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CSR 관점에서 자발적 탄소시장의 의미와 국내활성화 방안 = Study on voluntary carbon market from the aspect of CSR and activation measure in Korea
서명 / 저자 CSR 관점에서 자발적 탄소시장의 의미와 국내활성화 방안 = Study on voluntary carbon market from the aspect of CSR and activation measure in Korea / 이왕겸.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3].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5391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TM 13006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4708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TM 13006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Comparing projects between mandatory and voluntary carbon market, I observed unique diversity in each participating projects. Voluntary carbon market, like mandatory market, can force various buyers to participate the practice because of its diversity and flex-ibility. Moreover voluntary carbon market has become extremely effective way of estab-lishing a firm’s CSR activity. Subsequently demand on CSR activity is one of the objec-tives for buyers to enhance their brand image. Unfortunately domestic companies in Ko-rea do not involve in any kind of international voluntary carbon markets. S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reason why voluntary carbon market could be media of efficient CSR activity, and furthermore, I would like to suggest adjusted policy for invigorating vol-untary carbon market.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carbon control has started in 1972 though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he Human Environment. Since the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ve developed mechanisms for reduction of GHG(green-house gases). One of the important de-cisions was emerged in Kyoto Protocol. It is an establishment of carbon market that is formed for compliance parties and voluntary participants respectively. Voluntary carbon market has four-step supply chain mechanism which is producing, verifica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Co-benefit category on verification step is sig-nificant driver for solving multi-social problems. Major standards in voluntary carbon mar-ket can be classified as two. Those are VSC and Gold Standard deals in projects pursuing to solve multi-social problems such as humanitarian, poverty, health care and various social issues at the same time. For instance, chemical Recovery project at Satia Industries Ltd., BRT Rea Vaya Phase 1A and 1B, South Africa in VSC and the Biogas Program for Animal Husbandry Sector of Vietnam, Bio Gas Generation Project for Tsunami affected Poor in Nagapattinam District were the good example of Gold Standard. Among those, Carbon for Water project is a good example of how voluntary carbon market is effective in market. Recently strategic CSR activity, which aligns with products, and operation man-agement, and core competitive edge, did not prove the performance clearly. Even strate-gic CSR performs differently in different context. Under these circumstances, a company which has difficulty about setting strategic CSR plans, can take voluntary carbon project as alternative CSR activity. However we hardly find out such an efficient activity in Korea, and we had hard time identifying any Korean companies participating in global voluntary carbon market. These phenomenon made us to shift our attention to policies regarding voluntary carbon market in Korea. Voluntary carbon market in Korea is illustrated by KVER Scheme and Carbon Point Scheme. Those schemes focus on small businesses and individual energy sav-ing behavior only. These are far from the concept of voluntary carbon market as a solution for multiple social problems. Today, Korean voluntary carbon market system do not include co-benefit category yet. Korean government rather implements voluntary market policy to connect domestic and international. It will foster the environment that encouraged enterprises develop more projects as multiple social problem solvers.

의무감축 시장과는 달리 자발적 탄소시장은 다양성과 유연성의 특징으로 인해 다양한 구매자를 참여시킬 수 있다. 더구나 자발적 탄소시장은 기업의 CSR 활동을 위한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다. CSR 활동에 의한 시장 수요는 기업 이미지 제고 등을 위한 기업의 구매동기에 의해 발생한다. 하지만 국내 기업들은 국제적인 자발적 탄소시장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이 논문은 CSR 측면에서 자발적 탄소시장의 의미를 밝히고 국내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국제적 협력은 1972년부터 시작되었다. 국제 기구들은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체계들을 개발하였으며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이 교토프로토콜이다. 의무시장과 자발적 시장 모두를 위한 탄소 시장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자발적 탄소시장의 공급사슬은 네 가지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 중 검증 단계의 공동 이익 항목은 복합적 사회문제를 푸는 아주 중요한 추동기제이다. 자발적 탄소시장의 가장 큰 표준인 VCS와 Gold Standard는 인도주의, 기아, 공중보건 등의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프로젝트를 많이 다루고 있다. 최근 기업의 제품 혹은 핵심 경쟁력과 CSR 활동을 연계하는 전략적 CSR이 각광을 받고 있으나 그 효과는 아직 불분명하다. 효과는 다양한 맥락에 따라 결정되며 그렇기 때문에 자발적 탄소시장이 대안적 CSR 활동이 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활동은 좀처럼 찾아보기 어렵다. 국내 자발적 탄소시장 제도는 KVER과 탄소포인트 제도이다. 이 제도들은 중소기업의 탄소 감축 활동과 개인의 친환경 행태 유도를 목표로 한다. 이런 목표는 복합적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중계자로서 자발적 탄소시장의 역할과는 거리가 멀다. 오늘날 국내 자발적 탄소시장 제도는 공동 이익 항목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국내 제도와 국제 표준을 연동하여 보다 많은 기업들이 자발적 탄소시장에 참여하여 복합적 사회문제 해결에 나설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TM 13006
형태사항 vi, 61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Wang-Gyum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백윤석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on-Suk Baik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테크노경영전공,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58-59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