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소셜 큐레이션 등장이 미디어 조직과 뉴스 생산 및 유통 방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social curation on media organization, new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서명 / 저자 소셜 큐레이션 등장이 미디어 조직과 뉴스 생산 및 유통 방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social curation on media organization, new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 김윤경.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702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SJ 14018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Overwhelming data and the developing awareness of social media are two major threats to the existing mass media. The universal uses of mobile devices are cultivating the very new trend of the media consumption. Social network service (SNS) giants like Twitter and Facebook are covering the news that the existing media might have missed out, inducing a social movement akin to the ‘Arab spring’ Essentially, we are departing away from what is known as the ‘Gate-keeping method’ (which focuses restrainedly and exclusively on past information), towards the Gate-watching method (that emphasizes on information consumer’s interactions to nominate the news that should be reported). Furthermore, more individuals and groups with various expertises are now broadcasting their own contents via social media, growing their influence as social curators. Given the era of overflowing information we are in, the point is not about absorbing all the information available, but to select the ones we desire and need. More ‘information consumers’ are relying on social curators to filter the information and various ‘Social Curation Media’ have been developed to just concentrate on the filtering func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explanations for the phenomenon related with the social curation and to seek measures that could ensure the survival of the incumbent media. During the research, the works of Social curators and Curation media have been examined case by case, and both direct and indirect personnel were invited to a one-to-one in-depth interview as to seek a direction of improvement. Social Curator or Curation media is exploding globally and has been developed transmuted media industry.

무수히 많은 정보가 쏟아지고 소셜 미디어 활용이 늘어나고 있는 현재의 상황은 기존 매스 미디어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사용은 미디어 소비 트렌드도 바꿔놓고 있다. 트위터나 페이스북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뉴스를 전달하면서 기존 미디어들의 역할이 축소되기도 했으며, `아랍의 봄`과 같은 사회 현상은 이를 통해 증폭되기도 했다. 그러면서 뉴스 생산 방식은 미디어가 정보에 대해 독점적이고 배타적으로 접근하는 개념인 게이트 키핑보다는 `정보 소비자`들의 상호작용성이 강조되는 게이트 워칭에 더 방점을 두게 됐다. 나아가 전문성을 갖춘 개인이나 조직이 소셜 미디어를 통해 직접 콘텐츠를 유통하는 이른바 소셜 큐레이터들이 등장하게 됐다. 너무나 많은 정보 속에서 중요한 것은 모든 가능한 정보를 흡수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필요로 하고 원하는 정보만을 집어내는 것이 된 것이다. 이러한 능동적인 `정보 소비자`들은 바로 정보를 걸러주는 소셜 큐레이터들, 이러한 기능에 집중하는 소셜 큐레이션 미디어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 큐레이션과 관련된 현상들을 설명하고 이에 위협받고 있는 기존 미디어의 살 길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를 위해 소셜 큐레이션 미디어에 대한 사례 분석을 시도했다. 또한 소셜 큐레이터 등을 직접 만나거나 이메일을 통해 간접적으로 일대일 심층 인터뷰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소셜 큐레이션 및 큐레이션 미디어가 전 세계적으로 확장세에 있고, 미디어 산업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SJ 14018
형태사항 iv, 75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Yun-Kyung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진달용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Dal-Yong Jin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36-39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