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한국 개별 기업의 고유 변동성에 대한 횡단면 분석 = Cross-sectional analysis of idiosyncratic volatility for individual firms in Korea
서명 / 저자 한국 개별 기업의 고유 변동성에 대한 횡단면 분석 = Cross-sectional analysis of idiosyncratic volatility for individual firms in Korea / 김민국.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412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SM 1201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등록번호

9004571

소장위치/청구기호

서울 학위논문 서가

MGSM 12014 c. 2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paper investigates individual firm’s idiosyncratic volatility in Korean stock markets. I measures monthly idiosyncratic volatility of an individual firm using Fama-French (1993) three-factor model based on Korean stock markets and alternative three-factor model which is suggested by Yoon, Koo, Eom, and Han (2009). The result shows that idiosyncratic volatilities estimated by two models are similar, and I find no evi-dence of upward trends of idiosyncratic risk reported by Campbell et al. (2001) in Korea. The result also shows that individual firm’s idiosyncratic volatility trends up or down over the sample period on significant portion of firms. The portion of firms with increasing idiosyncratic volatility trend and decreasing trend varies over time, and most of the firm’s idiosyncratic volatility rejects the hypothesis of unit root. Using variables which represent the performance of each firm, I find the increase in each firm’s idiosyncratic volatility is the result of negative change of firm’s performance. Further evidence suggests that firms with an increasing idio-syncratic volatility tend to have low idiosyncratic volatility when they were first listed.

이 논문은 한국 시장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 개별 기업들의 고유 변동성의 움직임에 대하여 분석해 보았다. 각 개별 기업들의 고유 변동성은 한국 시장에 기반한 파마-프렌치 (Fama and French, 1993) 모형과 윤상용, 구본일, 엄영호, 한재훈 (2009) 에 의하여 제안된 대안적 3요인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되었다. 1991년에서 2011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두 모형을 통해서 추정된 개별 기업들의 고유 변동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Campbell, Lettau, Malkiel and Xu (2001) 에 의하여 발견된 고유 변동성의 상승 현상은 한국 시장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각 개별기업들의 고유 변동성은 시간에 따른 추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세를 가지고 있는 기업들의 비율이 상당히 높았다. 나아가 상승 추세를 가지는 기업들과 하락 추세를 가지는 기업들의 비율은 시간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보였으며, 고유 변동성의 시계열 자료는 대부분의 기업들에서 단위근의 존재를 기각하였다. 각 기업들의 실적을 나타내는 여러 변수들을 사용하여 실적과 연관지어 고유 변동성의 추세를 분석해 보았을 때, 기업들의 실적이 부정적인 방향으로 변할 때, 고유 변동성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가적인 분석을 통하여 고유 변동성이 상승하는 기업들의 경우, 초기 상장시의 고유 변동성이 낮았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SM 12014
형태사항 iii, 50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Min-Gook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진용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in-Yong Kim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경영공학과,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46-48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