4$ by molecular elimination at very short wavelengths such as 104.8-106.7 and 123.6 nm. Whereas these phenomena were not found at longer wavelength. Only exception was observed at 147 nm where small quantity of $C_2H_2$ was derived from the radical source.

진공자외선 영역인 100~200nm사이의 여섯가지의 광원-아르곤(104.8 -106.7nm), 크립톤(123.6nm), 크세논(147nm), 브롬(163.3nm), 질소(174.3-174.5nm), 탄소(193.1nm) 원자 등의 원자방출선 -을 사용하여 조사시켜 준 빛의 에너지가 에틸브로마이드의 광화학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첨가물의 효과를 보기 위하여 헬륨, 질소, 테트라풀로로메탄을 넣어 실험하였고 이때 첨가물의 압력효과는 테트라풀로로메탄>질소>헬륨의 순서로 나타났다. NO를 첨가하였을 때 라디칼 반응은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브로민 램프를 사용한 실험결과 NO와 에틸라디칼과의 반응은 에틸브로마이드와 에틸라디칼의 반응보다 약 $10^4$ 정도 빠른 반응임을 보였다. 실험결과 에틸브로마이드의 광분해 반응은 1차 반응경로로써 분자이탈 반응과 라디칼 생성반응의 두 가지로 일어남을 알았고 각 파장에서의 두 가지 반응의 비율은 쪼여주는 빛의 에너지가 적어지는 순서에 따라서 각각 80:20, 60:40, 50:50, 32:68, 20:80, 18:82로 나타났다. 이차 반응 경로 역시 쪼여준 빛의 에너지와 연관이 있음을 보였다. 아세틸렌 생성반응에 있어서 에너지가 높은 경우(104.8 - 106.7, 123.6nm) 에틸렌의 분자이탈반응을 통하여, 에너지가 낮은 경우(147nm)에틸렌으로부터 라디칼 반응 경로를 통하여 아세틸렌 생성반응이 진행되었고 더욱 낮은 에너지(163.3nm이하)에서는 아세틸렌이 생성되지 않았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AC 8312
형태사항 ix, 112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Appendix : 1, Physical properties of window materials for VUV photolysis. - 2, Lifetime measurement of $C_2H_5Br^{+(1)}$
저자명의 한글표기 : 유희수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yung-Hoon Ju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정경훈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화학과,
서지주기 Reference : p. 106-109
주제 Ethyl bromide.
자외선 조사.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광 분해 (Photolysis/disintegration)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Ultraviolet radiation.
Photodissociation.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