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activity at the national, regional, and individual leve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promoting entrepreneurship = 국가별, 지역별, 개인별 기업가적 활동 수준에 대한 결정요인 분석 및 기업가정신 증진을 위한 정책적 함의에 대한 연구
서명 / 저자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activity at the national, regional, and individual leve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promoting entrepreneurship = 국가별, 지역별, 개인별 기업가적 활동 수준에 대한 결정요인 분석 및 기업가정신 증진을 위한 정책적 함의에 대한 연구 / Young-Hwan Kim.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3205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DIE 1101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Entrepreneurship research ha recently been highlighted by many researchers. However, the field of entrepreneurship, as a disciplinary research field, is not more than 30 years old. With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as a discipline, the focus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has moved from psychological aspects that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toward behavioral and cognitive aspects of the entrepreneur that emphasize the entrepreneurial process and its surrounding context. Especially, the research domain of entrepreneurship needs practical studies that can help foster and promote entrepreneurial activities in the public policy region, rather than creating formulas and theories within academic territory and describing entrepreneurial phenomena. Therefore, this thesis explores the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activities at the national, regional, and individual level in public policy perspectives and suggests policy solutions for promoting entrepreneurship in the structural and holistic policy framework for entrepreneurs and policy makers. First, the importance of public policy as a determinant of national entrepreneurial activity has attracted the interest of many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empirical examinations on the issues at the country level with a structural and holistic policy framework, due to the diversity of policy measures as well as limitation of data. Therefore, we examine the effects of public policy through finance, labor, and tax policy measures on the entrepreneurial activity of the 28 countries in the OECD. As a result, the level of entrepreneurial activity and public policy measures are different across the geographical region as well as the countries. We also find that government expenditure on economic affairs and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entrepreneurship in the short-run and in the long-run, and that an increase in public expenditure on start-up incentives enhances the level of entrepreneurship and GDP, we find that suggestion of country-specific entrepreneurship policy considering the different phases of economic development is important in public policy for entrepreneurship. Second, the triple helix of the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relationship is accepted as an important driver of regional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On the other hand, the habitat provides an important ecological environment for entrepreneurial activities. However, despite their important and valuable contributions in understanding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empirical explorations are rarely found regarding their role and interrelations among university-industry-government-habitat in entrepreneurial activities. Therefore, we investigate the role of the triple helix and habitat in the entrepreneurial activities of the U.S., which are measured by firm dynamics - firm birth, death, and the turbulence rate. We find different determinants of entrepreneurship activities and interrelations from the triple helix and habitat depending on the regions and their level of entrepreneurship. While university and government R&D expenditure do not affect firm birth rate consistently, the industry R&D and habita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ntrepreneurial activity of a region. However, we find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and government R&D investment in the promotion of entrepreneurial activity,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and industry R&D investment, and university R&D and venture capital investment are non-complementary. We also find that the univers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llaboration among the three spheres of the triple helix in promoting entrepreneurial activity in high entrepreneurial regions. Third, the importance of an individual nascent entrepreneur in new firm creation and economic growth has recently been highlighted by many researchers. However, due to the lack of longitudinal data sets on the nascent entrepreneurs, there have been few empirical explorations to find the determinants of two outcomes of the nascent entrepreneur: new firm creation and disengagement. Therefore, using the PSED II data set, we examine the effects of opportunity-, resource-, and motivation-related factors on these two outcomes of the nascent entrepreneur. The results show that nascent entrepreneurs who are strongly motivated to escape from current unsatisfactory employment conditions have a higher possibility of new firm creation than the others. On the other hand, the absence of any significant problems related to opportunity, resource, and motivation of the nascent entrepreneur raises the rate of disengagement. Through the results of these three analyses and some best practices in policy implementation for promoting entrepreneurship which are related to our derived results, we can contribute to entrepreneurship policy literature suggesting a more customized and structural public policy which takes into account the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activities at national, regional, and individual level.

