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Method of generating 3 dimensional sounds for elevation perception = 고도감 인지를 위한 3차원 입체 음향 기술 재생법
서명 / 저자 Method of generating 3 dimensional sounds for elevation perception = 고도감 인지를 위한 3차원 입체 음향 기술 재생법 / Hyun Jo.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4463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ME 12028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performance of various sound localization cues, those are stationary sound localization cues and dynamic sound localization cues, in providing elevation impression of virtual sources displayed along the median plane was compared. Among different dynamic sound localization cues, a dynamic cue from up and down head-motion (tipping motion) wa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when sound sources were located at the frontal median plane. Listeners’ sound source localization abi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by allowing their tipping head-motion both for actual and virtual sources located at the median plane. In reproduction of virtual elevation impression along the median plane, it should be required to consider listeners’ tipping head-motion because listeners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perceived impression is not elevated but is at the actual loud speakers’ elevation position that perception is based on his/her tipping head-motion during listening sounds. One way of considering tipping head-motion is selecting configuration for loud speaker system that can minimize resultant dynamic cue induced from listener’s tipping head-motion. A stationary sound localization cue can provide virtual elevation impression to listeners only after a resultant dynamic cue for a loud speaker system is minimized. For stationary sound localization cues, sound reflection from our shoulder and torso is of minor importance. Only pinnae and head response can provide a similar or better sound localization performance compared to when both pinna and head response and shoulder and torso response were provided.

중앙면 상에서 고도감 제공에 필요한 다양한 음원 인지단서들 (정적 인지단서들과 동적 인지단서들)이 평가되었다. 다양한 음원 인지단서들 중, 머리의 위/아래 움직임으로 인한 동적 인지단서는 중앙면 중 정면에 음원이 위치할 때 사람들로부터 가장 많이 보고되었다. 중앙면 상의 음원 청취시 청취자들의 위/아래 머리움직임을 허용할 경우, 실제 음원과 가상 음원의 경우 모두 고도감 인지능력이 두드러지게 향상된다. 가상 고도감 구현에 있어서, 청자의 머리 위/아래 움직임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왜냐하면 실제 사람들은 청취 시 머리를 위/아래로 움직여 위치를 추정하고 이 머리움직임을 바탕으로 가상 음원의 고도각도가 실제 사용하는 스피커들의 고도각도와 일치함을 쉽게 예측하기 때문이다. 청취자들의 머리움직임을 고려할 수 있는 한가지 방법은 사용하는 스피커 배치를 머리의 위/아래 움직임에 따른 동적 인지단서가 최소화되는 방향으로 선정하는 것이다. 정적 인지 단서들은 스피커 시스템이 제공하는 동적 인지단서가 최소화된 이후에야 비로소 사용자들에게 가상 고도감을 제공할 수 있다. 정적 인지단서들 중에서 청취자의 어깨 및 몸통에 의한 반사 정보는 중요성이 떨어진다. 청취자들의 어깨 및 몸통에 의한 반사 정보를 포함하였을 때의 음원 위치 추정 성능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청취자들의 귓바퀴와 머리에 의한 회절 정보만으로도 전자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나은 음원 위치 추정 성능을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ME 12028
형태사항 iv, 110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조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un-Sik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윤식
공동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oung-Jin Park
공동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영진
Including Appendix : A, Entire HRIR response vs. pinna response - B, Issues on HRTF customization (individualization)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전공,
서지주기 References : p. 97-103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