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Study on related search terms stimuli for creative concept generation = 창의적 컨셉 전개에 있어서 연관 검색어 자극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Study on related search terms stimuli for creative concept generation = 창의적 컨셉 전개에 있어서 연관 검색어 자극에 관한 연구 / Yoon-Jung Huh.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595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GCT 1400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research aims to improve creativity in design concept generation by using words, particularly from Google’s related search terms, as stimuli. Outputs are based on design concepts which are ideas that motivate major decisions in the design process. To draft initial design concepts, more information and stimuli could help in the early-stage planning which is called concept generation. Successful concept development is highly valuable that designers exercise and make an effort to secure it. In this study, it is hypothesized that word stimuli, which are presented by Google’s related search terms,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design concepts. Specifically, which level of related stimuli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concept creativity, would be determined. To prove the objectives there are secondary objectives: Understanding the connection between word stimuli and creative 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how de-signers use words within concept generation. This will enable the use of word stimuli to facilitate design. In total, four mai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related search terms stimuli on concept generation. Two types of experimental methodologies were used: pen and paper and think aloud. Through pen and paper, participants indicated their concepts on paper with words and drawings. Think aloud method is to instruct participants to verbalize all thoughts as they worked on the tasks. Pen and paper experi-ment was simple and explicit and think aloud method allowed the insight of designers’ cognition concerning the stimuli words. Pen and paper experiments were held for 3 experiments. Think aloud experiment was held for the last experiment. The objective was achieved by measuring and analyzing concept creativity and the processes of creative cognition. For both methods, participants provided with several problems and related search terms which are searched by 5 levels through Google search. For 4 experiments, related search terms were absolutely provided for stimuli, but for some experiments, other stimuli such as non stimuli or WordNet stimuli were added for experiments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related search terms. In the first experiment, to examine the effect of related search terms, the stimuli condition and non stimuli condition are compared. And the concepts are analyzed through creativity and the processes of creative cognition.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s for originality between non stimuli and stimuli conditions. But there is no discernible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for practicality of the concepts in the two conditions. In response to the research question,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the related search terms are effective in enhancing design creativity, as compared to design without any stimuli. The second experiment examines the effect of related search terms stimuli only in stimuli condition. On the base of first experiment, multiply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the relation between crea-tive cognitive processes and the creativity of final concepts is examined in stimuli condition.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wo results that in the first experiment, association, mental synthesis, and mental trans-formation are more related to creativity than other processes but in the second experiment, association, mental synthesis, mental transformation, and analogical transfer are more related to creativity than other processes. As a result, referring the specific processes is meaningless, but it can be concluded that using related search term stimuli in concept generation stimulates the designer into using creative cognitive processes but generation processes mo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reativity and levels of the stimuli are not observed. Many levels of related search terms were used in design concept generation but especially higher levels terms which, were more related to search terms, are more used than lower levels terms. The third experiment examines the effect of related search term stimuli in the process of concept gen-eration comparing in non stimuli, WordNet, and related search terms conditions through creativity and crea-tive cognitive processes. It is resulted that google related search terms are effective, producing creative results and evoking to use more creative cognitions among three condit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intelligent re-sults which are based on collective knowledge are effective than WordNet which is organized into synonym sets, each representing one underlying lexical concept. The fourth experiment examines the effect of related search term stimuli using protocol analysis. For the coding scheme Geneplore model and co-evolution model are used in this experiment. The model of co-evolution consists of the problem space and the solution space in the design process. Through the protocol analysis of 5 cases, patterns are found out in the mapped formalism. It is concluded that the related search terms stimulate to associate with other words and help to start creative cognitive processes. It means that related search terms stimulate to use association, and association stimulates to use other creative cognitive processes. And the usage of stimuli occurred in the solution space. It can be analogized that related search terms stimulate answering the problem rather than questioning. This research aims to improve creativity in design concept generation by using words, particularly from Google’s related search terms, as stimuli. Google’s search produces intelligent results to users based on collective knowledge. It does not give dictionary knowledge or a semantic definition but cultural results based on the collective activity of users. In essence, it is found that related search terms can enhance and inspire originality and creativity of concepts produced by students in short-term design exercises. A logical field of stimuli and their impact on concept generation is partially established. This research do not directly explain whether stimuli enhance concept generation but use specific cognitive processes and structures to define which processes are used in creative results. The inner processes are investigated, which can help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cognitive processes of concept generation.

