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Everyday design as a design resource = 디자인 리소스로서의 일상 사물 전용 행위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Everyday design as a design resource = 디자인 리소스로서의 일상 사물 전용 행위에 관한 연구 / Hyang-Ah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598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D 1400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People use artefacts not only as the designers envisaged but also in creative ways, which is called appropriation. This study claims that views on artefact appropriation need to shift from the predominant view, where design should control use, to an egalitarian view, where design occurs every day by everyone, and this starts with the assumption that artefact appropriation has more value as a design resource compared with simply providing a resource for the design requirement. Based on the egalitarian perspective, artefact appropriation is defined as everyday design in this study. Exploration of the nature of everyday design revealed that a case of everyday design consists of meaningful components, a target, a mediator, a goal, and action, but everyday design is solitary action, which is a barrier to studying the value of everyday design as a design resour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suggests designing the application where people can share their cases of everyday design and view others’ cases as well. The application helps people to recognise their existing cases and also to respect the resourcefulness of everyday design through interaction-such as viewing and commenting on others’ cases. This change influences people’s daily lives by motivating people to use their possessions in more creative ways. Based on the applic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value of everyday design in daily life by studying people’s shared cases and how it influenced their daily lives. With the results of field trials involving the applica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ree relationships-mediator-action, goal-action, and goal-mediator-have been used as resources in people’s daily lives. In addition, the creativity of shared cases is also a resource in that it motivates people to try to create more creative cases than those that currently exist.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value of everyday design 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 design by providing professional designers with cases of everyday design collected from the application. The study with professional designers revealed that cases of everyday design were used as a resource for becoming immersed in actual contexts, recalling related designers’ personal experiences, or creating new design problems. The most distinguished role of everyday design is to make product designers recognize people’s unremarkable actions and to enable them to adopt it wholly. In addition, professional designers get assistance in creating forms with the mediator-action relationship.

사람들은 누구나 사물을 자신만의 창의적 방법으로 사용한다. 본 연구는 전용이라 지칭되는 사물의 창의적 사용행위에 대한 관점의 변화에서 시작된다. 생산자-소비자의 이분법적 사고를 바탕으로 의도되지 않은 사용행태는 바로잡아야 한다는 지배적 관점에서 경험의 주체인 모든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매일 새로운 사용을 만들어나간다는 평등적 관점으로의 변화는 일상 사물의 전용행위를 창의적 행위, 즉 하나의 디자인형태로 정의한다. 본 연구는 디자인 리소스로서의 일상 사물 전용행위의 가치를 이해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삼고 이를 위해 일상 사물 전용 행위를 평등적 관점을 바탕으로 일상디자인(Everyday design)으로 명명한다. 기존의 연구 개념들이나 행위들과 구분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일상디자인을 경험적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환경과 상황에 적응하기 위해 즉각적으로 일어나는 용도 변경 행위로 정의한다. 또한, 일상디자인의 사례분석을 통해 각 사례들은 대상사물(Target), 도구사물(Mediator), 목표(Aim), 행위(Action)의 요소와 이들 요소간의 관계를 통해 표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디자인이라는 용어는 기존의 전문적 디자인 영역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에서 일어나는 전용 행위, 즉 일상 디자인을 포함하므로, 연구 질문에서의 디자인 리소스로서의 가치는 일상 디자인 및 전문적 디자인 영역에서의 가치를 의미한다. 이를 연구하기 위해 단독의 행위로 이루어져 왔던 일상디자인의 현행을 행위 주체들의 자발적 공유를 통해 변화시키는 것을 먼저 목표로 삼고, 일반 사람들이 일상디자인 사례를 공유하고 서로의 사례를 참조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디자인 및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숙사생, 주부, 교환학생 등 특수한 환경에 있거나 비교적 부족한 자원을 바탕으로 생활하는 사람들, 또는 자원의 효율성을 중요시 여기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공유된 일상디자인 사례들은 사람들로 하여금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져왔던 일상디자인 행위를 인식하게 하고 평범함의 가치와 그 속에 묻혀있는 재치를 발견함으로써 일상디자인의 가치를 발견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사례 안의 요소간의 관계들은 사례를 보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도구사물-행위 간의 관계는 주변 사물들에 가능한 행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이들 사물들을 보다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목표-행위 간의 관계는 특정 행위가 어떤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그 결과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해당 행위를 취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마지막으로 목표-도구사물 간의 관계는 특정 문제에 대한 적절한 도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일상생활 문제 해결과정에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연구는 실무디자인 과정에서의 일상디자인 사례의 가치를 확인하기 위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수집된 일상디자인 사례들을 제품디자이너들에게 제공하고 특정 디자인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 뒤 그 디자인 과정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제품디자이너들은 일상디자인 사례를 통해 다른 자료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운 일상적 행위들을 쉽게 이해하고 이를 자신의 디자인 결과에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수용한 행위에서 형태를 디자인해나가는 과정에서 일상디자인 사례 속의 도구사물-행위 관계를 활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디자인영역에서 일상디자인은 지금껏 디자이너들이 바로잡아야 할 문제 있는 사용행태로 인식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 밝혀진 일상디자인 사례의 가치는 디자인 실무 및 연구가 보다 넓은 관점에서 일상디자인 행위를 지원하고 활용하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D 14003
형태사항 viii, 154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향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Woo-Hun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우훈
수록잡지명 : "Reinforcing sustainable practices by sharing cases of appropriation". 한국디자인학회, v26.no.1, pp.119-145(2013)
수록잡지명 : "Everyday design as a design resource". International Journal of Design, v8.no.1, (2014)
Including Appendix : 1, Online questionnaire for second field trial with EveryUse. - 2, Collected cases from the field trial for framework of describing cases. - 3, Collected cases from the field trial with Wikiuse. - 4, Collected cases from the field trial with EveryUse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121-126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