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The effect of group attachment security on cross-group collaboration performance = 안정그룹애착 유형이 그룹간 협력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명 / 저자 The effect of group attachment security on cross-group collaboration performance = 안정그룹애착 유형이 그룹간 협력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Jessica S. Sung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3].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506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ITM 13008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paper uses group attachment theory and social defense theory to understand how workgroup attachment security affects cross-group collaboration performance. 675 MBAs in the United States participated in a simulation of cross-group collaboration in which their task was to manufacture a new telecommunication devic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design or a manufacturing team and those participants in each team were further randomly assigned to either group-attachment-security prime or control condition. Results indicate that cross-functional task accuracy was higher when the design team was primed with a group attachment security (vs. in the control condition). And, cross-functional task speed was slower when both the design team and the manufacturing team were primed with a group attachment security than either or neither team was primed with a group attachment security. Thus, this study highlights that there are benefits (task accuracy) as well as costs (task speed) in securely attached workgroups.

본 연구는 업무유형(디자인/생산)과 안정애착 유무가 그룹간 협력의 정확성 및 업무처리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디자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미국 중서부 대학의 675명의 MBA들이 실험 연구에 참여하였다. 새로운 텔레커뮤니케이션 장비를 만들기 위하여 실험대상자들을 임의로 디자인 팀과 생산 팀으로 구분하고, 각 팀 중에서 임의로 50% 실험대상자를 안정애착 그룹으로, 나머지 50%의 실험대상자는 안정애착이 없는 그룹으로 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디자인 팀이 안정애착을 느낄 때 협력적 업무 정확도가 가장 높았고, 디자인 팀과 생산 팀이 모두 안정애착을 느낄 경우 협력적 업무 속도가 가장 느렸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 안정애착과 그룹간 협력성과의 인과관계성을 처음으로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존의 사회 및 발달심리학 연구에서는 안정애착의 긍정적인 영향만을 강조한데 반해, 본 연구는 경영관리 관점에서 안정애착이 그룹간의 협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점을 파악하였다는 것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실무적으로 디자인 팀과 생산 팀이 협력하는 상황에는 디자인 팀이 안정애착을 느끼고 생산 팀이 안정애착을 느끼지 않을 때에 협력적 업무의 정확도를 가장 높일 수 있고 가장 빠르게 기한 내에 협력을 완료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ITM 13008
형태사항 iii, 31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성제시카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u-Jin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수진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23-29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