기업가정신 연구는 최근 많은 연구자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지만, 독립적인 학문 분야로서의 역사는 30년을 채 넘지 못한다. 하지만 그 동안 기업가정신 연구는 많은 발전을 이룩하여 왔고, 기업가정신 연구의 초점도 초기의 기업가 개인의 성격 등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에서 기업가적 과정과 이를 둘러싼 환경적 요소들을 강조하는 기업가들의 행동적, 인지적 측면의 연구로 변화되어 왔다 .특히, 기업가정신과 창업이 경제 발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부각되면서, 단순히 학문적인 울타리 안에서 공식이나 이론을 개발하거나 기업가적 현상을 묘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공공 정책 차원에서 기업가적 활동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만한 실용적인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학위논문에서는 공공 정책의 차원에서 기업가적 활동을 국가, 지역, 그리고 개인의 세 가지 수준으로 구분하여 각 수준별 기업가적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기업가들과 정책 입안자들에게 구조적이고 종합적인 기업가정신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로, 많은 연구자들과 정책 입안자들은 국가 수준의 기업가적 활동의 결정요인으로서 공공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자료의 부족과 정책의 다양성 때문에 구조적이고 종합적인 정책 분석틀을 사용한 국가별 기업가정신 실증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OECD의 28개 회원국들의 기업가적 활동에 대한 자금, 노동, 세금 정책 수단의 효과를 분석한다. 그 결과, 기업가적 활동과 공공 정책의 수준은 개별 국가뿐 아니라 서유럽과 동유럽,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북미 등의 지역별로도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경제와 교육 부문에 대한 정부 지출은 단기적으로나 장기적으로 모두 기업가정신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창업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는 기업가정신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한편, OECD의 28개 회원국을 기업가정신과 경제 수준에 따라 네 그룹으로 나누어 공공 정책 변수들을 비교해 본 결과, 각 그룹별로 정책 변수의 수준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룹별로 기업가정신을 증진하기 위한 공공 정책을 차별화하여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로, 대학, 산업, 정부의 세 부문의 협력 관계는 지역의 혁신과 기업가정신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세 부문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 요소 역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기업가정신 증진에 있어서 대학, 산업, 정부의 협력 관계와 상대적인 역할을 강조한 실증적 논문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창업 기업 수, 폐업 기업 수, 창업 및 폐업 기업 수의 합으로 표현된 미국의 지역별 기업가적 활동에 있어서 대학, 산업, 정부의 역할과 이를 둘러싼 환경적 요소의 역할을 살펴본다. 그 결과, 지역에 따라, 그리고 기업가정신 수준에 따라, 대학, 산업, 정부 및 환경적 요소가 기업가적 활동에 미치는 주요 영향 요인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대학 및 정부의 연구개발 지출은 창업률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산업 부문의 연구개발 지출과 환경적 요소는 지역의 기업가적 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한다. 한편, 정부와 산업 부문 간 연구개발 지출, 대학의 연구개발 지출과 벤처캐피탈 투자의 경우에는 창업률에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지 않지만, 대학과 정부의 연구개발 지출 간에는 시너지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기업가정신 수준이 높은 지역에서는 기업가정신 증진을 위한 대학, 산업, 정부 간의 협력 관계에 있어 대학의 역할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로, 많은 연구자들은 기업 창업 및 경제 발전에 있어서의 초기 기업가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초기 기업가들에 대한 장기적인 자료 수집의 부재로 초기 기업가들의 창업 혹은 기업가적 활동의 중단이라는 두 가지의 최종 선택에 이르게 되는 과정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SED II 자료를 이용하여 초기 기업가들의 창업 혹은 기업가적 활동 중단의 선택에 대한 기회, 자원, 동기부여 관련 요인들의 효과를 알아본다. 그 결과, 현재의 불만족스러운 고용 상태를 벗어나 초기 기업가로서 새로운 자기 고용 상태에 진입하려는 동기부여가 강한 초기 기업가들의 창업률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높게 나타난다. 반면, 기회, 자원, 동기부여의 어떤 요인들에 문제가 존재하든 초기 기업가들의 기업가적 활동 중단의 확률을 높이지는 않는다. 이러한 국가별, 지역별, 개인별 기업가적 활동에 대한 실증적 분석과 분석 결과와 관련된 기업가정신 증진을 위한 실제 정책 집행 우수 사례들을 통해, 본 학위논문은 최종적으로 구조적이고 종합적으로 기업가정신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DIE 11011
형태사항 viii, 156 p. : 삽화 ; 30 cm
언어 영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한글표기 : 김영환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Tae-Young Yang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양태영
학위논문 학위논문(박사) - 한국과학기술원 : 산업및시스템공학과,
서지주기 References : p.136-151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