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Finding information spreading and topics based clustering on Twitter = 트위터 상에서의 정보 확산과 주제별 집단화에 관한 연구
서명 / 저자 Finding information spreading and topics based clustering on Twitter = 트위터 상에서의 정보 확산과 주제별 집단화에 관한 연구 / Jung-Min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431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1203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Online social networks are ways of spreading news. Some issues in online social networks make diffusion based on lots of reasons and influence is one of those reasons. To distinguishing influence in online social newtorks, statistical techniques are used. Also, diffusion of topics in online social networks are limited by clusters in those networks. Shuffle test is a statistical method to figure out influences in online social networks. Otherwise, Jaccard index is used to find out the clusters in online social network services. Influeces in online social networks are differenct depending on the situation. Also, it is hard to spread news toward other clusters which is based on topics because people tend to mention topics only which they have interests in. We have crawled the entire Korean Twitter and get 3 billion tweets from 6.6 million users. We find out limitation of influences and clusters in online social networks with 19 keywords from political issues, entertainments issues, the name of electronic devices and other general issues. This is the work which shows the pattern and limitation of influences in Korean Twitter across topics.

오늘날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는 다양한 소식을 퍼뜨리는 도구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슈들 중 어떤 것들은 다양한 원인들로 영향력을 가지고 퍼져나가고, 다른 어떠한 이슈들은 그렇지 못하다.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이슈들의 정확한 영향력을 통계적인 방법들을 통해서 분리해 내는 것이 이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Shuffle Test와 Jaccard Coefficient 그리고 다양한 네트워크 구조 분석 등을 통해서 수행되었다. 또한 단순히 영향력의 크기와 한계를 측정하는 것을 넘어서 주제별 사용자 분화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 트위터 네트워크 상의 660만명의 사용자, 33억개의 트윗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결과적으로 한국 트위터는 정치와 연예 이슈 등으로 사용자가 분화되었음이 보여졌고, 많은 경우에 영향력이 자신이 속해있는 그룹을 넘어서지 못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한국 트위터 상에서 각 이슈들의 영향력은 시각과 주제의 특성에 따라서 시시각각 변화한다는 사실을 밝혔고, 이러한 이슈들을 한정된 수의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언급하는 형태인 echo chamber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음을 발견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트위터에서의 영향력과 사용자 층의 분화 echo chamber 생성과 파괴에 대한 시점을 파악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했다는 1차적인 의미와 일부 컨텐츠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분화된 그룹을 넘어서는 사건이 발생할 때 트위터 상에서 이슈의 영향력도 크게 상승한다는 일부 정성적 결론에 도달했다. 추후 연구를 통해서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요소들에 대한 추가적 논의가 이루어질 것이며, 구조적인 해석을 넘어서는 의미상의 해석들이 이루어진다면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사용자의 행동패턴 연구에도 의미를 가질 것이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12033
형태사항 v, 36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정민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Won-Jae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원재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31-33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