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실내 위치기반 모바일 앱 서비스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cceptance factors for indoor location based mobile service application
서명 / 저자 실내 위치기반 모바일 앱 서비스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cceptance factors for indoor location based mobile service application / 정형주.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723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M 1400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4891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IM 1400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Recently, the indoor location service application has shown remarkable growth and leading the Smartphone application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Behavioral Intention” and “Use Behavior” in acceptance of the indoor location based mobile service application. For this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which is used extensively to analyze the intentions of users dealing with new information technolog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current Indoor location based mobile service application user and 252 valid questionnaire were recove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2 and Smart PLS2.0.Independent variables are as follows: Four variables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were tested as critical variables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 in UTAUT model. The individual innovativeness was a add variable. As a result, Performance Expectance, Social Influence, and innovativeness effect the behavioral intention.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which had been mainly focused on the personal location data privacy issue. However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that it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most active user acceptance in Indoor location based mobile service application

최근의 스마트 폰 시장의 성장에 따라서 실내 위치기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앱 시장이 급성장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살내 위치기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앱 이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 행위의 요인 분석에 있다. 본 연구는 UTAUT모형을 기반으로 설계가 되었으며, 본 모형은 사용자의 신기술의 수용요인을 분석하는데 유용하다. 본 연구의 기초 데이터는 사용자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획득이 되었으며, 252건의 유의한 자료를 기반으로 진행이 되었다. 수집 되어진 데이터는 SPSS 22와 SMART PLS 2.0을 기반으로 분석이 되었으며,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의 연구모형에 혁신성을 추가 하였다. 결과적으로 성과기대, 사회적영향, 혁신성이 의용의도에 영향을 미쳤다.기존의 연구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문제에 많은 관점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지만, 본 연구는 실내위치기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앱에 수용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 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M 14002
형태사항 ⅴi, 63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Hyung-ju Ju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병태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Byung-Tae Lee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정보경영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53-57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