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고형폐기물 최종처리시설의 입지특성 분석 = Analysis of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solid waste disposal facilities using statistical method
서명 / 저자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고형폐기물 최종처리시설의 입지특성 분석 = Analysis of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solid waste disposal facilities using statistical method / 양원탁.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7012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CE 1401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 accordance with increasing waste production, landfills and incineration plants have been set up continuously for disposal of the waste materials. These facilities have the potential to cause environmental or social damage to nearby areas due to various pollutants generated from the treatment process. As a result, data driven proof based on the unique regional conditions is required to identify the distributional problem of the waste treatment facilities. However, most studies in the waste management sector have mainly concerned about the general assessment method or evaluation items to decide suitable sites. In this situation, the thesis analyzed the current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landfill sites and incineration plant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tional density and various geographical data corresponding to locational, environmental, economical, technical, and social condition of each facility. The research measured the locational density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using Hot-spot analysis firstly. The result shows that Jeollanam-do is the most significant area showing the increase of locational density of both facilities from 1999 to 2011. Basis on this result, this study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for Jeollanam-do. Because the Moran`s I statistics presented meaningful spatial autocorrelation of the dependent variable, this research used spatial regression model to control this spatial dependency. The result shows that Spatial Lag Model(SLM) presented the most improved goodness of fit compared with the case of Ordinary Least Squares(OLS) and Spatial Error Model(SEM). The outcome of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precipitation, fields and grasslands area have positive relationship to locational density of the landfill sites, therefore countermeasure to prevent potential damage is required. Furthermore, less favored area corresponding to the effectiveness of waste collection, closer area to ecological preservation zone, and paddy field area have positive effect on the density of incineration plants thus careful analysis of air currents around the facilities and monitoring to prevent damage are needed. This study could play a meaningful role in providing locational conditions of waste treatment facilities for the establishment of proper waste management in local areas. Furthermore, the analytical method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identify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other facilities.

지속적인 폐기물 발생량 증가로 인하여 폐기물 처리시설 확충의 필요성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폐기물 처리시설은 주변지역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기초시설로서 주변지역에 직·간접적인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시설주변의 지리적 환경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잠재적인 피해요인을 진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지·사회·환경·기술·경제 등 5개 지표에 대한 지리데이터를 구축하고 GIS와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인근지역에 피해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전라남도 지역을 대상으로 폐기물 처리시설의 입지특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전라남도의 지자체별 분포도를 통해 폐기물 처리 현황을 분석한 결과 폐기물 발생량이 높은 지역은 광양시, 광주시, 영암군 일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광주시 일대는 400(톤/일)규모의 소각시설을 운영하고 있지만 매립에 대한 의존도가 64%를 차지하고 잔여매립용량은 17만$m^2$ (광양시 일대의 3%)에 불과하여 신규 매립 혹은 소각시설의 확충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입지밀도와 입지특성변수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하였으며 종속변수에 대하여 공간적 가중치를 반영한 공간시차모형을 이용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향상시켰다. 최종모형을 토대로 전라남도 매립시설의 입지특성을 분석한 결과 해당지역은 높은 강수량으로 인하여 침출수의 유출가능성이 있고, 인근에 밭과 초지가 많은 곳에 매립시설이 분포하여 침출수의 유출로 인한 농작물과 초본식생의 오염에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어 침출수 유출방지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한편 소각시설의 경우에는 수집효율성이 열악하고 논과 생태보전지역에 대한 피해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서 입지밀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수집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집경로 및 수집일정 설정과 인근 논과 생태보전지역에 대한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폐기물 총량적 접근에 따라 전라남도 지역 고유의 데이터를 통해 도출된 결과로서 타 지역에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나 지역단위에서 폐기물 처리시설의 지리적 특성에 따른 피해발생요인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CE 14019
형태사항 vi, 94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Won-Tak Ya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장성주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eong-Ju Chang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건설및환경공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67-70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