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Game interface enhancement under smart-phone platform focused on touch-screen interaction = 터치스크린 인터랙션을 고려한 스마트폰 플랫폼상에서의 게임인터페이스 개선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Game interface enhancement under smart-phone platform focused on touch-screen interaction = 터치스크린 인터랙션을 고려한 스마트폰 플랫폼상에서의 게임인터페이스 개선에 관한 연구 / Yoon-Hyun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3].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5074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1300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Virtual game controllers are essential for specific game genres when the game contents are transplanted from various platforms into smart-phone platform. Virtual images are projected as game interface at the smart-phone output screen. Therefore, certain amount of space is necessarily abandoned for the controller interface projection. In addition, the functions of game contents are fundamentally restricted, thus eliciting the necessity of limited number of buttons. In this study, diverse types of interaction are researched that occur in between user and touch-screen, and adequate interactions for smart-phone game contents are extracted and analyzed. In addition, focus is placed on minimizing the number of controller buttons while embracing diverse functions at the contents level. Specifically, the study pointed out that previous virtual game controllers are a simple metaphor of traditional methods, thus limited to “tap” interaction. Analyzing fighting action game contents, tap interaction is enhanced by adding up “flick” and “multi-touch” interaction to diversify and enhance previous interaction value. Finally, a prototype is developed by ameliorating past interface and referring to intrinsic features of aforementioned types of interaction, followed by user evaluation. Previous questionnaire method is adjusted to the specific research purpos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is conducted while recording and analyzing the user-log data of fifteen repetitive experim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flick and multi-touch interaction methods are effective under smart-phone touch-screen environment beyond traditional tap-only. Furthermore, functions are maintained with minimum number of buttons while situation compatibility of user interaction is verified. It also shows that adding diverse types of interaction to the simple tap-only affords unique user experience of long-term interest and fun to the players that are beforehand restricted to the traditional tap-only. In general, the results authenticate the applicability of intrinsic fun mechanism to the smart-phone based touch-screen game interaction. The study has its implication in enhancing the traditional tap-only based virtual game controller, a simple metaphor of controllers loaded into other platforms, through proposing tailored interface design and evaluation method under smart-phone platform. Furthermore, it provides objective reference data to the designers of future game contents, interface and heuristics evaluation within the platform.

타 플랫폼에서 상용화되던 게임 컨텐츠를 스마트 폰 플랫폼에 이식하는 과정에서 게임 컨트롤러가 필요한 컨텐츠의 경우, 스마트 폰 출력화면에 게임 인터페이스를 가상의 이미 형태로 영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 폰 환경은 터치스크린 환경 중에서 화면의 제약이 심한 대표적인 환경이다. 그렇기 때문에, 게임 인터페이스를 가상의 이미지로 영사하는 과정에서 컨텐츠의 경우에 따라, 인터페이스의 버튼으로 인하여 많은 공간을 인터페이스를 위해 할당해야 한다. 그 결과, 부득이 하게 컨텐츠의 기능을 제약하여 버튼의 개수를 최소화 하는 방식을 취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터치스크린 환경 중에서, 화면크기의 제약이 발생하는 스마트 폰 플랫폼과 같은 환경에서 터치스크린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인터랙션을 접목하여 버튼의 개수를 최소화 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기능을 컨텐츠에 담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게임 컨트롤러 인터페이스가 단순히 타 기종의 컨트롤러를 모방하고 있다는 점과 그로 인하여 터치스크린 인터랙션 중, 탭(Tap) 방식에만 국한되어 있는 한계점을 찾아내어 지적하였고, 이를 개선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존 대전액션게임 컨텐츠를 분석하고 Tap 방식 이외에 Flick 과 Multi-touch 방식의 터치스크린 인터랙션을 추가적으로 접목하였으며, 인터랙션이 가지는 고유한 속성을 바탕으로 기존의 인터페이스를 개선한 프로토 타입을 개발하여 사용자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과정에서, 기존 인터페이스 평가방식인 설문지법을 개선하여, 이에 추가적으로 총 15회의 반복실험 과정에서 사용자들이 사용한 인터페이스의 사용로그를 기록 및 분석하여 보다 객관화된 데이터를 이용한 정량평가를 시도하였다.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Flick과 Multi-touch 인터랙션 방식은 Tap 방식과 더불어 터치스크린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결과가 도출 되었다. 또한 터치스크린에서 나타나는 인터랙션을 적시적소에 활용할 경우 버튼의 개수를 최소화 하면서도 기능을 줄이지 않아도 된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인터랙션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기존 Tap 방식에만 익숙했던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요인에 의한 단기적인 신선함이 아닌, 전혀 다른 재미기재와 사용자 경험을 선사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터치스크린 인터랙션 각각의 방식에 내제된 고유한 재미기재의 활용가능성을 보여 준 것이다. 본 연구는 터치스크린 스마트 폰 게임환경에서 타 플랫폼의 게임 컨트롤러를 그대로 모방하여 Tap방식의 행위만 사용하던 기존의 방식의 한계점을 다양한 터치스크린 인터랙션을 접목하여 개선했다는 점과 스마트 폰 플랫폼 특성에 적합한 인터페이스 설계방안을 제시하고 평가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나아가 본 연구의 성과자료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시행된 실험설계와 진행과정은 스마트 폰 플랫폼을 대상으로 설계 혹은 연구되는 게임 컨텐츠와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있어서 개발과 연구의 방향성 혹은 설계된 인터페이스를 평가하는 부분에서 실험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근거로 활용될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13002
형태사항 v, 65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윤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i-Hyun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지현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61-63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