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Opinion dynamics on the internet = 인터넷에서의 의견 형성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Opinion dynamics on the internet = 인터넷에서의 의견 형성에 관한 연구 / Dong-Won L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4].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595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TM 14008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world is rapidly moving to an information society. Many individuals are using smart devices and online social networks to acquire information and share opinions. The Internet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have shown tremendous potential for economic growth and social integration. Business organizations cannot overlook online strategies, and the Internet is also playing a role of public sphere. The Internet provides foundation for transforming current mass-media-centered one-way communication into horizontal two-way communica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ange of communication environment on public opinion formation. Opinion dynamics is a field of research which studies how diverse opinions become integrated into a single consensus or fragmented into several opinions through interactions of individuals. Most of the prior studies on opinion dynamics assumed a synchronous one-to-one communication such as face-to-face conversation. However, with the transition to information society, individuals increasingly move to online environment where most interactions are asynchronous one-to-many communication. This study developed opinion dynamics models for the online environment in two perspectives. At the individual level, the Internet enables individuals to acquire anonymity with ease. At the society level, the Internet brings about digital divide. The study comprises of the following two essays. The first essay proposed an opinion dynamics model for an online environment where anonymous agents and real name agents are mixed by extending Deffuant model.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develop an opinion dynamics model incorporating online anonymity. Unlike prior binary opinion dynamics models, this study considered an opinion as two dimensional. It assumed that an opinion comprises of a subjective dimension and an objective dimension. The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s that anonymity is effective in a closed society where individuals ignore other opinions even when the opinions are slightly different from theirs own. Online anonymity helps individuals to talk about the issues which they are not convinced of with those who they would not have such a conversation in person. In this way, online anonymity facilitates the flow of opinion through the social network. However, in an open society where individuals are willing to listen to opinions quite different from theirs own, anonymity does not appear to be effective. In addition, online anonymity helps a society reach consensus in terms of the number of individuals who agreed upon a majority opinion. However,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anonymity can delay the process of social agreement. Anonymous communications are more likely to have no effect than identifiable one because opinions from an identifiable source are usually perceived to be more trustable than opinions from an anonymous sourc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no single answer to anonymity policy. Anonymity facilitates free flow of information, and thus wisdom of crowds can be implemented in a society filled more with true opinions. On the other hand, in a society filled more with false opinions, falsehood eventually could dominate the whole network. The second essay, proposes an opinion dynamics model for a society where there are individuals who cannot afford the cost of the Internet. To build a research model, two parameters, which are accessibility and connectivity, were introduced to the Deffuant model.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gital divide, several variables were measured at different levels of anonymity. The results suggest that opinions are more fragmented and social harmony is harder to achieve as information technology is widely adopted. In a connected environment, Individuals can integrate like-minded others quickly, but it appears to accelerates segregation globally. The results also show that individuals who cannot use the Internet are 11 to 14 times more likely to be included in a minority group than those who can access online. The minority opinions rarely gain attention, so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interests of the disconnected individuals are disregarded in the society.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disconnected agents are more likely to be discriminated as digital gap closes. In addition, public opinions can be predicted by monitoring online opinions because online opinions quickly converge on a single opinion and the position of the opinion tend not to change. This study also reveals the potential of the Internet. An individual with a novel idea can leverage the Internet to gather like-minded people, rally support for the idea, and develop influential power on the Internet. Small groups can exploit the Internet to struggle for their own agendas and interests.

