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Collaborative product design processes between industrial designers and engineering designers - A case study of six consumer product companies = 산업디자이너와 공학설계자 간의 협력적 제품디자인 과정 - 소비제품을 생산하는 여섯 회사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서명 / 저자 Collaborative product design processes between industrial designers and engineering designers - A case study of six consumer product companies = 산업디자이너와 공학설계자 간의 협력적 제품디자인 과정 - 소비제품을 생산하는 여섯 회사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Kwan-Myung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687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D 1400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Well-designed products are the result of the integrated and collaborative contributions of industrial design and engineering design. Yet, there has been a dichotomous view of the two disciplines. Within the engineering design field, industrial design has been regarded as an afterthought relating only to the artistic aspects of a product appearance. Researches on the design process have also been dichotomized into prescriptive and descriptive perspectives. The former, developed by engineering design researchers, defines steps and procedures for designers to follow and the latter describes designers’ cognitive processes in problem-solving activities. Few design processes have clarified what is happening in actual design cases in the collaborative context of industrial designers and engineering designers.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aims at understanding both integrated product design processes and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professional groups in the real world. Specifically, the findings present the types of integrated product design processes, models and the relevant corporate strategies. The present study also intends to suggest guidelines to increase efficient collaborative moves between industrial designers and engineering designers by considering conflicts between them and strategies to resolve such conflicts. To this end, 18 industrial designers and 16 engineering designers from six consumer product companies were interviewed in-depth about design activities they were involved in. Integrated product design processes were constructed with the ‘mosaic method’ where partial design processes that individual respondents experienced were merged into one. As a result, four types of integrated design processes were identified; Type 1: ID-led Concept-driven Process, Type 2: ID-led Combined Outside-inside Process, Type 3: ED-led Inside-first Process and, Type 4: ID&ED Synergetic Process. It revealed that companies tended to employ ID-led processes to develop new concept products while the ED-led process was used for modified design of existing products. According to the process type, designers’ roles and collaboration styles are different. In the case of Type 1, industrial designers initiated product development without any involvement from external experts. In contrast, engineering design tasks preceded an industrial design process in Type 3 in which the industrial design process proceeded under the close supports of engineering designers. The companies utilized industrial design as a pivotal role for industrial design-envisioning product innov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two well-known innovation types; market-pull and technology-driven product innovations. In addition to design processes and collaboration, I proposed integrated product design process models from both problem-solving and form developmental perspectives, as well as the separate design process models of industrial design and engineering design. This was to explain the actual design practice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industrial designers and engineering designers, the transcribed data was coded using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Causes of conflicts, resolution strategies and perceived images of each other were adopted as a coding framework. Two types of conflict causes were reported: task-oriented causes, relating directly to design practice; and structural causes, relating to organizational, cultural and other factors underling the task-oriented causes. The strategies to resolve the conflicts were also identified. Both Engineering and industrial designers use ‘compromise, negotiation, and yield’ widely and generally. It appeared that engineering designers preferred the ‘yield’ strategy more than industrial designers and industrial designers used the ‘insisting’ strategy more than engineering designers. Each group’s perceived image of the other group has also been investigated. Industrial designers think engineering designers are conservative and unadventurous whereas engineering designers say industrial designers are obstinate. I concluded by arguing that the guidelines to enhance efficient collaboration between industrial designers and engineering designers should be implemented. First and foremost, this study will provide an integrated viewpoint of the existing design-related education and research, which I will argue is biased, and give extensive and overall insight into actual product design processes and efficient ways of organizing design development teams by helping understanding of design phenomena in practice across leading companies for the benefit of newer companies.

