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The evolutionary patterns and dynamics of technological convergence: the case of printed electronics = 기술융합의 동적패턴과 진보특성 연구: 인쇄전자기술 융합 사례
서명 / 저자 The evolutionary patterns and dynamics of technological convergence: the case of printed electronics = 기술융합의 동적패턴과 진보특성 연구: 인쇄전자기술 융합 사례 / Eui-Seok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612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TM 14010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A recent comparative study on the technological convergence and technology fusion was also conducted from industrial perspective. In a similar context, convergence between disparate technologies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technological innovation through strategic alliances and inter-firm networking between different industries or companies. However, despite the increasing interest in technology convergence which requires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relatively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investigating the patterns and mechanism of technology convergence resulting in insufficient information on various facets of the technological convergence phenomen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and to understand technology convergence more fundamentally, I examine the case of printed electronics technology using various analysis and identify the dynamic patterns of technological convergence development. The main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very simple: “How to technologies converge, and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do the key technologies and players exhibit in the course of convergence?” This questions is also highly relevant for those who are engaged in strategy formulation at corporations pursuing technological convergence as well as those who legislate policies at the national level. In this study, I observed and analyzed technological convergence from a variety of angles to address the question of “How did technologies converge, and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do key technologies and players exhibit during the course of converg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the following few critical policy implications: First, when technologies converge, in most cases there is technological disequilibrium between two technologies that are converging. Because of this characteristic,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o have a high level of tunability, which refers to the ability to control or adjust amongst the technologies for successful convergence. In other words, the most critical core procedure involved in convergence is the tuning process, which involves mutually matching disparate technologies for the newly assigned performance objectives and performing fine adjustments across technologies. Therefore, the process of technological convergence expressed in one sentence is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state of optimal balance by the trade-off of performances for each component technologies.” From the standpoint of the government that must stimulate technological convergence, they must be more interested in the question of which component must be subsidized more rather than which technologies to converge. A good point to start is identifying the technology with low tunability among the component technologies to converge. Second, in order to complete technological convergence, the roles of reference technology and matching technology need to be distinguished between technologies. Because of such reasons, it would be more advantageous to repetitively match the technologies by stage to arrive at target performance level rather than engaging in technological development with the complete performance. Third, companies that successfully perform technological convergence must have knowledge absorptive capability over a wide range of technological fields. As technological convergence resemble chemical fusion more than mere physical integration of two technologies, knowledge over a wide range of fields are needed to address various unexpected issues that can arise from convergence of technologies, rather than two separate technological knowledges. With regards to national policies as well, it would be desirable to establish a storage of technical knowledges or revitalize intermediary organizations so that countries or firms can absorb technological knowledges from a wide variety of fields. As discussed so far, in order to stimulate technological convergence, unique characteristics not observed in previous forms of technological advancements or those that have not been regarded to be important must be understood first. Furthermore, I hope that the policies of the government will also based on the phenomenon of technological convergence from this perspective and present the most helpful and conducive alternatives to encourage technological convergence.

