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미술관 마케팅 방안으로서의 트위터 활용에 대한 연구-경기도미술관을 대상으로. = Exploring potential of using twitter in the museum as a marketing tool : A case analysis of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서명 / 저자 미술관 마케팅 방안으로서의 트위터 활용에 대한 연구-경기도미술관을 대상으로. = Exploring potential of using twitter in the museum as a marketing tool : A case analysis of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 김세용.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3070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11015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Socially serving as public institution, museums have been endeavoring to increase the public people`s chances to participate and reach them. Through technologies of new media, everyone became able to participate museum-oriented activities freely from restraints of time and space. Such changes of the concept of museum increasingly enabled museums to meet the needs to reflect public people`s views and communicate with them. Social media is, therefore, expected to play the role to share issues of visitors` connection with the museum they visit and to attract the possible visitors as well. Also social network services, responding to up-to-date social trends, are utilized as a tool to communicate with new spectators and as means of marketing to find and receive future customers. Around the world, museums now have a great number of followers on `Twitter` and recognize it as an effective platform for convey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with people. Focusing on the Twitter followers of GMoMA, this study examines characters and needs of museum on-line communities and researches on how to increase the substantial visitors` interests and participation with the help of social network services. Out of 4,430 Twitter followers of GMoMA, only 274 followers were found to be active in responding and participating through re-twitting, mentioning and listing. By investigating the Bio data, the researcher found that 256 followers mentioned words relating with art. Also, with the questionnaire for the followers of GMoMA done to understand their needs, the researcher found this group of Twitters consists of a number of potential visitors with high interest in art. Yet such interest was turned out to relate more with contents about art pieces and artists than one-dimensional information on exhibitions or educating program held by galleries. The possibility of attracting future visitors through Twitter was practically identified by the experimen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has us recognize Twitter as a space of communication as community-based culture and shows that the conventional art gallery-oriented marketing strategies should be expanded to cover the wide range of today`s exhibitions.

새로운 미디어 기술은 누구라도 시간과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뮤지엄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하였다. 뮤지엄은 기술을 통해 참여 뮤지엄 개념을 도입하고 대중의 시각을 반영하여 그들과 소통하려는 시도를 지속적으로 해왔다. 이러한 관점에서 소셜 미디어는 뮤지엄과 관람객의 관계성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관람객을 개발하는데 수단으로서 기대되며 이중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미래의 잠재고객을 개발하고 수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관계마케팅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뮤지엄은 트위터 안에서 팔로워와 관계를 맺고 그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소통하는 효과적인 플랫폼으로서 트위터를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미술관의 트위터 를 중심으로 형성된 뮤지엄 온라인 커뮤니티의 속성 분석과 니즈를 찾아내어 그들을 실질적인 뮤지엄 관람자로 흥미와 참여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효과 증대를 위한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 경기도미술관 트위터 팔로워 4,430명 중 리트윗, 멘션 그리고 리스트를 통해 반응과 참여를 보인 팔로워는 274명에 불과했고 Bio를 조사하여 미술, 예술 그리고 문화 등의 관심도와 그와 관련된 직업군의 팔로워 256명을 추출해 낼 수 있었다. 또한, 설문조사를 시행해 일반적인 팔로워들의 인구통계학적 정보뿐 아니라 미술관에 대한 관심도에 따라 그들의 다른 니즈를 파악할 수 있었다. 경기도미술관 팔로워들은 대부분 현재 미술에 대한 관심은 어느 정도 있으나 직접적인 활동과 참여로 이어지지 않고 있는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미술관에서 제공하는 전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일차원적인 정보보다는 미술작품이나 작가에 대한 내용 그리고 미술관과 소통하는 것이 미술관 트위터를 효과적으로 만들 것이라 대답했다. 미술관은 이들을 미술관 트위터를 팔로우함으로써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자 하는 문화적 커뮤니티로 인식해야한다. 실제로 이를 바탕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트위터를 활용한 참여 증진과 관람객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를 통해 미술관은 앞으로 트위터를 커뮤니티 기반으로 한 문화적 소통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 인식하고 미술관을 위한 마케팅 수단에서 벗어나 확장된 기능의 미술관으로서 작용해야 한다는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11015
형태사항 110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Se-Yong Kim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정화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Jung-Wha Kim
부록 수록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참고문헌 : p.99-102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