좋은 디자인 제품이란 산업디자인과 공학디자인의 협력과 협업의 결과이다. 그러나 디자인 연구에서는 이 두 분야에 대해서 이분법적인 관점이 존재해 왔다. 공학디자인 분야에서는 산업디자인이 제품의 외형을 끝마무리 하는 분야로 인식되어 왔다. 이는 산업디자인이 제품 외형의 미적인 것만 다룬다는 관점에서 온 것이다.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도 규범적 관점 (Prescriptive perspective)과 설명적 관점 (Descriptive perspective) 으로 나누어져서 발전해 왔다. 공학디자인 연구자들에 의해 발전되어온 규범적 프로세스들은 디자이너들이 따라야 하는 단계들과 순서들을 정해 놓았다. 반면 설명적 프로세스들은 문제해결 과정에서 디자이너의 사고 과정에 대해 탐구해 왔다. 규범적 프로세스들의 한계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기 위해 표준화 되고, 규범화된 프로세스의 제안에 집중하다 보니 실제 기업에서 일어나는 디자인 현상과 행위들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데에 있다. 또한 대부분의 규범적 프로세스들이 공학디자인 관점에서 제시되어 왔기 때문에 서로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이 긴밀하게 협력하는 디자인 과정에 대해서는 올바른 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다. 설명적 프로세스는 디자이너가 문제를 해결할 때 어떤 사고과정을 거치는지에 대해 치중하다 보니 대부분의 연구가 짧은 시간 동안 통제된 실험실에서 행해지고, 이의 결과는 디자이너의 사고과정으로 결론지어 지고 있다. 이런 연구들의 한계는 매우 복잡하고 포괄적인 현실의 디자인 현상을 거의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이 규범적 프로세스나 설명적 프로세스 모두 실제 기업에서 일어나는 포괄적이고 전체적이며 다학제적인 디자인 현상을 제대로 설명하는 데에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산업디자이너와 공학디자이너의 협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통합적인 제품디자인 프로세스와 이 두 전문가 그룹간의 상호 작용에 대해 탐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서 통합적 제품디자인 프로세스들을 발견해 내고, 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시각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회사들이 특정 프로세스를 왜 사용하는지에 대해서도 탐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전문가 그룹간의 갈등과 갈등해결 전략을 탐구함으로써 디자인 과정에서 두 그룹이 효율적을 협력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소비제품을 생산하는 6개의 회사의 산업디자이너 18명과 공학디자이너 16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한 디자인 활동에 대해 심층 면담을 실시 하였다. 심층면담은 반 구조적인 방식에 의해 실시되었으며, 일인당 평균 8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심층면담에서 녹음을 통해 얻어진 자료는 전사되었고 (transcribed) 통합적 디자인프로세스와 두 그룹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한 분석자료로 사용되었다. 통합적 디자인프로세스를 발견해 내기 위해 개개의 디자이너들이 경험한 개별 프로세스들을 ‘모자이크 방식’을 통해 통합하였고, 이 과정에서 유사 용어를 통일하고, 작은 단위의 프로세스 묶음들 (Process Chunks)을 이용하여 복잡한 프로세스를 단순화 시켰다. 결과적으로 4가지 종류의 통합적 디자인프로세스를 발견하였다. 이것들은 ‘형식1: ID주도의 컨셉추구형 프로세스,’ ‘형식2: ID주도의 내부-외부 통합형 프로세스,’ ‘형식 3: ED주도의 내부-우선 프로세스,’ ‘형식 4: ID&ED 공동작용 프로세스’ 이다. 이들 프로세스의 사용과 관련하여 ID 가 주도하는 프로세스들은 새로운 컨셉 제품을 개발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ED가 주도하는 프로세스는 기존 제품의 수정 디자인에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세스 타입에 따라 디자이너의 역할과 협력방식도 달랐다. 형식 1의 경우에는 산업디자이너들이 외부의 관여 없이 제품개발을 시작한다. 따라서 이들에 의해 주도되는 컨셉디자인 단계가 끝나야 공학디자이너들과의 긴밀한 협력이 발생한다. 반면 형식 3의 경우에는 공학디자인 프로세스가 산업디자인 프로세스보다 선행하며, 이후에 오는 산업디자인 프로세스는 공학디자이너들로부터의 긴밀한 지원을 바탕으로 진행된다. 다른 발견점으로는 회사들이 산업디자이너가 그리는 미래의 비전에 기대어 새로운 제품 컨셉을 제공받는 방식으로 제품 혁신을 이루고자 하는 현상이있다. 즉, 회사들이 산업디자인 비전형 제품혁신을 위해 산업디자인을 중심 역할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이것은 기존의 시장 중심형 또는 기술 주도형 제품 혁신과는 다른 현상이다. 