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Interaction-driven design for product concept development = 인터랙션 기반 제품 컨셉 디자인
서명 / 저자 Interaction-driven design for product concept development = 인터랙션 기반 제품 컨셉 디자인 / Seung-Woo Maeng.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3].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530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D 1300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n traditional design paradigm, interaction has been considered as a mean to accomplish the given task. Under this paradigm, most studies have been undertaken with the point of view on how the system should support users with the purpose of satisfying the needs of users. However, with the product interaction changing into command line user interfac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angible user interface (TUI) and the like, the importance of product interaction has been enlarged. In other words, the major concept of product has shifted from the emphasis on function to emphasis on interaction. Accordingly, interaction is considered as a major factor of user experience as the main differentiation factor of the product. However, the needs of existing user or design approach by technology would be appropriate for function design, but it has certain limit to design the interaction-oriented product by emphasizing the efficiency in performing functions.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there are studies to search for attributes of interaction independently from the user behavior and technology and enable designer to handle them. Through this effort, in the event that interaction is the focal point of product development, not the user needs or technology, new design thinking occurs by the idea on the interaction method. In other words, the new design space exists through the interaction idea. Accordingly, under this study, the new design space by the interaction idea is def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such design space are learned. In addition, by developing the case with such characteristics, this study has learned the points to consider in the aspect of practical interaction-driven design approach. For the first phase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new design space by interaction, the literature study on interaction taxonomy and interaction related studies are implemented to find out the general attributes, including the interaction’s components aspect, modality aspect, as well as trigger aspect.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interaction concepts were defined as behavioral interaction, morphological interaction, and operational interaction. In addition, the interaction-oriented cases are collected to make the analysis by selecting 21 cases with recent studies. Through the case analysis, the design approach around interaction has been shown to have the following 4 types. First is identifying interaction modality for new modality type of interaction. Second is mapping interaction and operation to make several interaction sub-sets within one interaction modality. Third is the approach for searching interaction concept for given function to find out the suitable functions. The final category is the exploring product category with interaction concept. At this time, the sources to give inspiration to develop the interaction concept are existed with tangible object, human behavior, toolkit or prototype, interactive skill, design guideline and the like. Thereafter, in order to find out what differences product concept development has from the product development under the existing needs of user, technology and interaction, the design workshop was implemented for 9 designers. As a result, the user-driven design is learned to be difficult to have innovation under the interaction even if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s and new functional development under the existing interface and difficult to control as one of the major interaction concepts with diverse functions to formulate. In addition, it is also learned that the technology-driven design has different design pattern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and difficult to formulate sophisticated ideas only with technology alone. Lastly, when the interaction becomes the driving factor, the thinking has progressed with the most connection point, and the design approach could be made for more innovative ways with this characteristic. Next, in the concept design process by interaction, it indicates the design activity. For this purpose, the design workshop is implemented to collect 60 idea generations from 16 participants and the grounded theory is used for analysis. The thinking step appeared in the concept development through interaction is consisted of selecting stimuli, exploring stimuli, perceiving stimuli, deciding interaction concept, searching domain, and applying interaction concept. In addition, the 4 pattern types are discovered that apply the interaction concept. The discovered patterns are situational problem solving, product components adaptation, behavioral similarity, and semantic similarity. On the basis of design activity learned, the case study was implemented for interaction-driven design process. The case was implemented at the approach level, not the method level. At this time, the case study was prepared through the pilot test, and under this case study, 2 cases for 3 professional designers were developed for the subject of 6 professional designers with 3 years or more of experience. Through this effort, the example on the interaction-driven design was presented and the practical consideration point has been found out. Through this study, the design space of interaction-driven design was defined and the design activity in this design space was disclosed with its actual application. Through such a process, it is learned that the design process has the separate existence for information on the design domain and the information on interaction. On the basis of such characteristics, the interaction-driven product development is learned to have the characteristics to avoid the design fixation and maximize the hedonic value in interaction concept. In addition, it has proposed consideration points and recommendation points when the interaction-driven design is executed by combining discussed points and discovered points in each empirical study. Through the contribution of such knowledge system, it is expected to render help in design study in new design space and practical design works.

