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지역별 영향력 및 이에 기반한 선거전략 검토:4.11 총선에서 서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gional differences of the SNS influence and coming up with election campaign strategies: the case of 4.11(2012) election in Seoul
서명 / 저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지역별 영향력 및 이에 기반한 선거전략 검토:4.11 총선에서 서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gional differences of the SNS influence and coming up with election campaign strategies: the case of 4.11(2012) election in Seoul / 안용수.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3].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499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SJ 13009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It is widely said that ‘Social Network Service’ (SNS) is rapidly gaining influences in our society recently. Especially the enhanced interactive aspect of the SNS overwhelming the internet is becoming a catalyst for changing the politics, economics and even ordinary life. In this circumstances the politicians, academia, and the press are paying attention to the role of the SNS in vote. Most of all, the characteristic of the Twitter that restricts the length of a massage in 140 words makes it possible for circulating any information almost real time. Recent studies on the SNS and elections mostly have focused on finding the mechanism how the SNS affects the elections. In Korea, Nationwide local elections in June 2nd 2010 is regarded as the first case that the SNS exerted the influences on voters. However, this study is not aimed such things, because it can’t be denied that the SNS has its influences on recent votes. Instead, this study breaks out of the existing frames to show the gap of the SNS influences. This study calculates ‘SNS Potential Influence Index’ and ‘SNS Sensitivity’, which are never introduced in any other studies. In doing so this study seeks useful strategies of the coming parliamentary and presidential elections. Regard to th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exploits the outcome of the lawmaker elections in 2012 and 2008 respectively, the ratio of the SNS users, and their support ratings of the ruling/main opposition party etc.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the SNS only in Seoul with 48 election precinct because the other regions have far below the number of the SNS users compared with Seoul. If ‘SNS Potential Influence Index’ and ‘SNS Sensitivity’ are high, it explains high probability of the SNS users’ coming to polling places more than before and the election results could become unexpected. With regards to the strategies of election campaigns, a party or candidate should put more resources in the SNS campaign than traditional offline campaign in the region where the ‘SNS Potential Influence Index’ and ‘SNS Sensitivity’ level are relatively high such as Nohwon, Gwanak. In addition to that when a party nominates a candidate in those areas, it seems to be effective to find more SNS friendly politician though he or she is newcomer in the political circle.

정치권은 물론 학계, 언론계 등이 대의정치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선거에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이하 SNS)가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특히 140자의 단문으로 유통되는 트위터는 여러 기능 중에 특히 리트윗(retweet)이라는 독특한 기능을 통해 삽시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힘을 발휘한다. 지금까지 SNS와 선거의 상관관계를 다룬 대부분의 연구는 SNS가 선거에 어떤 과정을 거쳐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의 목적은 SNS가 투표라는 정치행위에 어떤 과정을 거쳐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하려는 게 아니다. 이 연구에서는 그 동안의 연구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4ㆍ11 총선 투표 결과를 다양한 조사를 이용해 사후적으로 분석, 서울의 48개 선거구별로 SNS 영향력이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파악한다. 제18, 19대 총선결과와 연령대별 SNS 이용 비율, SNS 이용자의 투표 참여 의향 조사, 트위터 사용자의 연령대별 지지정당 비율 등을 이용해 서울 48개 선거구별로 ‘SNS 잠재영향 지수’와 ‘SNS 민감도’를 산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거전략도 수립한다. 이에 따라 값을 산출한 결과 SNS 민감도가 높은 곳은 노원갑, 송파병, 관악갑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은 앞으로 선거 과정에서 정당이나 후보자가 SNS 역량을 높여야 하는 곳으로 분류해야 한다. SNS 민감도는 높지 않지만 SNS 잠재영향 지수가 높은 지역도 나왔다. 강남 지역이 대표적이다. 이밖에 SNS 민감도나 SNS 잠재영향 지수가 모두 낮은 지역은 용산, 도봉을 등 비교적 구도심이 많은 지역이다. 지역 밀착형 인사를 공천하고, 기존 선거 운동 전략을 유지하는 게 유리하다는 게 이 연구의 분석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SJ 13009
형태사항 iv, 48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Yong-Soo A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진달용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Dal-Yong Jin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47-4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