이 연구는 구글 연관 검색어 자극을 이용하여 디자인 컨셉 전개의 창의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초기 아이디어 전개 프로세스가 결과물뿐 아니라 전체 프로세스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기에 초기 컨셉 전개 과정에 자세한 정보제공이나 다양한 자극은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다. 초기 컨셉 전개는 그 만큼 가치가 있기에 디자이너는 그 만큼의 노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 전개를 위한 다양한 기술과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글 연관 검색어 자극이 컨셉 전개과정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것이라는 주된 가설을 기반으로 연관검색어의 여러 레벨 중 어느 레벨이 창의성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지를 보고자 한다. 이러한 주된 목적을 증명하기 위해 두 가지 부차적 목적이 있다. 창의적 인지과정과 단어 자극간의 관계성을 이해하고, 컨셉 전개 과정에서 자극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이해함으로 주된 목적을 증명하고자 한다. 이것이 디자인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단어 자극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창의성과 창의적 인지과정을 측정함으로써 그 효과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총 네 개의 주요 실험이 연관 검색어 자극의 효과를 확인 하기 위해 실시 되었다. Pen and paper와 think aloud라는 두 가지 실험 방법이 사용 되었다. Pen and paper를 통해 참가자들은 단어와 드로잉을 통해 자신의 컨셉을 전개했다. Think aloud방법은 실험 참여자들에게 작업 중의 모든 생각을 말로 표현하도록 지시한다. Pen and paper 실험은 복잡하지 않고 명확하다면, think aloud방법은 디자이너의 단어 자극에 관한 인지과정을 관찰할 수 있다. Think aloud연구방법은 타당성에 대한 의문이 여전히 있지만 내부 인지 과정을 추적하고 연구할 수 있는 얼마 안 되는 몇 가지 방법 중 하나이다. Pen and paper 방법은 총 4개의 실험 중3 개에서 사용되었고 Think aloud방법은 마지막 실험에서 사용되었다. 모든 실험에는 주어지는 문제와 관련된 구글 연관 검색어를 5 단계로 검색하여 제공한다. 모든 참가자들은 주어진 과제와 단어 자극들을 검토하고, 문제를 해결하도록 지시 받는다. 그리고 그들이 원하는 경우 제공하는 자극을 사용해도 된다고 명시해 준다. 각 5 단계에 걸쳐 검색한 연관 검색어들을 과제 당24개씩 제공하며 검색단계의 레벨의 순서와 관계없이 제공한다. 모든 실험에는 구글의 연관 검색어를 제공하지만, 검색어의 효과성을 증명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무자극이나 워드넷 자극이 추가되었다. 첫 번째 실험은 연관 검색어 자극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자극 조건과 무자극 조건이 비교되었다. 각각 조건의 결과물을 창의성과 창의적 인지과정을 통해 분석했다. 무자극과 자극 조건의 창의성 검사 결과 독창성점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지만 유용성 점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창의력 점수는 두 개 별도의 독창성과 유용성 점수를 결합하여 평가했는데 결과적으로 창의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창의적 인지과정과 창의성의 상관분석에서는 자극조건이 무자극 조건보다 상관관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이 실험을 통해 연관 검색어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연관 검색어를 40명의 학생들에게 제공하였으며, 각 두 개의 과제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80개의 결과물을 가지고 평가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모두 연관검색어를 제공했으며 창의성과 창의적 인지과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두 번째 실험 결과 첫 번째 실험과 비교했을 때 연관 검색어 자극 시 창의적 인지과정 중 generation processes가 창의성과 더 상관성이 높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association, mental synthesis, 그리고 mental transformation 상관성이 높다고 나왔고, 두 번째 실험에서는 association, mental synthesis, mental transformation, 그리고analogical transfer 가 상관성이 높다고 나왔다. 따라서 특정 인지과정의 상관성은 무의미하며, 각 인지과정을 포함하고 있는 generation processes가 상관성이 높다라고 결론 지을 수 있다. 