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Visualization of the sparsely scattered data on the surface of the sphere = 구면상에서 희소하게 산재한 자료의 가시화
서명 / 저자 Visualization of the sparsely scattered data on the surface of the sphere = 구면상에서 희소하게 산재한 자료의 가시화 / Seong-Jun An.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1991].
Online Access 제한공개(로그인 후 원문보기 가능)원문

소장정보

등록번호

800254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CS 9157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Graphics Visualization techniques are useful for analyzing a large amount of scientific data from experimentations, simulations or observations. Some of them can be applied to such real-valued functions as temperature, rain-fall or pressure defined over the surface of the earth that can be thought of as the surface of the sphere. In general such data as temperature or pressure are observed on the surface of the sphere, the locations of which are scattered. The number of data points determines the costs. In this thesis a method is presented which visualizes the sparsely scattered data on the surface of the sphere. Triangulation is done as preliminary step for interpolation and visualization. Virtual data points are generated using triangle-based $C^1$ interpolation methods and used for visualization with real data. Contouring is used as a major visualization technique in this thesis. Also a technique is presented which renders a surface of the sphere with triangular decomposition. It is a variation of ray-tracing technique. It utilizes spatial coherences, which accelerate the process of finding the triangle containing the point to be displayed.

그래픽(graphic)을 이용한 가시화(visualization)는 실험이나 관측을 통해 얻어진 방대한 양의 자료를 분석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법이다. 이러한 기법들은 지구 표면상에서 얻어질 수 있는 기온, 강우량이나 기압등과 같은 자료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자료들은 그 분포가 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필요한 자료가 많아질수록 그만큼 자금도 많이 들어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구면상에서 희소하게 산재한 자료를 가시화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삼각형화(triangulation)는 보간(interpolation)과 가시화에 필요한 기초작업의 역활을 한다. 가상자료(virtual data point)를 삼각형을 기초로 하는 보간법(triangle based interpolation)을 이용하여 얻고, 이 가상자료들를 가시화에 실제자료들과 함께 이용한다. 등고선법(contouring)이 주요 가시화 기법으로 이용되다. 또한 삼각형으로 나누어진 구면을 표시(display)하는데 있어 위치긴밀성(spatial coherence)을 이용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S 9157
형태사항 [ii], 36 p. : 삽화 ; 26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안성준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yu-Young Wha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황규영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전산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주제 Triangulation.
Visualization.
컴퓨터 그래픽.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가시화.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자료. --과학기술용어시소러스
Computer graphics.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