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A study on the context/contents-related value to affect the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Focused on 40-year-old and over in Korea =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context-content 가치 연구: 베이비부머와 고령자를 대상으로
서명 / 저자 A study on the context/contents-related value to affect the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Focused on 40-year-old and over in Korea =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context-content 가치 연구: 베이비부머와 고령자를 대상으로 / Sang-Hyun Jo.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705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TM 1402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As smartphone penetration increases and its technology is advanced, lots of various mobile services come out in the market. Therefore, old people as well as young people can use the mobile services with their smartphone.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MHA) service is specifically highlighted for the phenomena, Global aging & well-being trend in the world. MHA services can give a lot of benefits for old people to manage their health at home with smartphone and some extra devices. People can use MHA services at anytime and anywhere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MHA, ubiquitous. In spite of the great advantages, however, MHA services have had little attention so far, so there is little empirical literature about MHA services toward old people. This research develops a research model consisting of context/content related perceived values to explain the intention to use a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service towards the baby boomers and old adults. To carry out this research,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f MHA users and recognizers who are over 40-year-old in Korea. 313 respondents gave right data and that data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o obtain some results from the data. Except for reassurance and emotional (enjoyment) value, other content-related values (Usefulness and Convenience value) positively affect the intention to use to a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under all of the context-related values (Conditional value representing health stress and Epistemic value). The findings indicate that people who have health stress and are interested in a new way to control their health have a lot of interest in MHA services. It is true that people can use the MHA service whenever and wherever they want, so it is very convenient and useful, but they do not think that MHA is not that beneficial to them. That is because the current level of MHA services is too low to satisfy people’ expectation and needs. Hence, market-oriented approach that finds out users’ needs, specifically reassurance value in MHA service field is needed to develop a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한국뿐만 아니라 전세계는 전체 인구 중 65세 인구가 인구 분포의 상당수를 차지하게 되는 고령화 현상을 맞이하게 되었고, 고령화로 인해 발생 될 문제점들에 대한 대처책을 찾기에 고심 중이다. 고령화에 따른 문제점 중 하나로 언급되는 것이 인구의 노령화에 따른 만성질환자 관리 필요성 증대와 비용 증가일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령자에 소요되는 의료비용과 케어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건강관리에 대한 니즈가 증대될 텐데, 이런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 바로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MHA) 서비스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활용해 언제나, 어디에서나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건강관리 서비스로 개개인에 맞춰 일상으로 건강 및 만성질환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장년층과 노년층뿐만 아니라 웰빙에 대한 관심 증가로 다양한 연령층에 소구 할 수 있는 건강관리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저조한 관심과 시장 확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40~ 50대의 장년층과 60대 이상의 노년층을 대상으로 MHA 서비스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해 실버 소비자 행동을 이해하고 MHA 서비스 확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이 아닌 소비자의 지각 가치(Perceived Value) 중 소비 가치(Consumption Value)를 기반으로 연구 모델을 구성해 MHA 사용 의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특히, 지각 가치를 두 가지 그룹, 개인 사용자의 상황 혹은 환경에서 지각될 수 있는 Context Perceived Value와 MHA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Content Perceived Value로 나눠 MHA 서비스 사용 의도를 파악하고 한다. 제품 혹은 서비스에 대해 개인이 느끼는 효용성에 대한 총체적인 평가를 지각 가치라 할 수 있는데, 지각 가치는 사람에 따라, 서비스/제품 종류에 따라, 그리고 사용 환경에 따라 달라지게 되므로 소비자의 구매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각 가치를 고려해야 하며, 나아가 지각가치를 세분화시켜 상황별(Context) 및 콘텐츠별(Content) 지각 가치를 통해 소비자의 서비스 혹은 제품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황별 지각 가치 그룹에 Conditional Value(Health Stress)와 Epis-temic Value, 콘텐츠별 지각 가치 그룹에는 Usefulness Value, Convenience Value, Emotional Val-ue(Enjoyment), 그리고 Reassurance Value를 넣어 MHA 서비스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건강 관리에 대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 건강에 대한 스트레스를 느끼는 사람일수록(Conditional Value) 그리고 새로운 건강 관리 방법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일수록(Epistemic Val-ue) MHA 서비스가 제공하는 4가지 가치를 높게 평가할 것이라 가정했다 (H1 ~ H8). 그리고 각 MHA 서비스가 제공하는 가치를 인지하면 MHA 서비스 사용을 할 것이라 예상했다 (H9 ~ H12). 본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40~50대 장년층과 60대 이상 노년층 31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했다. MHA 서비스 인지자와 실 사용자가 각각 50%였으며, 남녀 성비도 각각 50%였다. 모든 설문 문항은 5점 척도로 질문 되어졌으며, 각 설문 문항은 기존의 지각 가치 연구 논문에서 차용되어졌다.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구조방정식 모델로 구성된 연구 모델을 분석하기 위해 LISREL과 SPSS 프로그램을 사용했다.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 결과, Reassurance Value와 사용 의도(H12) 그리고 Emotional Val-ue와 사용 의도(H9)간의 관계를 제외하고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상황별(Context)가치와 콘텐츠별(Content)가치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Epistemic Value와 콘텐츠별 가치의 관계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달리 말하자면, 현재 사람들이 MHA 서비스를 단순히 흥미 위주로만 다루고 있고 건강 관리 도구로 인식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이를 더욱 뒷받침 해주는 것은 Reassurance Value와 MHA 서비스 사용 의도 간의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현재의 MHA 서비스는 사람들의 건강을 관리함으로써 건강에 대해 안심을 주는 건강 관리 도구로 지각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언제나 어디에서 자신이 원할 때MHA서비스를 사용하여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 편리함과 유용성을 느끼기는 하지만, 건강 관리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Reassurance를 느끼고 있지 못하는 것이다. 실제 MHA 서비스 시장에 출시된 서비스 및 제품들을 살펴보면 단순한 심장 박동 확인 및 식단 관리 등 그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 장년층과 노년층을 대상으로 모바일 서비스의 한 종류인 MHA 서비스에 대한 사용 의도를 기존의 관행적인 모델인 TAM 모델에서 벗어나 소비자의 지각 가치를 통해 탐색했다는 점이 높게 평가될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MHA 서비스 제공자들은 자신들의 주 소비자층이 될 장년층 및 노년층의 MHA 서비스 수용 의도를 파악함으로써 그들의 미충족된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시장지향적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이 높게 평가될 수 있는 부분이다. 원격의료 허용과 IT업계의 주요 플레이어인 애플과 구글의 MHA서비스 제공을 앞두고 본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더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장년층과 노년층의 MHA 서비스 수용 의도를 탐색해 이들의 소비자 행동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으로는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실버 소비자 행동을 이해할 수 있었고, 실용적으로는 MHA 서비스를 촉진시킬 수 있는 함의를 담고 있어 본 연구는 매우 큰 의미를 가진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TM 14021
형태사항 v, 57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조상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Eue-Hun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의훈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46-53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