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반잠수식(B1) 모바일 하버를 위한 자동창고의 크기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션 = A size simulation of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for a Semi-Submersible(B1) Type Mobile Harbor
서명 / 저자 반잠수식(B1) 모바일 하버를 위한 자동창고의 크기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션 = A size simulation of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for a Semi-Submersible(B1) Type Mobile Harbor / 김대환.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3189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OSE 11014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volume of the world`s container transportation has been increasing. To serve this transportation need, the size of the container carrier is getting larger. The global ports are required to deepen the waterways as well as to prepare infrastructure to serve these super-size container carriers. However, few ports around the world could meet the requirements. To solve these difficulties, the concept of the Mobile Harbor has been developed. An onboard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AS/RS) has been proposed for the B1 type Mobile Harbor to maximize the container throughput within the limited space of the Mobile Harbor. A scenario of operations and freight movements of the B1 type Mobile Harbor is prepared and the storage size of the B1 type Mobile Harbor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is estimated. The size of the Mobile Harbor and the size of the AS/RS has also been estimated. The optimized size of the Mobile Harbor could be proposed. To verify and recalculate the size from estimation, Delmia QUEST which is powerful process-simulation tool has been used. 3D modeling has been made and all logics of each element are implemented. The logics made the 3D model system operate as a really world ASRS automatically. The final estimated Size was decided through twice design change, it was capable of storage of all accumulated containers within 30 days of simulation time.

반잠수식(B1) 모바일 하버의 임시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자동 창고 시스템 개념을 모바일 하버에 활용하는 개념을 소개하고, 이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도출 하였다. 또한, 새로운 개념인 반잠수식(B1) 모바일 하버의 운영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반잠수식(B1) 모바일 하버에 적합한 운영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대상 항만을 선택하여 컨테이너선 별 처리 물량을 조사함으로써 운영 시나리오에 따라 컨테이너의 환적, 수입, 수출 처리 물량을 각각 18.8%, 5%, 16.5%로 예상하였다. 모바일 하버에 도입될 자동 창고의 크기를 예측하기 위하여, 반잠수식(B1) 모바일 하버와 컨테이너선 그리고 피더선을 정적인 상황으로 가정하고, 입고량과 출고량을 선형적으로 고려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반잠수식(B1) 모바일 하버의 재고 예측량은 8400 TEU로 계산되었다. 이 크기를 검증하기 위하여 Delmia QUEST를 이용하여 3D 프로세스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3D 모델링을 만들고 각 요소의 Logic을 결정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반복 수행하여 설계 변경을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1,200TEU의 크기로 결정되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OSE 11014
형태사항 vii, 79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Dae-Hwan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한순흥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oon-Hung Han
수록잡지명 : "반잠수식(B1) 모바일 하버에 도입될 자동창고 시스템의 크기 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해운물류학회지, 제27권 제1호(통권69호), pp.79-98(2011)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해양시스템공학전공,
서지주기 참고문헌 : p.74-77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