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삶의 의미와 목적 인식’이 고령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urpose and meaning in life’ on the job satisfaction among the aged
서명 / 저자 ‘삶의 의미와 목적 인식’이 고령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urpose and meaning in life’ on the job satisfaction among the aged / 서유진.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3].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5388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TM 1300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4705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TM 13003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mpact of ‘purpose and meaning in life’ on the job satisfaction among the aged. 228 samples of senior were over the age 55 conveniently selected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with subjects from September 17, 2012 to October 9, 2012. Three research instruments were used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Elderly Meaning In Life(EMIL),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 Job Satisfaction Index by Korea labor Institute.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v.20 program. The results are followed: 1.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purpose and meaning in life’ and ‘fac-et-based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2=.428, β=.495, p<.001). 2.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purpose and meaning in life’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2=.329, β=.439, p<.001). 3.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purpose and meaning in life’ and ‘vo-cation (or call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2=.457, β=.650, p<.001). 4.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 (or calling)’ and ‘facet-based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2=.385, β=.389, p<.001). 5.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 (or calling)’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2=.390, β=.483, p<.001). 6. According to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purpose and meaning in life’, ‘vocation (or calling)’ and ‘facet-based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2=.445, βp=.373, p<.001, βv=.189, p<.01). ‘Vocation (or calling)’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urpose and mean-ing in life’ and ‘facet-based job satisfaction’ had an indirect effect. The indirect mediation effec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coefficients: βp1 (simple regression coefficient) - βp2 (partial regression coefficient) = .495 - .373 = .122. 7. According to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purpose and meaning in life’, ‘vocation (or calling)’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2=.404, βp=.193, p<.05, βv=.379, p<.001). ‘Vocation (or calling)’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urpose and meaning in life’ and ‘overall job satisfaction’ had an indirect effect. The indirect mediation effec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coefficients: βp1 (simple regression coefficient) - βp2 (partial regression coefficient) = .439 - .193 = .246.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생산가능인구의 부족이 현안으로 떠오르면서, 한국에서 고령자의 취업률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고령자의 취업 문제는 노인 복지 관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고령화 사회의 노인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이 ‘경제적인 어려움(40.2%)’(통계청, 2011a)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일자리 제공’은 노인 복지의 훌륭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고령자의 직무만족도가 높아지게 되면, 동일한 사회적 비용으로 노인들이 체감하는 복지의 효용과 생산성이 함께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단순히 생계유지 또는 고독감 해소의 차원에서 발전하여, 보다 근본적으로 고령자의 직무만족도와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의 연구가 요구 된다.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삶의 의미와 목적’을 실현하는 도구적 관점에서 고령자의 직업을 다루었다. 