기업의 통합적 디자인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문제해결 관점과 형태의 발전 관점에서 통합적인 제품디자인프로세스 모델들을 제안하였다. 문제해결 관점에서 볼 때 산업디자인 과정은 고도로 추상적인 디자인 문제를 명쾌한 수준으로 정의하는 프로세스로, 공학디자인 프로세스는 명쾌하게 정의된 디자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프로세스로 설명할 수 있다. 형태의 발전 관점에서 통합적 디자인프로세스를 설명할 때는 외부형태와 내부 레이아웃이 순환적이고 참조적인 발전 과정을 통하여 최종 디자인 해결안으로 발전되어 가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디자인 개발의 시작에 있어서 산업디자이너가 정의하는 외부형상과 공학디자이너가 정의하는 내부 레이아웃 중 어느 것이 먼저 결정이 되든지 간에 프로세스가 흐를 때에는 두 개가 동시에 발생하지는 않는다. 프로세스가 진행되면서 늘 하나가 다른 하나의 발전이나 수정을 위한 참조 역할을 하게 되고 이것이 반복적으로 일어난다. 디자인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마지막으로 4가지 형식의 통합적 디자인 프로세스를 설명할 수 있는 산업디자인과 공학디자인의 개별적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들도 제안되었다. 산업디자이너와 공학디자이너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은 ‘갈등원인,’ ‘해결전략,’ ‘상호 인지상(像)’의 주제를 가지고 전사데이타를 부호화 함으로써 실시되었다. 갈등원인으로는 디자인 프로세스의 직무와 직접적 관련이 있는 ‘직무관련 갈등원인’과 직무관련 갈등의 기조를 이루는 ‘구조적 갈등원인’의 두가지가 밝혀졌다. 갈등 해결 전략들에 관해서는 산업디자이너와 공학디자이너들 모두 ‘타협, 협상, 양보’ 전략을 널리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개별적 차이에서 볼 때 공학디자이너는 ‘양보’를 산업디자이너는 ‘고집’을 더 선호한다는 것에서는 나타났다. 각 그룹의 상대편에 대한 인지상과 관련해서는 산업디자이너는 공학디자이너가 ‘보수적’이라고 생각하며, 공학디자이너는 산업디자이너가 ‘고집센’ 그룹 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상적인 프로세스에 대한 응답자들의 의견과 관련해서는 다양한 의견들이 나왔다. 산업디자인팀과 공학디자인팀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과 부정적인 의견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현상은 응답자들이 각자의 영역에서의 경험 때문에 전체 과정을 통합적으로 이해하지는 못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전체적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디자이너와 공학디자이너의 효율적인 협력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무엇보다 이 연구는 기존의 산업디자인과 공학디자인으로 나누어지고, 한쪽으로 편향된 디자인 교육과 연구에 통합적인 관점을 제시해 준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 과정을 실험실 수준의 현상으로 보는 시각을 극복하고, 실제 기업에서 일어나는 디자인 현상을 탐구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유사한 연구를 실시하는 디자인 연구자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회사에 있는 실무자들에게는 제품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해 전체적이고 심도 있는 통찰력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새로운 프로세스를 도입할 때 선도 회사들의 실무 디자인 현상들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됨으로써 효율적으로 디자인 개발팀을 조직하고 운영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산업디자이너와 공학디자이너들의 디자인 행위에서 일어나는 갈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디자인프로세스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D 14006
형태사항 xxii, 281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관명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un-pyo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건표
수록잡지명 : "Don't Make Art, Do Industrial Design: A Voice from Industry". Design Management Review, v.25 no. 1, 40-45(2014)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248-255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