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스마트 폰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신뢰성 평가 경향 = Smartphone users’ tendency in the evaluation of application credibility
서명 / 저자 스마트 폰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신뢰성 평가 경향 = Smartphone users’ tendency in the evaluation of application credibility / 한지민.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658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KSE 1400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ndency of how users evaluate the credibility of smartphone applications. To determine the tendency of how people evaluate credibility of smartphone apps, two typ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e first experiment was execu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o find several applications relevant to credibility. In the second experiment, a credibility stud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ree main application categories, each with a different purpose. Three main application categories are weather, communication, and news & magazine. Credibility was evaluated by four concepts (Presumed, surface, reputed, and earned). The result of this study presents that the tendency of application users’ credibility evaluation differed according to app category. Among the three categories, people considered credibility most when selecting apps in communication category. The influence of the four types of credibility concepts also differed according to app category. In the category of weather and news & magazine, people depended most on reputed credibility. On the other hand, in communication the category, they considered earned credibility the most.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a user’s gender and degree of app experience on application credibility evaluation. Finally, this paper suggests design implications for applications on the market by reflecting the tendency of users’ credibility evaluation, based on the findings.

이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가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면서 느끼는 신뢰성 경향을 알아보기 위함에 있다.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신뢰성 평가를 내리는 경향을 측정하기 위해 두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여러가지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 카테고리 중, 신뢰성과 관련있다고 판단되는 몇 가지 카테고리를 선정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을 진행되었다. 두 번째 실험은 첫 번째 실험에서 선정된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진 세 가지 카테고리를 대상으로 신뢰성 실험과 함께 인터뷰를 하였다. 여기서 세 가지 카테고리는 날씨, 커뮤니케이션, 뉴스 및 잡와 같고, 신뢰성은 `네 가지 종류의 신뢰성(Four kinds of credibility)` 개념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는데 그 종류는 Presumed credibility, surface credibility, reputed credibility, earned credibility와 같다. 본 논문에서 이뤄진 연구 결과, 어플리케이션 카테고리 특성에 따라서 서로 다른 신뢰성 평가 경향을 보임이 밝혀졌다. 세 가지 카테고리 중 사용자는 커뮤니케이션 카테고리에서 가장 많이 신뢰성을 고려하여 앱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가지 신뢰성의 각 영향력 정도도 카테고리에 따라서 달랐다. 날씨와 뉴스 및 잡지 카테고리의 경우는 reputed credibility를 중점적으로 고려했지만, 커뮤니케이션 카테고리의 경우에는 earned credibiity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추가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신뢰성 평가에 있어서 성별과 앱에 대한 경험 정도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본 논문의 두 가지 실험에서 밝혀진 여러가지 가설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카테고리 특성과 신뢰성 평가 경향을 고려한 디자인 임플리케이션을 제안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KSE 14005
형태사항 vi, 82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Ji-Min Ha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윤완철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Wan-Chul Yoon
부록 수록 : 1, 실험1 : 카테고리 선정을 위한 온라인 서베이 질문지. - 2, 실험2 : 신뢰성 실험 질문지. - 3, 실험2의 실험자에게 배부한 부록(어플리케이션 목록). - 4, 실험2의 인터뷰 질문지. - 5, 실험2의 데이터.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지식서비스공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49-50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