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Looking into SaTReC to track korean space development: from the only one to one of them = 한국 우주개발의 제도화: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사례연구
서명 / 저자 Looking into SaTReC to track korean space development: from the only one to one of them = 한국 우주개발의 제도화: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사례연구 / Seung-Mi Chung.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2].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353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STP 1200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thesis examines Korean space development through a case study of SaTReC. Tracking the changes in SaTReC’s roles and position, it aims to show how Korean space development and policy have become institutionalized and what kinds of characteristics they have. SaTReC is a good case to understand the change of Korean space development because it was the first Korean space specialized research institute and performed a pivotal role. On the basis of documentary analysis, this thesis argues that Korean space development and policy were started by an autonomous research group, SaTReC, not by the government and evolved into a government-led during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During this evolution there occurred changing roles and positions of SaTReC. This process is divided to three period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aTReC: 1989-1993, 1994-1999, and post-1999. In the first period, SaTReC was the representative institution playing various roles in Korean space development, relatively isolated from society. With extension of SaTReC’s research area and ability, SaTReC experienced the confrontation with KARI which caused government-led space development and the loss of some of its previous roles. The third period saw KARI replacing SaTReC as the representative space research institute, with further division and specialization of roles. In this process,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general public have risen as key actors of Korean space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SaTReC was exposed to other institutes,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Exploring Korean space development through the trajectory of SaTReC, this thesis contributes to the stimulating discourse about Korean space development.

1989년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와 한국항공우주연구소의 설립과 함께 한국의 본격적인 우주개발이 시작 되었으나, 지금까지 한국의 우주개발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은 한국 우주개발의 시작과 함께 설립된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한국 우주개발의 제도화와 그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인공위성연구센터의 역사는 특성과 역할 변화에 따라 1989-1993, 1994-1999, 1999 이후의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시기의 인공위성연구센터는 한국 우주개발의 대표 연구기관으로 연구관리 및 개발 계획 수립, 대중 홍보에 이르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정부와 사회의 요구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하지만 두 번째 시기를 거치면서 인공위성연구센터의 연구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인공위성 사업을 시작하고자 하는 한국항공우주연구소와 대립하게 되었고 이는 인공위성연구센터가 정부와 대중의 요구에 노출되기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정부는 우주개발에 직접 뛰어들기 시작하였고, 정부주도의 우주개발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한국 우주개발의 제도화 과정에서 인공위성연구센터는 연구만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변화하였으며 정부와 일반 대중이 한국 우주개발에서 중요하게 떠올랐다. 저자는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의 우주개발은 정부 주도가 아닌,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라는 자율적인 연구조직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제도화 과정 속에서 정부 주도 사업으로 진화해 왔음을 주장하려고 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STP 12004
형태사항 vi, 60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정승미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o-Young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소영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서지주기 Referances : p. 50-55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