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Improvement of light-harvesting efficiency in dye sensitized solar cell using silica beads embedded TiO2 nanoporous structure = 실리카 미세 입자를 이용한 산화티타늄 나노 구조체 염료 감응형 태양 전지의 효율 향상
서명 / 저자 Improvement of light-harvesting efficiency in dye sensitized solar cell using silica beads embedded TiO2 nanoporous structure = 실리카 미세 입자를 이용한 산화티타늄 나노 구조체 염료 감응형 태양 전지의 효율 향상 / Yoon-Soo Rho.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3572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ME 1202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effect of various sizes of silica beads (0.3, 0.6, 0.9, 1.2, 1.5μm) embedded in TiO2 nanoporous structure on dye sensitized solar cell is investigated by both of experiments and theoretical simulation. Silica bead can act as a good scattering center with its real part of effective refractive index 1.5~1.6. The proper concentration is found at 10 wt% in TiO2 nanoporous structure. The maximum efficiency 6.06% occurs at 300nm size of beads where bare cell shows 5.04%, which is relatively 20.4% increased. The efficiency trend versus size of silica beads has a peak at 300nm and decreasing as larger size. The same trend as experimental result was depicted by computational simulation with Mie theory. Volume total cross section concept and solar spectrum was accommodated for better accuracy.

본 연구에서 실리카 미세 입자를 이용하여 산화티타늄 나노 구조체의 빛 흡수율을 높임으로서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 향상에 관한 실험과 그에 대한 이론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산화티타늄에 흡착되어있는 염료의 양이 많을수록 태양전지의 효율 향상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부피당 표면적의 비가 높은 나노 구조체를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수 나노미터의 작은 사이즈의 미세 입자는 가시광선 대역의 빛의 경우 산란되는 것이 없이 덩어리 물질로 느끼고 바로 지나가게 되어, 빛 흡수율이 대단히 낮은 편이다. 따라서 실리카 미세 입자를 첨가하여 빛 산란효과를 통해 태양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0.3, 0.6, 0.9, 1.2, 1.5 μm 사이즈의 실리카 미세 입자를 통해 산란 입자의 사이즈에 따른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0.3 μm 의 크기에서 가장 좋은 효율인 6.04% 그리고 미세 입자를 섞지 않은 기준 셀은 5.06%로 비교 효율 20.4%의 향상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0.3 μm이후로 미세 입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점점 낮은 값의 효율이 나오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 경향성은 단락 전류 값에서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FF(Fill Factor)의 경우 기준 셀의 경우 71.7%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그 이후에 실리카 미세 입자가 섞인 경우 모두 이보다 낮은 67~69%를 보였다. 또한 IPCE(Incidnet Photon to Current Efficiency)를 측정한 결과, 미세 입자를 섞은 경우 모든 파장 대에서 높은 값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 이론적 해석을 위해 미(Mie) 산란 이론을 통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미 산란 이론은 멕스웰 전자기 장이 구 형태의 입자와 상호작용하며 나타나는 산란 현상을 해석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매우 작은 입자부터 큰 입자까지 다양한 크기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이다. 이 이론을 이용하여 해석한 결과 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0.3 μm 에서 가장 좋은 효율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ME 12021
형태사항 vii, 44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노윤수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eung-Hwan Ko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고승환
Including Appendix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기계공학전공,
서지주기 References : p.41-43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