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Disparity graph retargeting for stereoscopic contents creation = 입체영상의 디스패리티 그래프 리타게팅
서명 / 저자 Disparity graph retargeting for stereoscopic contents creation = 입체영상의 디스패리티 그래프 리타게팅 / So-Young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398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11028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With the increased popularity of stereoscopic 3D, ensuring visual comfort during prolonged viewing has be-come a very important issue. However, finding the proper depth for 3D scenes for both effective storytelling and comfortable viewing, has mainly been a trial-and-error process. The efficient creation of stereoscopic contents requires a mechanism that allows convenient manipulation of depth to enhance storytelling while freeing the artists from worrying about visual discomfort that may be caused by the depth layout. We introduce a powerful, high level disparity graph editing technique. In our approach, disparity graphs that initially fall outside the visual comfort range or have excessive velocity are globally optimized into the desired visual comfort range. This optimization process utilizes temporal gradients and strives to preserve the original shapes of the disparity graphs. Further local editing of the retargeted graph and smooth depth continuity across scenes can be achieved with 1D Laplacian motion warping. Our techniques help artists freely add creative inputs according to the storytelling mood without concern for the visual comfort range.

3D 입체영상의 인기가 올라갈 수록 영화 시청시의 시각적 편안함에 대한 이슈는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3D 입체영상에서 깊이 인지는 일반적인 깊이 인지 방법과 다르다. 입체영상은 다른 이미지를 각각 왼쪽 오른쪽 눈에 비추어 이미지의 차이 통해 깊이를 인지한다. 디스패리티는 왼쪽과 오른쪽 두 이미지의 수평적 차이를 의미한다. 뇌는 그 두 이미지에서 상대적 깊이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깊이를 인지하는 것이다. 이때, 디스패리티가 눈과 두 이미지의 지점까지의 각도가 1.5도 이하가 되어야 시각적으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만약 디스패리티가 적절한 범위를 넘어서면 하나의 이미지로 합쳐지지 않거나, 피로를 느끼게 된다. 그러나, 3D씬 안에 효과적인 스토리텔링과 편안한 시청, 모두 적절한 디스패리티 값으로 조율하기는 쉽지 않다. 효율적인 입체영상 제작에는 시각적 피로를 걱정하지 않으면서 아티스트가 스토리텔링을 위해 깊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하이레벨의 디스패리티그래프 조절 방법에 대해서 소개한다. 초기의 디스패리티 그래프는 시각적 안전영역을 벗어나고 과도한 변화량, 속도로 인해 관람객의 피로를 줄 수 있다. 글로벌한 최적화 과정을 통해 시각적 안전영역 안으로 그래프를 변화시킨다.이 최적화 과정은 시간적 그라디언트를 활용하여 초기 디스패리티 그래프의 형태와 특징을 최대한 보전하려고 한다. 더 나아가 리타게팅된 그래프의 부분적 수정도 가능하다. 이것은 아티스트가 좀더 효과적인 디자인과 스토리텔링을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씬간 연결 때에는 1D라플라시안 모션 와핑을 통해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하여 급작스런 디스패리티 변화를 방지함으로써 시각적으로 편안함을 이룰 수 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11028
형태사항 iii, 24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소영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un-Yong Noh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노준용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References : p. 23-24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