고령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로 ‘삶의 의미와 목적 이해’ 및 ‘직업에 대한 사명의식’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지각 수준의 차이가 이들의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인간의 기본적인 동기로서 ‘의미를 찾으려는 의지’라는 개념을 고려하지 않았던 기존 직무만족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삶의 의미와 목적 이해 수준(독립변수)이 요인별 · 전반적 직무만족도(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은 직업에 대한 사명의식(매개변수)에 의해 어떻게 매개될 것인가’를 최종적인 연구문제로 설정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고령자의 ‘삶의 의미와 목적에 대한 이해’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향상될 것이다. 둘째, 고령자의 ‘삶의 의미와 목적에 대한 이해’ 수준이 높을수록 ‘직업에 대한 사명의식’ 수준은 향상될 것이다. 셋째, ‘고령자의 직업에 대한 사명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향상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고령자의 삶의 의미와 목적에 대한 이해’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업에 대한 사명의식’에 의해 매개될 것이다. 다음과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전국에서 고령인구가 가장 많은 서울과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250명의 표본을 유의 표집하여 설문조사 하였으며, 최종 유효표본의 수는 228명이었다. 전체 유효표본 중 남녀의 비율이 각각 73%와 27%였으며, 평균연령은 62.4세였다. 직업군은 단순노무직(34%), 사무직(27%), 판매 · 서비스직(18%), 기술직(14%), 전문직(7%) 등의 다양한 분포를 보였다. 설문응답 중 ‘삶의 의미와 목적 이해’ 항목에서는 ‘삶의 의미 추구’가 가장 높게, ‘자기인식 및 수용’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한편, 직무만족도 항목 중에서는 전반적 직무만족도가 요인별 직무만족도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는데, 이는 고령자들이 객관적인 직무 환경 요인보다는 일 자체에 대한 즐거움, 보람 등에 더 큰 만족도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요인별 직무만족도 세부 항목에서는 ‘일의 내용’과 ‘근로 시간’이 가장 높게, ‘임금’과 ‘개인의 발전가능성’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이러한 각 항목의 설문응답 결과를 기준으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분석도구로는 SPSS v.20을 사용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설정된 모든 가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검증되어 채택되었으며 구체적인 검증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자의 ‘삶의 의미와 목적에 대한 이해’와 ‘직무만족도’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둘째, 고령자의 ‘삶의 의미와 목적에 대한 이해’와 ‘직업에 대한 사명의식’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셋째, ‘고령자의 직업에 대한 사명의식’과 ‘직무만족도’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령자의 삶의 의미와 목적에 대한 이해’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업에 대한 사명의식’에 의해 매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삶의 의미와 목적 이해(독립변수)’, ‘직업에 대한 사명의식(매개변수)’, ‘요인별 ·전반적 직무만족도(종속변수)’의 세 변수 간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직업에 대한 사명의식’이 ‘삶의 의미와 목적 이해 → 요인별 ·전반적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효과도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고령자가 삶의 의미와 목적을 이해하고, 이를 직업을 통해 실현함으로써 자존감을 회복하게 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시작되었다. 노년기에 주어진 일을 통해 자신의 존재 의미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고령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일이 될 것이다. 본 연구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삶의 의미와 목적에 대한 이해 수준이 높은 고령자들이 자신의 직업에서 사명의식을 발견하게 될 때 그들의 직무만족도는 더욱 향상될 수 있었다. 고령자의 직무만족도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직무의 객관적인 환경(보수, 직무의 내용 등)에 기인하여 이들의 불만족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객관적 환경 못지않게, 고령자가 ‘직업을 인식하는 주관적 태도’ 역시 중요한 직무만족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고령자가 단순히 일을 생계를 유지하고 무료함을 달래기 위한 수단으로 인식할 것인지, 아니면 남은 인생의 과업으로 인식할 것인지에 따라 그들의 직무만족도는 확연히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서 발견된 중요한 사실은 고령자가 삶의 의미와 목적을 이해하는 부분 중 가장 취약한 것이 ‘자기 인식 및 수용’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자들이 지나온 과거에 대해 많은 부분 후회를 가지고 있으며, 노화된 자신의 현재 모습에도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고령자의 과거 직업 및 경험들을 현재의 일과 연결시켜주는 의미를 찾게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고령자 자신이 걸어온 평생의 발자취가 마지막 직업을 위해 준비된 것이었다는 의미를 발견하게 될 때, 이들이 직무에서 느끼는 만족도 역시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초 고령화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는 한국은 노인복지에 있어 고민이 깊다. 노인일자리를 제공함에 있어서도, 보수 등의 불만족 요인의 개선에는 한계가 따른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가 제안하고 있는 ‘직업의 사명의식 교육’은 효율적인 비용으로 노인들의 자존감을 회복시켜줄 수 있는 생산적 노인복지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이렇게 고령자들이 노년기에 일을 통해 삶의 의미를 찾아간다면, 한국은 고령화에 따른 생산성 저하 문제와 노인 복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TM 13003
형태사항 vi, 48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Yu-Jin Suh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재원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ay-Won Lee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테크노경영전공,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45-4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