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퍼포머의 표현 확장을 위한 웨어러블 컴퓨터 도입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wearable computers for extending the performer's expression
서명 / 저자 퍼포머의 표현 확장을 위한 웨어러블 컴퓨터 도입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wearable computers for extending the performer's expression / 하유이.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628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1401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본 연구는 공연 예술의 주 표현 매체인 퍼포머의 표현 확장을 위한 웨어러블 컴퓨터 도입 방법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며, 디지털 기술의 비약적인 성장이 공연 예술계에까지 미치는 현상을 연구의 출발점으로 보고 있다. 공연 예술의 핵심 가치를 대표하는 미학적 개념인 ‘현존성(presence)`이 공연 예술의 핵심 구성원인 퍼포머의 존재로 이뤄지며, 그중에서도 현장성(liveness)이 현존을 이루는 가장 주요한 특질임을 파악해 대표학자에 의해 정의된 현장성의 개념을 대비하여 정리하고, 이를 강화할 수 있는 퍼포머의 표현 양식을 탐구한다. 나아가 디지털 미디어 현상의 대표적인 미학 개념인 ’재매개(Remediation)` 현상을 토대로 디지털 기술이 공연예술을 매개한 효과와 한계를 살핌으로써, 웨어러블 컴퓨터가 퍼포머의 표현 확장과 새로운 미디어 현상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기술이라는 주장의 논거를 확보하였다. 이에 따라 인간과 기술 교집합에 위치한 웨어러블 컴퓨터 기술의 개념과 역사 및 특성 등을 정리하여, 웨어러블 컴퓨터가 인간의 움직임과 의복 구성 및 인간의 소통 방식에 개입해 인간의 기능을 확장 및 강화하는 것을 확인하고, 공연 예술에서 웨어러블 컴퓨터를 접목한 실제 사례를 살핌으로써 퍼포머의 표현을 확장한 방식과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 무대 의상 디자인 프로세스에 인터랙션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해 퍼포머의 표현 확장을 위한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작품 『유영하는 나의 자아』의 웨어러블 컴퓨터 무대 의상 제작 과정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컴퓨터 기술 도입에 관한 예술가들의 이해를 돕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였다. 동시에, 공연의 주 표현 매체인 퍼포머의 신체가 웨어러블 컴퓨터와 직접 관계를 맺어 의도한 표현을 강화하고, 새로운 형태로 움직임을 매개함으로써 상이한 시대의 다른 미디어들이 서로 관계하면서 새로운 미디어 형식으로 변화하고 진보한다는 재매개의 개념을 충족시키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how to introduce wearable computers for extending the performers` expression, having its starting point in today`s rapid growth of digital technology which permeates even the level of performing arts and results in great changes in them. The key aesthetic concept in performing arts, `presence`, is realized by the existence of performers that is the key ingredient comprising theater arts. Also, it is understood that, among all the factors of presence, `liveness` outshines the other, and so the concept of liveness is reviewed with the researches by two distinguished scholars, namely Auslander and Dixon. Then the researcher examines how performers can reinforce the liveness. Additionally, based on the concept of `Remediation`, a model aesthetic to explain the new media phenomen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and limits of performing arts remediated by digital technoogy, making it clear that wearable computer is the technology that can create a whole new media phenomenon with the extended from of expression used by performers. Based on these points, this study clarifies the concepts, histories, and characteristics of wearable computer technology. We can see that wearable computers intervene in the way we move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extend and strengthen our capability, studying the actual performances that utilized the wearable computer technology on the stage. Plus, with the interaction design methodology applied to designing actual stage costumes, the researcher suggest the design process for wearable computers. This process is clarified by examin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costumes using wearable computer technology in the work 『The Pieces of Me』. Through this, the guidelines are provided to help artists better apprehend the introduction of wearable computer technology. So this study concludes that, as performers` physical bodies engage with wearable computers, the intended expressions are delivered more vividly and remediations are brought about between old and new media that transfrom themselves into a new kind of media, fulfilling the concept of remediation.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14013
형태사항 v, 71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Yu-I Ha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이경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i-Kyung Kim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64-6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