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무역수지, 교역조건, 그리고 재정정책의 반응 = Trade balance, terms of trade, and fiscal policy response
서명 / 저자 무역수지, 교역조건, 그리고 재정정책의 반응 = Trade balance, terms of trade, and fiscal policy response / 김지섭.
발행사항 [서울 : 한국과학기술원, 2008].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4196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SM 08090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5055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GSM 08090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terms of trade shock on the government fiscal policy. Specifically, I observed the different fiscal responses coming from the terms of trade shock among the trade surplus- and deficit-countries. When it is assumed that the consumption of a trade deficit country weighs more on the imported goods and service than on the domestically produced goods and services, consumption level of the trade deficit country will respond more sensitively to the import price changes coming from the terms of trade shock and suffer more from the consumption fluctuation than do the trade surplus country. In contrary, since the consumption of a trade surplus country weighs lower on the imported goods and services, the consumption variability coming from the import price changes will be small. Since every government has incentive to reduce the total output volatility in the short-run, government`s fiscal policy will act to smooth the output volatility originated from the terms of trade shock and consumption volatility. The empirical tests sampled from the OECD member countries prove this hypothesis. It is also shown empirically that the terms of trade shock influence only the short-run fiscal stances, not the middle- or long-term fiscal policies. Finally, it is shown that the output volatility can be smoothed by expanding government spending. Especially, the effectiveness of fiscal expansion on reducing the output volatility is enlarged when the terms of trade is more volatile.

본 연구에서는 교역조건의 변화가 정부의 재정지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한다. 특히, 무역흑자국가와 무역적자국가를 구분하고 이들 두 국가 집단의 정부재정지출이 교역조건의 변화에 어떤 상이한 반응을 보이는지 살펴본다. 무역적자국가는 자국에서 생산된 재화보다 수입재화에 대한 소비비중이 높다고 가정할 때, 무역적자국가의 소비는 교역조건의 변동으로부터 유발된 수입재화의 가격변동에 무역흑자국가보다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다. 반면, 무역흑자국가는 수입재화에 대한 소비비중에 낮기 때문에 수입재화의 가격변동으로 인한 소비변화가 작을 것이다. 정부는 단기적으로 총생산의 변동성을 줄일 유인이 있다고 가정하면, 정부는 교역조건의 변화로 유발된 소비변동으로부터 총생산 변동을 완화(smooth)시키는 방향의 재정정책적 반응을 할 것이다. OECD 회원 국가를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이러한 사실을 지지해주고 있다. 또한, 교역조건의 변화는 단기재정정책에만 영향을 미치지, 중장기 재정정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끝으로 총생산의 변동성은 확장적 정부지출을 통해 완화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특히, 교역조건의 변동이 심한 국가일수록 확장적 재정정책이 총생산의 변동성을 더 효과적으로 줄여줌을 실증분석결과 알 수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SM 08090
형태사항 iii, 54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Ji-Seob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이창양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Chang-Yang Lee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전공,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52-54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