또한 검색 레벨과 창의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관찰 되지 않았다. 다만 여러 레벨 중에 연관성이 높은 상위 레벨의 검색어들이 하위레벨보다 수적으로 더 많이 사용되었다. 세 번째 실험은 무자극, 워드넷, 연관 검색어 조건을 창의성과 창의적 인지 과정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연관 검색어 자극의 효과성을 실험하였다. 결과적으로 구글 연관 검색어가 창의적인 결과물을 생산하고 창의적 인지 과정을 사용하도록 자극하는 효과성이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것은 집단지성을 기반으로 하는 지적인 결과가 동의어 세트, 즉 하나의 기본 어휘 개념을 나타내는 시멘틱 사전인WordNet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결론 지을 수 있다. 마지막 실험은 프로토콜 분석을 통해 연관 검색어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했다. Generplore 모델과 Co-evolution 모델을 코딩스킴으로 사용하였다. Generplore 모델에서는 6개의generative cognitive processes 와 6개의six exploratory cognitive processes를 코딩스킴으로 사용하였고, Co-evolution 모델에서는 문제단계와 해결단계를 코딩스킴으로 사용하였다. 5 사례의 프로토콜 분석을 통해 패턴이 발견되었다. 모든 사례는 generation processes에서 시작하여 exploration processes로 완료했다. 이것은 창의적 발견을 촉진 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속성을 갖는 preinventive 구조를 야기하는generation processes로 시작되고, exploration processes에서preinventive 구조를 의미 있는 방식으로 탐구하고 해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둘째, generation processes와 exploration processes교차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원하는 정도까지 컨셉이 정제되고 확장될 때까지generation processes와 exploration processes의 사이클이 반복 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관 검색어는 참여자들이 그것을 다른 용어와 연결하도록 도와주고, 창의적 인지과정들을 시작하여 전개하도록 도와 주는 데 효과성이 있었다. 그리고 연관검색어를 사용하는 패턴을 통해 연관검색어가 문제제기보다는 문제해결에 자극이 되는 것을 프로토콜 분석을 통해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특히 구글 연관 검색어 자극을 이용하여 디자인 컨셉 전개의 창의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글 검색은 집단지성을 바탕으로 지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것은 사전적 지식이나 시멘틱 정의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며, 사용자의 집단 활동을 기반으로 문화적 결과를 제공하지 있다. 본인은 이 집단 지식이 컨셉 전개에 자극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궁금했다. 본질적으로, 연관 검색어는 창의성과 독창성을 자극하고 고무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컨셉 전개에 있어서 자극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리적 영역이 이 연구를 통해 부분적으로 설립되었다. 또한 창의성을 창의적 결과를 낳는Geneplore 모델이라는 창의적 인지과정을 통해 논의하였고, 결과적으로 단어 자극 조건에서 창의적 인지 과정과 창의성의 관계를 보여 주었다. 이 연구는 단지 자극이 컨셉 전개를 향상시켰다는 결과만을 다루지 않고 창의적 결과물에 어떠한 창의적 인지과정이 사용되었는지 그 내부 프로세스를 함께 조사하여 컨셉 전개에 있어서의 기본 인지 과정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GCT 14001
형태사항 xi, 141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허윤정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Myung-Suk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명석
공동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eoung-Hoon Kim
공동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정훈
수록잡지명 : "The Relation Between Concept Generation and Related Search Term Stimuli". JSSD, confirm-2013.5.31,
수록잡지명 : "Study on Creativity of Game Graphics". LNEE, 181, pp. 339-346(2012)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108-114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