우리 사회는 빠르게 정보사회(Information Society)로 변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과 소셜네트워크를 이용해 정보를 얻고 의견을 나눈다. 인터넷과 정보기술은 우리사회에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업 운영에 있어서 인터넷 전략을 배제한다는 것은 생각하기 힘들고, 사회적으로도 인터넷은 새로운 공론의 장(Public Sphere)으로써 역할을 하고 있다. 인터넷은 기존 대중 매체의 단방향적인 소통 환경에서 보다 수평적인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이처럼 변화된 인터넷 환경이 사람들의 의견형성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의견형성에 관한 연구(Opinion Dynamics)는 사람들의 의견이 개별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합의에 이르는지, 또는 어떻게 여러 개의 의견으로 분화되는지 여론의 형성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기존의 의견형성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면대면 대화와 같은 1:1의 동기적 상호작용 상황을 가정하였다. 하지만 정보사회로의 이행과 함께 온라인에서 여러 사람과 의견을 교환하는 1:N의 비동기적 상호작용 상황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터넷과 같은 정보기술의 효과가 의견형성 과정에 반영되어 있는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Deffuant et al. (2000)의 Bounded Confidence Model을 바탕으로 새로운 인터넷 환경의 영향을 반영하는 의견형성 모델을 개발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러한 변화가 여론 형성 과정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살펴보았다. 인터넷이 가져오는 변화는 크게 개인과 사회 두 가지 수준으로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다. 먼저 개인들은 인터넷 환경에서 익명성을 획득할 수 있다. 기존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는 의견을 나누는 개인들이 익명성을 확보하기 쉽지 않은데 반해, 온라인 환경에서는 시각적 단서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개인들이 쉽게 익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사회적으로는 정보기술의 발달이 정보격차(Digital Divide)를 가져온다. 정보기술의 발전은 그 기술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는 큰 혜택을 주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상대적인 불이익을 준다. 본 연구는 아래의 두 가지 연구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연구는 익명성이 온라인의 의견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Deffuant의 의견형성 모델에서 의견을 연속적인 실수가 아닌 이산적 숫자들의 집합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익명 행위자의 상호작용 규칙을 표현하기 위해 의견을 객관적 차원과 주관적 차원으로 분리하여 표현하였다. 객관적 의견이란 행위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의견을 말하고, 주관적 의견이란 그 의견에 대한 확신의 정도를 말한다. 익명의 행위자는 사회적 평가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에 확신의 정도에 상관없이 어떤 의견이든지 자유롭게 이야기 할 수 있다. 반면 실명의 행위자는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을 보여야 한다는 사회적 압력(Social Desirability) 때문에 확신하지 못하는 의견은 말하지 못하고, 확신을 갖는 의견만을 말할 수 있다. SIDE 이론에 따르면 시각적 익명성은 개인 정체성을 약화시키고, 특정 사회적 그룹이나 분류와 같은 추상적 정보를 더욱 뚜렷하게 만들어 사회적 정체성을 더욱 두드러지게 한다. 이처럼 사회적 정체성이 뚜렷한 상황에서 익명의 행위자들은 다른 행위자들에게 더 큰 친밀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실명의 행위자들에 비해 익명의 행위자들이 다른 개인들과의 상호작용에서 더 높은 유사도(Similarity)를 갖는 것으로 모델링 되었다. 연구에서는 모델의 정당성을 주장하기 위해 인지과학, 심리학, 행동과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이론을 제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익명성이 열린 마음을 가진(Open-minded) 행위자들로 이루어진 개방사회(Open Society)에서는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함을 보여준다. 반면, 폐쇄적인 사회에서는 익명성의 정도에 따라서 의견 형성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익명성이 의견의 합의에 이르는 과정에서 더 많은 사람을 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지만, 동시에 익명성으로 인해 합의에 이르는 시간이 급격히 늘어날 수 있다는 사실도 함께 보여준다. 이 연구는 향후 의견형성에 관한 연구에서 온라인의 익명성에 관한 연구모델을 제시하였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익명성이 어떠한 환경에서 더욱 효과적일 수 있는지 보여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두 번째 연구는 정보격차가 의견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는 정보기술에 접근할 수 없는 사람들의 인구통계학적 조사에 집중하였다. 하지만 정보격차는 기존의 경제적 불평등과 따로 떼어서 생각할 수 없기 때문에 정보격차에 의해 새로운 불평등이 발생하는지, 기존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더 큰 불평등으로 심화되는 것인지 그 효과를 분리하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정보격차가 가져오는 결과를 연구함으로써 그러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Deffuant의 의견형성 모델에서 개별 행위자들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접근성(Accessibility) 변수와 행위자가 온라인 상에서 얼마나 많은 다른 행위자들과 연결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연결성(Connectivity) 변수를 추가하여 정보격차가 존재하는 환경을 모형화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사회의 인터넷 접근성이 높아질수록 의견의 분화(Fragmentation)가 심해져 합의에 이르는 것이 더 어려워짐을 나타낸다. 또한 인터넷을 사용하지 못하는 행위자들은 사회의 인터넷 접근성 수준에 관계없이 언제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행위자들보다 소수 의견을 갖게 될 확률이 11배에서 14배까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보격차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는 행위자들에게 차별적 결과를 야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 모델에 사회적 또는 경제적 불평등의 가정이 함께 고려될 경우 이러한 차별은 더욱 심각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시뮬레이션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행위자들은 빠르게 합의된 의견을 형성함으로써 나머지 행위자들을 선점된 의견으로 끌어들이는데 효과적인 모습을 보였다. 온라인의 행위자가 소수일지라도 빠른 결집을 통해 초기상태의 의견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은 온라인 의견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전체 사회의 여론이 어떻게 형성될지 보다 이른 시기에 예측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인터넷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보여준다. 개인들은 비록 소수 의견을 갖고 있더라도 인터넷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비슷한 의견을 가진 개인들을 결집하고, 자신들의 의견을 퍼뜨림으로써 온라인에서의 영향력을 더욱 키울 수 있다. 본 논문은 인터넷에서의 의견 형성에 관해 살펴본 초기 연구이다. 기존의 연구 모델을 확장해 온라인 환경에서의 의견 형성을 살펴볼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인터넷 환경이 야기하는 익명성과 정보격차라는 두 가지 큰 변화가 가져올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인터넷에서 다양한 개인들의 의견이 어떻게 변화될 수 있는지 연구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한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TM 14008
형태사항 vii, 83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임동원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Hang-Jung Z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조항정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학과(IT경영학),
서지주기 References : p. 72-83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