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Social eBook을 활용한 소셜리딩의 독서효과 연구 : 인문고전 분야 독서를 중심으로 = Reader experience in social reading using social eBook : focus on the genre of classical humanities
서명 / 저자 Social eBook을 활용한 소셜리딩의 독서효과 연구 : 인문고전 분야 독서를 중심으로 = Reader experience in social reading using social eBook : focus on the genre of classical humanities / 이세연.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3].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5612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1302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A combination of digital technology and books is suggesting new ways of reading. “Social reading” involves the sharing of a reader’s thoughts and ideas with others during the reading process. The “Social eBook,” which is a combination of SNS and an eBook, provides not only the original text but also other reader’s comments, and it enables social interactions inside of a book. We posited that Social eBook could be a useful tool for collaborative learning and that it can provide new opportunities for interpreting classic humanities texts. In this study, we access the possibility of Social eBook as a next-generation form of the book and suggest directions for its success. The research objective here is to determine whether if Social eBook can promote the reader experience to interesting levels and greater levels of understanding in the genre of classic humanities. Moreover, we investigate appropriate genres of text in Social eBook. First, we compared the reader experiences of two different reading groups. During this experiment, two groups read the first chapter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but one group used Social eBook, which provides functions for social interactions and other readers’ comments (reader-generated annotations), while the other group used a plain eBook which provides only the original text. Second, we compared the tendencies of reader-generated annotations during the reading of classic humanities texts and popular literature.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significance of the text - social interaction model" was used for the analysis conducted in this study, and we classified user-generated annotations into five different typ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which used Social eBook showed higher levels of interest and understanding than the group who read only the original text. Regarding the comparison of the genres of the contents, the group who read the classics and humanities genre was more active than those who read the popular literature genre. Participants had a tendency to make more annotations regarding thei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than on text interpretations. In addition, the result shows that Social eBook can promote fine-grained interactions. For future study, more specific ways to improve the levels of interest and understanding will be examined for effective collaborative reading experiences through Social eBook.

최근 디지털 기술과 책의 결합은 새로운 독서 방식들을 탄생시키고 있다. Social eBook은 디지털 시대 새롭게 주목받는 독서 방법인 소셜리딩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미디어라고 볼 수 있다. Social eBook은 SNS와 eBook이 결합된 형태로서 책을 읽는 중간에 다른 인터페이스로 이동하지 않고, 책 안에서 실시간, 비실시간으로 댓글로서 다른 독자와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책을 말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Social eBook이 효과적인 협동학습의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텍스트의 해석이 어렵고 이해를 위해서 깊은 사고능력을 요구하는 인문고전 분야에 새로운 기회를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Social eBook을 활용하여 인문고전 분야 소셜리딩을 할 때의 독서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독자 경험 중심의 Social eBook의 서비스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커뮤니케이션학적 독서교육학적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았다. 독서의 방법은 구술문화 시대의 ‘음독’에서 문자문화 시대로 넘어오면서 ‘묵독’으로 변화했으며, 디지털 문화의 발달로 컴퓨터를 매개로한 커뮤니케이션이 발달하면서 독서에 있어서도 사회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구술문화의 특징들이 다시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독서 교육학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관점은 텍스트의 의미가 다른 독자와 상호 작용하는 관계 속에 있다고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총 세 번에 걸친 프로젝트와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Social eBook을 이용해‘한글논어’를 함께 읽는 프로젝트를 진행한 후에 프로젝트 동안 생성된 댓글을 수집하여 댓글의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첫 번째 실험으로, 독서 흥미와 관련된 독자의 정서를 비교한 결과, 인문고전 분야(논어) 독서에서 Social eBook을 이용하여 소셜리딩을 할 때, 개별적으로 읽으며 원문만을 접한 것보다 독자들의 흥미도와 도전성취감이 높았다. 또한 독자들은 Social eBook을 이용한 것이 그렇지 않은 것보다 콘텐츠의 이해도를 높이는데 더 도움을 주었다고 평가했다. 독자들의 Social eBook 이용 패턴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었으며, 각자의 SNS 이용 패턴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인문고전·철학 분야 콘텐츠와 대중문학 분야 콘텐츠에서 Social eBook 이용 경험을 비교한 결과, 인문고전·철학 분야에서 더욱 활발한 소셜 활동이 나타났으며, 독자들의 댓글 유형도 더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Social eBook의 발전을 위해서는 그룹 리더 설정, 독자 유형별 타깃 설정,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댓글 설정 등을 고려해야 하며, 이러닝을 위한 독서플랫폼으로 특화된 서비스를 제안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추후에는 Social eBook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최종적으로는 미디어, 인터페이스, 콘텐츠, 사용 환경 등을 고려한 Social eBook의 최적화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13026
형태사항 v, 53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Se-Yeon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시정곤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ung-Kon Shi
부록 수록
부록 : 설문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47-49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