최근 하이테크 (high-tech) 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급격한 혁신적 기술의 발전은 더욱 가속화 되고 있고, 이로 인한 신생산업의 출현도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이는 곧, 기술개발의 결과가 신제품이 되어 시장에 도입되는 데까지 걸리는 기간도 점점 짧아지게 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급속한 변화를 거듭하고 있는 기술발전의 환경은, 시장에서의 경쟁판도와 기업들의 시장지배력을 크게 바꾸어 놓고 있다. 이러한 기술혁신의 역동성과 그로 인한 경쟁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대표하는 용어는 바로 “기술융합”이다. 수십 년 동안 서로 중복되는 기존 기술들 간의 결합과 이로 인한 기술융합 현상은 산업의 발전과 기존 기술의 새로운 돌파구를 가능하게 하는 결정적인 계기로 작용해 왔다. Kodama는 기계기술과 전자기술의 융합으로부터 생성된 메카트로닉스 산업이 여러 요소기술들의 관계변화로부터 완성되어져 가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그는 이러한 현상을 “기술융합(Technology fusion)”이라 명명하고, 기술융합을 기존 기술의 돌파(breakthorugh)와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기술혁신으로 인식하였다. 이후 기술융합은 2개 이상의 기술요소가 결합하여 기존의 기술이 갖지 않는 새로운 기능을 발휘하는 기술혁신의 한 현상으로 보다 폭넓게 정의되어갔으며, 최근의 기술진보 또는 기술혁신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중요한 현상으로 자리매김 되었다. 많은 연구자들이 최근의 대표적인 융합기술인 나노기술과 바이오기술 등에서 일어나는 융합의 형태를 밝혀내기 위하여 다양한 서지정보를 이용한 분석을 하였으나, 이들 대부분은 대분류 수준의 기술 또는 산업군이 기술융합에 있어 각각 얼마만큼 기여를 하고 있는지를 논문 또는 특허 수의 시대별 추적을 통해 밝혀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기술융합에 있어서 어느 기술을 중심으로 발전을 했는지, 또는 어느 나라 어느 기업이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실제 융합을 위하여 어떠한 특성을 가진 기술 또는 어떠한 전략을 가진 기업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대답은 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전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융합기술인 인쇄전자기술 사례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분석적인 접근을 통해 융합을 이루는 요소기술을 기술의 역할과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이들 요소기술들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그리고 시대별 핵심적인 역할을 한 요소기술과 플레이어는 무엇인지를 특허인용정보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기술융합에 있어서 국가 간 지식의 흐름은 어떠한 변화를 보여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은 어떻게 융합되었으며 융합과정에서의 핵심 기술과 플레이어는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가?” 라는 질문을 풀기위하여, 몇 가지 구분된 세부질문으로 나누었다. 첫 번째는 ‘과연 기술융합은 어떻게 시작되었으며, 기술 진보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요 특성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이다.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쇄기술과 전자기술의 융합에 대한 지난 100여년 역사를 대상으로 통시적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기술융합의 시작과 발전과정에 영향을 준 요인들을 살펴보고, 기존 기술진보 연구에서 언급되지 않았거나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던 몇 가지 기술융합 과정상의 구별된 특성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 기술융합은 초기에 기술적 비평형상태(technological disequilibrium)로 인해 각 요소기술이 가진 최대 성능상태에서 융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서로의 성능을 하향하며 맞추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겪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상대 기술과의 결합이나 융합 후 목적하는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융합되는 기술이 제어 가능한 또는 조절 가능한 특성을 의미하는 "미세조정성(tunability)"이 높아야한다는 것이다. 이종의 기술들이 새로이 부여된 목적 성능을 위하여 상호 맞추고(matching) 기술들 간 미세한 조정을 하는 과정은 융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성이다.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면, 기술융합의 과정을 “각 요소기술 성능의 지속적인 상쇄(Trade-off)단계를 통해 최적의 균형 상태를 찾는 과정" 이라고 함축적으로 말할 수 있다. 두 번째 질문은 ‘기술융합 과정에서 핵심 기술은 무엇이며 어떠한 특성을 지니는가?“이다. 이 질문은 기술융합을 이루는 요소기술을 기능별로 나누어 어떠한 기술군이 기술융합과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각 기술별 지난 30여 년간의 특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인용정보를 통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기술융합이 진행됨에 따라 어떠한 기술이 기술융합과정에 있어 중간자 또는 매개자 역할을 했으며, 어떠한 기술이 핵심 기술로 역할을 했는지를 밝혀냈다. 분석결과 기술의 중심도 곧 핵심기술의 척도가 되는 근접중심성의 값은 첫 번째 연구에서 밝혔듯이 상대기술을 조절하고 제어하는 기술이 가장 높았으며, 기술간 연결 관계에서 중간자 또는 매개자 역할에 대한 정도를 알 수 있는 매개중심성 값은 소재와 화학기술과 연관이 있는 잉크분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세 번째 질문은 ’기술융합 과정에서의 핵심 플레이어는 누구인가?‘ 이다. 이 질문은 기술융합과정에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던 기업들을 찾아내고, 그러한 기업의 전략적 특성은 무엇인지를 밝혀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하여 특허인용분석 뿐만 아니라 몇 가지 기업의 활동과 관련된 지표들을 새로이 도출하여 이들 지표 간 일정한 패턴을 관찰하였다. 분석결과 가치사슬 기술응용 곧 최종 제품생산을 담당하는 전자제품 관련 기업과, 핵심 원천 기술 영역의 잉크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특허 네트워크에 있어서 핵심 플레이어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기술 포트폴리오에 있어서도 이들이 인쇄전자 관련 특허 집중을 높여왔음을 알 수 있었다. 네 번째 질문은 ’융합기술의 진보에 있어서 국가 간 지식의 흐름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가?‘ 이다. 융합기술이 발전하는데 어떠한 국가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그 국가가 지식을 생성하고 교류하는데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미국은 인쇄전자기술에 있어서 전체시기에 걸쳐 일렉트로그래피 기술을 가장 많이 인용하였으며, 또한 동일 기술에 대하여 가장 많이 피인용 되었다. 미국의 전체시기에 걸쳐 가장 많이 인용 또는 피인용 했던 국가는 일본으로 미국은 일본과 가장 강한 기술지식의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발주자였던 한국의 기술지식흐름의 방향성은 앞서 일본 및 미국과는 다른 양상을 가지고 있다. 한국이 전체시기에 걸쳐 가장 많이 인용 또는 피인용 했던 기술은 반도체 기술로 이는 기술융합의 가장 끝단에서 전자제품제조에 인쇄전자기술을 직접 응용하기 위하여 기술융합에 참여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의 특허는 대부분 자국인 한국 이외에는 다른 나라에서 인용하지 않는 패턴을 보인다. 이는 한국의 인쇄전자기술은 다른 나라에서 다분야에 응용되기 보다는 그 용도에 있어서 제한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이 기술융합에 대한 많은 연구와 실행을 위한 전략적 시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최근의 혁신환경에서 “과연 기술은 어떻게 융합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다각적인 해답을 찾아본 본 연구는 향후 기업과 정부의 전략적 기술개발 방향을 선택하는데 매우 의미 있는 기초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TM 14010
형태사항 ix, 125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의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Won-Joon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원준
수록잡지명 : "Dynamic Patterns of Technological Convergence in Printed Electronics Technologies". Scientometrics, (2013)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109-119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