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Exploring depressive moods through the lens of online social behaviors =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내 행동 특성에 기반한 우울감 파악 연구
서명 / 저자 Exploring depressive moods through the lens of online social behaviors =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내 행동 특성에 기반한 우울감 파악 연구 / Sung-Kyu Park.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713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WST 1401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As people around the world are spending increasing amounts of time online, the question of how to make online experiences more pleasant and rewarding, and beneficial for mental health and well-being becomes essential. The research goal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activities on Facebook and a common mental disorder, depression. Based on a 234 participant study with two times of experiments by utilizing the web-based application developed, first, it was revealed that certain Facebook activities had predictive power in distinguishing depressed and non-depressed individuals. Participants` responses to the pages of tips and facts related to depression,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number of checked app-tips and app-point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hereas the number of geotag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CES-D scale. Furthermore, in finding group differences in Facebook social activities, checked app-tips and app-points resulted i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obably depressed and non-depressed individuals. Second, further investigation was conducted and it was found that not only the sheer size of the friends network had predictive power on depression but also the frequency and diversity of online interactions had high association with depression. Comments had a strong association with depression as well as likes, which is a popular positive lightweight interaction. Although depressed individuals report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smaller involved online social network with whom they interacted they showed the similar degree of attention to the involved friends within their small networks compared to non-depressed individuals. Yet, they mainly showed the one-way communication style such as clicking likes on fan pages or uploading texts on their walls at Facebook; these kinds of one way communication exposing themselves to outside may be linked with loneliness. The application could successfully evaluate depressive symptoms as well as provide useful tips and facts to rightful targets.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uccessfully demonstrated that the more one is depressed, the more one w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pplication. It could be also confirmed that depressed individuals had significantly fewer online interactions with others. The application also successfully raised awareness to depression among participants, most of whom had no prior experience visiting a psychiatrist. These findings will be discussed from theoretical, empirical, and subjective perspectives. The results open the door for examining Facebook activities to identify depressed individuals. Furthermore, since it has been proved that the developed application can aid people who are struggling with certain types of depression the future work includes to design sophisticated online interventions that can actually interact with those users and positively influence them through the application.

최근 스마트폰의 확산 및 무선 인터넷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online social network, OSN) 서비스에 접속하는 전 세계 인터넷 인구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초고속망 인프라 구축으로 인터넷 사용자 비율이 타국에 비해 월등히 높아 만 3세 이상 인구의 82%인 40,080천명이 인터넷을 하루 평균 2시간 이상 이용하고 있고, 특히 만 6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의 67%는 최근 1년 이내에 OSN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변화에 기인하여 어떻게 하면 다양한 온라인 사회 관계망 경험을 통해 사용자들의 삶의 만족도나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인가가 중요한 질문으로 우리 사회에 대두되고 있다. 질문에 대한 하나의 가능한 답으로, 이 논문에서는 페이스북 (Facebook) 내 사용자 행동과 정신장애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 중 하나인 우울증간의 관계를 이해해 보고자 한다. 우울증은 개인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자살과 사회부적응 등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야기시키는 현대의 대표적인 정신질환이다. 세계건강보건기구 (WHO)는 2020년에 심장 관련 질환 다음으로 우울증이 현대인이 앓고 있는 가장 많은 질환이 될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2년 기준 OCED 국가 중 자살률 1위로 그 문제의 시급성이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우울증의 조기진단에 대한 공공 정보가 부족하고, 사회 통념상 우울증은 숨겨야 할 개인의 나약함으로 치부되어 조기 발견 및 치료가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우울증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조기진단을 하기 위해 다양한 오프라인 캠페인이 시도되고 있지만, 여기에는 시간과 비용적인 측면에서 많은 현실적인 제약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OSN을 통한 새로운 대중 접근법이 개발된다면 현재 우울증 관련하여 언급되고 있는 문제점들이 많은 부분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OSN인 페이스북의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와 연동시킨 웹 기반 어플리케이션 (EmotionDiary)을 개발하여, 페이스북 사용자 중 우울감 있는 사용자의 온라인 행동 특성을 규명하였다. 우선, 카이스트 내 115명 학생을 대상으로 한 첫 번째 연구 결과로 사용자의 우울감이 높아질수록 위치 태깅 등의 실제 활동 및 타인과의 온라인 관계 맺기가 줄어들고, 반면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우울증 관련 팁을 확인하는 등의 어플리케이션 내 활동은 많아지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기능을 개발하면 우울증 환자들의 활발한 어플리케이션 내 활동 참여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카이스트 내 234명의 학생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두 번째 연구 결과로, 우리는 페이스북 사용자의 전체 친구 수뿐만 아니라 친구 네트워크 안에서의 최근 소통 빈도와 소통하는 친구의 다양성이 우울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높은 수준의 음의 상관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우울 그룹과 비우울 그룹의 비교에서 우울 그룹은 상대적으로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모두 작은 상호교류 (`코멘트`를 남기거나 `좋아요`를 누르는 등의 행동으로 측정)의 특징을 갖고 있었다. 우울 그룹은 반면 교류하는 친구의 컨텐츠에는 비우울 그룹과 유사한 정도의 관심을 보였다. 하지만 이런 관계는 일방적이어서 친구들은 우울한 그룹이 남기는 컨텐츠에 덜 반응했다. 우울 그룹은 또한 특정 팬 페이지에 `좋아요`를 남기거나 평소보다 더 자주 자신의 담벼락에 글을 남기는 등의 일방적인 온라인 활동을 하였는데, 그 행동의 기저에는 실생활에서의 `외로움`이 깔려 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울한 학생들은 일과시간에 온라인 활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실제 생활에서 일어나는 사회활동의 부족함을 만회하려는 노력의 하나로도 해석될 수도 있다. 향후 연구로는 OSN을 사용하는 우울한 사람들의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내 상호작용 차원에서 규명하여, 이를 통해 우울감이 있는 사용자들을 선제적으로 검출하여 우울증 초기 단계부터 보다 체계적 관리가 가능한 통합 예보 시스템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본 통합 예보 시스템이 구축되면 전국적 범위에서 어느 지역의 우울감 지수가 현재 높아지고 있고, 앞으로 높아질 것인지 분석 및 예측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에 더해 우울증에도 만성 (chronic), 급성 (acute) 유형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그 중 개인이 정확히 어디에 속하는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개인별 맞춤 관리 및 차별화된 온라인 중재 (intervention) 솔루션도 상용화 추진 예정이다. 이와 같은 지속적인 성과로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이 충분히 발전한다면, 보다 편리하게 온라인으로 우울증을 관리 및 치료할 수 있어 관련 의료 산업에도 큰 파급 효과를 끼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울증은 그 특성상 직접적인 병원 방문을 꺼리는 환자들이 많은데 이들에게 온라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중재 및 치료를 제공할 수 있고, 이 시도를 통해 사회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광범위한 대상에게 보다 실제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WST 14011
형태사항 v, 46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박성규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ee-Young Cha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차미영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웹사이언스공학전공,
서지주기 References : p. 37-43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