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Molecular dynamics study of brownian motion = 브라운 운동에 대한 분자 동역학 연구
서명 / 저자 Molecular dynamics study of brownian motion = 브라운 운동에 대한 분자 동역학 연구 / Hyun-Kyung Shin.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611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CH 1400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motion of Brownian particles described by the generalized Langevin equation (GLE) is studied. The molecular dynamics (MD) simulations of simple Brownian particles with various masses and diameters are performed. Besides the momentum auto-correlation function of the Brownian particle the memory function and the fluctuating force are determined and their dependence on mass and diameter are investigated.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particle is derived from integral of the memory function. In two-dimensional system, the normal diffusion conditions in which the friction coefficient is defined are related to order-disorder transiton. Integral of the short time region of memory functions is estimated by Enskog`s theoretical friction coefficient. In two-dimensional confined fluid between parallel walls, friction coefficients and diffusivities are defined even at low-density systems.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transport of Brownian particles in confined non-equilibrium fluid in which the external force is acting on the Brownian particle only.

일반 랑주뱅 방정식 (GLE) 으로 기술되는 브라운 운동을 연구하였다. 분자 동역학 전산 모사를 통해 다양한 질량과 지름을 가진 단순 브라운 입자들의 운동을 관찰하였다. 운동량 자기 상관 함수와 GLE에 포함된 기억 함수, 마구잡이 힘이 브라운 입자의 질량과 지름에 따라 그 성질이 변화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찰 계수는 기억 함수의 적분으로부터 구해진다. 이차원 계에서, 마찰 계수가 정의되는 정상 확산 조건은 규칙-불규칙 변태가 일어나는 영역이다. 기억 함수의 짧은 시간 적분은 Enskog 이론으로부터 구해진 마찰 계수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 평행한 벽 사이에 갇힌 이차원 유체에서, 마찰 계수와 확산 계수는 낮은 밀도에서도 정의된다. 일정한 외부 힘이 작용하는 브라운 입자가 갇힌 비평형 유체 속을 지나는 운동 역시 관찰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CH 14003
형태사항 viii, 53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신현경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Eok-Kyun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억균
수록잡지명 : "Brownian motion from molecular dynamics". Chemical Physics, v.375.no.2-3, pp.316-326(2010)
Including Appendix : 1, Proof of eq. (2.29) and the fluctuation dissipation theorem.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화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46-5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