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 사용자의 사회적 참여를 확장하는 제작 모델 디자인 = A design of social expanded participatory production model in the transmedia environment
서명 / 저자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 사용자의 사회적 참여를 확장하는 제작 모델 디자인 = A design of social expanded participatory production model in the transmedia environment / 임희준.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3].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508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1301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research suggests a transmedia production model of how to design a social expanded participatory experience in the transmedia environment. The user’s experience in a transmedia environment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the entire story and involvement of the various additional stories of the original show. However, this has some limitations due to the absence of direct participation roles to empower its audience to take the franchise series. The transmedia experience focuses on active, collaborative play with participants which evolves and they grow their own stories in mixed story world. The transmedia production should have a collective and playable interaction system that leads the participants to a socially expanded experience. I examine “Conspiracy For Good”, an augumented reality drama in 2010 in the Uk, “Bluebird AR”, an interactive drama from ABC in Australia, “Collapsus”, a multiplatform project by the Dutch SubmarineChannel and “The Inside Experience”, Social film project with Intel and Toshiba. This proposed design essentially consists of four elements of the transmedia experience. I also developed a transmedia production model for participatory methods of how the content expands socially. This proves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odel and the necessity of transmedia experience for user’s expanded experience. This focuses on potential transmedia producers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including television, web and mobile, and how they can evolve the transmedia environment.

본 연구는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 사용자의 사회적 참여를 확장하기 위해 모델을 디자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 사용자의 경험은 전체 스토리의 이해와 오리지널 쇼에 다양한 부가적인 스토리에 대한 관여를 강화시킨다. 그러나 프랜차이즈 시리즈에 경우 직접적인 참여 역할의 한계때문에 오디언스의 참여가 제한적이다. 트랜스미디어 경험은 혼합된 스토리 월드에서 참여자들의 적극적이고 협동적인 참여에 집중한다. 트랜스미디어 프로덕션은 사회적으로 확장되는 경험으로 참여자를 이끌어 나가기 위해 집단적인 인터랙션 시스템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Conspiracy For Good", "Bluebird AR", "Collapsus" 그리고 "Inside"에 대한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트랜스미디어 경험의 4가지 요소를 조사하였다. 또한 사회적 참여를 확장하는 트랜스미디어 제작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제안된 사회적 참여 확장형 제작모델의 타당성과 필요성에 대해 논하였다. 본 연구는 텔레비전, 웹, 모바일을 포함하는 미디어 산업의 잠재적인 트랜스미디어 프로듀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 사용자의 참여를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필요한 제작 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13015
형태사항 v, 62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Hee-Jun L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시정곤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ung-Kon Shi
공동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전봉관
공동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Bong-Gwan Jun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55-57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