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특허 심사 품질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개방형 심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hod for enhancing patent examination quality: focusing on the open examination platform
서명 / 저자 특허 심사 품질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개방형 심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hod for enhancing patent examination quality: focusing on the open examination platform / 이일구.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377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KSE 1200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tremendously stacked prior arts and a number of recent increasing patent applications may be reasons that would have degraded the quality of patent examinations. There are, therefore, concerns which registered patents without verified quality would be obstacles when attempting to accept new technology or when innovating in the new era of technology. In this regard,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the Office”) develops and implements numerous systems to manage and improve the quality of patent examinations. In 2010, the Office and prior art search institution reported a 98.5% correct decision rate for registrations and approximately 99 points as regards the quality of prior art investigations, respectively. Nonetheless, lawsuits regarding infringements based on patents of low quality brought by ‘Patent Trolls’ have increased. It is becoming more difficult to enter the market, as the Patent Trolls possess what is known as a ‘patent thicket.’ This situation is also becoming a significant threat to business management and national industrial development. A citation rate at patent invalidation trials that exceeds 70% may be one of the reasons that anti-patent believers assert that the patent system is useless. Moreover, the decision rate for the registering examination exceeds 70%.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improve and research the current examination system, quality measurement method and quality management method to create and promulgate a reliable system. In addition, an objective and reliable measurement of the examination is necessary due to the lack of a systemized method of quality measurements. Without suitable management and an improvement of the measurement system, it will be impossible to create a dependable and authorized examination process. The current examination evaluation of the Office is conducted by its internal personnel, which may obstruct the objectivity of the examination quality. In addition, less critical aspects, such as improper descriptions and mistakes, are applied when attempting to find out the errors associated with the examination, although more substantive and significant aspects such as novelty and non-obviousness, to be based on prior art surveys, should be the primary consideration. Finally but no less importantly, the evaluation results may differ depending on who serves as evaluator when the subjectivity of the evaluator is involved in the absence of an objective and reliable measurement system.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compare the error rate of the Office with those of foreig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s. In order to resolve the aforementioned issues related to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s in the patent examination system, this thesis proposes the following: (i) a quality simulation method for measurements, management and improvements pertaining to patent examinations, (ii) a quality feedback method to hold patent examinations as a means of checking and controlling those participating in the patent examinations, and (iii) an infrastructure optimization method with which to formulate a new patent examination system that is appropriate for the era of open innovation. These three methods allow cooperation and cross-checks among examination reviewers, prior art investigators and patent office examiners through an open platform with diversified evaluators from examinations to quality evaluations as well as feedback. The following benefits can be expected: first, the quality simulation method for the patent examination applies a method which includes (i) randomly ordering patent applications and test patterns which are already publicly-known technologies, (ii) inputting the patterns made by (i) into the examination system, and (iii) measuring whether the predictions and the evaluation results actually match. Using this method, objectivity and consistency regarding these examinations can be acquired, which will improve the measurement of the patent examination quality. Second, the quality feedback method will allow the open community to deliver reliably measured evaluations to external institutions for the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the evaluation quality. It will also guarantee the fairness and reliability of the examinations. Third, the patent evaluation infrastructure optimization method expands the role of the open community to achieve fair and reliable patent examinations as well as; quality evaluations and feedback. This can facilitate cooperation and cross-checking between those using open platform for examinations and quality evaluation processes. According to mock simulation results after implementing the tenets suggested here, the results of a quality evaluation were 35% (weighting not applied) and 49.2% (weighting applied). Importantly, the quality evaluation result of the conventional method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77%.

최근 특허 출원량과 선행 기술 문헌량이 급증함에 따라 특허 심사 품질이 저하되어 저품질의 등록 특허가 기술 혁신의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특허청에서는 특허 심사 품질 관리와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2010년도에 특허청과 선행 기술 조사 기관은 각각 98.5%의 특허 결정 적합율과 약 99점의 선행 기술 조사 품질을 갖는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특허 괴물의 저품질 특허에 기반을 둔 침해 소송 건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고, 특허 괴물들이 소유한 특허 덤불로 인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는 시장 진입 장벽은 기업 경영과 국가 산업 발전에 중대한 위험 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70%를 초과하고 있는 특허 무효 심판 인용율은 특허 무용론자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심사 등록 결정율도 70%를 초과하고 있으므로 현재의 특허 심사 시스템과 품질 측정 및 품질 관리 방법의 개선점을 분석하고 극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품질을 측정할 수 없으면 품질의 관리와 개선이 불가능하므로,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심사 품질 측정 방법과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특허청 심사 평가 시스템은 1) 특허청 내부 인력이 평가를 하고, 2) 심사 오류 측정이 선행 기술의 검색에 기반을 둔 신규성과 진보성 판단 등 실체적이고 중요한 사항보다는 기재불비, 법리 적용 실수 등 덜 중요한 사항에 치우치고 있으며, 3)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되어 평가자에 따라 평가 결과가 다르고 측정된 오류율은 외국 특허청의 오류율과 비교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술한 종래 심사 평가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1) 특허 심사 품질 측정·관리·개선 방안으로서 심사 품질 시뮬레이션 방법과 2) 특허 심사 참여 주체 간 견제 방안으로서 심사 품질 피드백 방법 및 3) 개방형 혁신 시대에 적합한 특허 심사 시스템 구축 방안으로서 특허 심사 인프라 최적화 방법을 제안한다. 이 세 가지 방법은 열린 심사 리뷰어와 선행 기술 조사관 및 특허청 심사관 등으로 심사의 주체가 다양화된 오픈 플랫폼에서 심사와 품질 평가 및 피드백을 통해 공동 협력과 상호 견제를 가능하게 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특허 심사 품질 시뮬레이션 방법은 심사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공지·공용 기술을 테스트 패턴으로 이용하여 특허 출원들과 랜덤하게 섞어 심사 시스템에 입력하고 테스트 패턴에 대한 심사 결과와 예측 결과의 동일 여부를 측정하여 심사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특허 심사 품질을 측정함에 있어 객관성과 통일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둘째, 특허 심사 품질 피드백 방법은 오픈 커뮤니티가 측정한 특허청 심사 품질을 특허청 외부의 별도 기관으로 전달하여 심사 품질을 관리하고 개선하게 하여 심사 품질의 공정성과 신뢰성의 확보가 가능해진다. 셋째, 특허 심사 인프라 최적화 방법은 오픈 커뮤니티의 역할을 특허 심사와 품질 평가 및 피드백으로 확대하고 특허 심사 오픈 플랫폼 참여 주체 간의 심사와 품질 평가 과정에서 협력과 견제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마크 시뮬레이션 (Mock Simulation) 결과에 따르면 제안한 방법에 의한 품질 평가는 35% (가중치 미적용)와 49.2% (가중치 적용)로 측정되었지만, 종래의 방법에 의한 품질 평가 결과는 77%로 큰 차이를 보였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KSE 12005
형태사항 vi, 53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Il-Gu Lee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박성필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ung-Pil Park
수록잡지명 : "지식재산연구". 지식재산연구, v. 6. no. 4, (2011)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지식재산대학원프로그램,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46-47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