전통적 디자인 패러다임에서 인터랙션은 과업(task)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패러다임에서는 사용자의 요구(Needs)를 충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스템이 어떻게 사용자를 지원(support) 해주어야 하는가에 대한 관점의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제품의 인터랙션이 커맨드라인 유저 인터페이스, 그래픽컬 유저 인터페이스 (GUI), 텐저블 유저 인터페이스 (TUI) 등으로 변화하면서 제품에서 인터랙션의 중요성은 커져가고 있다. 즉, 제품의 주요 컨셉이 기능을 강조하는 것에서 인터랙션을 강조하는 것으로 변화 하였다. 이에 따라 인터랙션은 제품의 주요 차별화 요인, 사용자 경험의 주요 요인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사용자의 요구사항(needs)나 기술에 의한 디자인 접근(approach)은 기능을 디자인할 때에는 적합하지만,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서의 효율성을 강조함으로써 인터랙션 중심의 제품을 디자인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사용자 행위, 기술과는 독립적으로 인터랙션의 속성을 탐구하고, 이를 디자이너가 다룰 수 있도록 하는 연구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제품 개발에서 기존의 사용자 요구사항(needs)이나 기술이 아닌 인터랙션이 중심이 된 경우, 인터랙션 하는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에 의하여 새로운 디자인 사고가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인터랙션 아이디어를 통하여 새로운 디자인 스페이스(Design Space)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랙션 아이디어에 의한 새로운 디자인 스페이스를 정의하고, 이러한 디자인스페이스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특성을 가진 케이스를 개발해 봄으로써 실제 인터랙션 기반 디자인(interaction-driven design) 접근에서 고려할 점들을 알아보았다. 인터랙션에 의한 새로운 디자인 스페이스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첫 번째 단계로, 인터랙션 분류(taxonomy), 인터랙션 디자인 관련 연구에 대한 문헌연구를 실시하여 인터랙션의 구성요인(components) 측면, 모달리티(modality)측면, 인터랙션의 시작 형태(trigger) 측면을 비롯하여 일반적 속성을 밝혀 내었다. 이러한 속성을 통하여, 인터랙션 컨셉을 행위적 인터랙션(behavioral interaction), 형태적 인터랙션(morphological interaction), 기능적 인터랙션(operational interaction)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인터랙션 중심의 케이스들을 수집하여 최근 연구를 중심으로 21개의 케이스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케이스 분석을 통하여 인터랙션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어프로치는 다음과 같이 4가지 형태가 있음을 밝혔다. 첫 번째는 인터랙션의 새로운 모달리티(modality)의 타입을 탐색(Identifying interaction modality)하는것이다. 두번째는 하나의 인터랙션 모달리티 안에서 여러 가지 인터랙션 세트(sub-set)을 만들어 내는 형태(Mapping interaction and operation)이다. 세 번째는 기능을 위하여 적합한 인터랙션을 찾거나 적용해가는 형태(Searching Interaction Concept for given Function)의 접근이다. 마지막 카테고리는 인터랙션 컨셉을 가지고 제품을 탐색해 나가는 과정 (Exploring product category with interaction concept)이다. 이때 인터랙션 컨셉을 개발하기 위한 영감을 주는 요소들은 만질수 있는 물체(tangible object), 인간의 행동(human behavior), 툴 킷(toolkit)이나 프로토타입(prototype), 인터랙티브 기술, 디자인 가이드라인 등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인터랙션에 의한 제품 컨셉 개발이 기존의 사용자 요구사항(Needs)와 기술에 의한 제품 개발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9명의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디자인 워크샵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사용자 기반 디자인(user-driven design)은 현존하는 인터페이스에서의 문제점 해결, 새로운 기능 개발을 하지만 인터랙션에서의 혁신은 힘들다는 점, 다양한 기능이 도출되어 하나의 주요 인터랙션 컨셉으로 컨트롤하기가 힘들다는 점을 알아내었다. 또한 기술 기반 디자인(technology-driven design)은 기술의 특성에 따라 디자인 패턴이 달라진다는 것과 기술만으로는 정교한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힘들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마지막으로 인터랙션이 주도적 요인이 되었을 때, 가장 많은 연결점을 가지고 사고가 진행이 되고, 이러한 특징으로 좀 더 혁신을 위한 디자인 접근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그 다음으로 인터랙션에 의한 컨셉개발 과정에서 디자인 행위(design activity)를 밝혔다. 이를 위하여 디자인 워크샵을 실시하여 16명으로부터 60개의 아이디어 발상 과정을 수집하고 근거이론(grounded theory)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인터랙션을 통한 컨셉개발 과정에서의 나타나는 사고의 과정 (thinking step)은 자극물 선택(Selecting Stimuli), 자극물 특성 탐색(Exploring stimuli), 자극물 특성 인지(Perceiving stimuli), 인터랙션 컨셉 정하기(Deciding Interaction Concept), 디자인 영역 찾기(Searching Domain), 인터랙션 컨셉 적용하기(Applying Interaction Concept)로 구성되어 있음을 밝혔다. 또한 인터랙션 컨셉이 적용되는 4가지 형태의 패턴을 발견하였다. 발견된 패턴은 인터랙션의 기능성을 특정 상황에 적용하는 것(situational problem solving), 인터랙션을 도메인 내 제품에 직접 적용하는 것(product components adaptation), 인터랙션과 물리적으로 비슷한 상황을 떠올려 적용하는 것(behavioral similarity), 인터랙션과 의미가 비슷한 상황을 떠올려 적용하는 것(semantic similarity)이었다. 파악된 디자인 행위를 바탕으로 인터랙션 주도적 디자인 프로세스를 사례 연구(case study)를 실시하였다. 사례는 방법(method)수준이 아닌 접근법(approach)수준에서 실행되었다. 이때 파일럿 테스트(pilot test)를 통하여 본 사례 연구를 준비하였으며, 본 사례 연구에서는 3년차 이상의 프로페셔널 디자이너 6명을 대상으로 3명씩 2가지 사례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하여 인터랙션 주도적 디자인에 대한 예시를 제공하였고, 실무적 고려점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인터랙션 주도적 디자인의 디자인 스페이스를 정의하고, 이 영역에서의 디자인 행위를 밝혔으며, 이를 실제로 적용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디자인 프로세스에서는 디자인영역(design domain)에 대한 정보와 인터랙션 관련 정보가 따로 존재한다는 특성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에 기반하여 인터랙션 주도적 제품 개발은 디자인 집중현상(design fixation)을 피할 수 있다라는 점, 인터랙션 컨셉이 갖고 있는 유희적(hedonic) 가치가 극대화 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는 것을 파악하였다. 또한 각 실증 연구에서의 논의점과 발견점을 종합하여 인터랙션 기반 디자인을 실행할 때의 고려점 및 권고점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지식 체계에의 공헌을 통하여 새로운 디자인 스페이스에서의 디자인 연구 및 이를 이용한 디자인 실무를 하는데 있어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D 13003
형태사항 xi, 140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맹승우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Kun-Pyo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건표
공동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un-Kyung Lim
공동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임윤경
수록잡지명 : "Interaction-driven design: a new approach for interactive product development". DIS '12 Proceedings of the Designing Interactive Systems Conference, pp. 448-457(2012)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디자인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 115-12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