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진동’ 개념으로 고찰하는 예술과 테크놀로지의 유기적 관계: 바그너의 <니벨룽의 반지> 공연에서 디지털 시각 미디어의 결합사례 연구 =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echnology based on the concept of "oscillation": A study on the cases of integrating digital visual media in Wagner
서명 / 저자 ‘진동’ 개념으로 고찰하는 예술과 테크놀로지의 유기적 관계: 바그너의 <니벨룽의 반지> 공연에서 디지털 시각 미디어의 결합사례 연구 =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echnology based on the concept of "oscillation": A study on the cases of integrating digital visual media in Wagner / 박준석.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3066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11011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e pervasive and prevailing use of visual media resulted in the apparent changes of stage arts, having us expect many new future prospects in this digital era. It was none other than German opera composer Richard Wagner who conceived and concreted a clear vision of integrating visual media with stage arts, and this vision is named Gesamtkunstwerk by himself. Applying this vision directly to his works, he composed Der Ring des Nibelungen. The ideal of Gesamtkunstwerk is realized in diverse ways, accompanied by the 20th century’s development of technology afterwards. Now in the 21st century Wagner’s ideal gained the innovative instruments of digital visual media that makes possible whole new ways of expression. Studying on today’s realizations of Der Ring des Nibelungen, therefore, we can have opportunities to examine ‘digital’ realizations of Gesamtkunstwerk. I chose the concept of ‘oscillation’ by Bolter and Gromala(2003) in order to examine such realizations with a logical unity. This concept of ‘oscillation’ lets us discover that every form of media oscillates between transparency and reflectivity. Also with this concept, we can view art and technology as cultural elements intimately related with each other in an organic system. Combining the media-fusing ideal of Wagner and the importance and potential of Oscillation theory, I found that Der Ring des Nibelungen initiated the oscillation of stage arts. So this study, based on the concept of Oscillation, discovers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echnology, focusing on the selected cases of integrating Wagner’s Der Ring des Nibelungen performances with digital visual media in the 21st century; the researcher found that this organic relationship redefines and restructures the digital era’s stage as Uncertainty of Stage and Dual Interface, also showing that the mythical world of the opus of Wagner, with the aid of digital visual media, can now be digitally staged in transparency-oriented ways again. Such discoveries on media aesthetics and on interface design of this study can be further restated in a more visual than literal way, considering the necessity to ‘observe and measure’ oscillations from media, as suggested by many precedent discussions of media aesthetics. So from such a necessity, the models of oscillation are conceptually designed and suggested by the researcher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is study;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expanded form of oscillation as ‘Oscillation Cloud’ can be found in this century’s stagings of Der Ring des Nibelungen.

시각 미디어의 광범위하고 주도적인 사용은 무대 예술에 명확한 변화를 가져와, 이 디지털 시대에 다양한 새로운 미래의 전망을 가능하게 한다. 무대 예술과 시각 미디어를 융합하는 확실한 비전을 세우고 구체화한 인물은 다름 아닌 독일의 오페라 작곡가 바그너였다. 이 이상을 바로 그의 작품에 적용하기 위해 그는 《니벨룽의 반지》를 창조했다. 총체예술론의 이상은 20세기의 기술 발달과 함께 다양한 방식으로 실현되었다. 이제 21세기에 바그너의 이상은 디지털 시각 미디어라는 혁신적 도구를 확보하여 새로운 표현 방식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오늘날의 《니벨룽의 반지》의 실연을 고찰하면 총체예술론의 디지털적 실현을 관측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에서 논리적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해 볼터와 그로맬라(2003)의 진동 개념을 선택하였다. 이 `진동oscillation` 의 개념은 모든 미디어 형식이 투명성과 반성성 사이에서 진동함을 발견하게 해준다. 또한 이러한 개념으로 예술과 테크놀로지를 유기적 계안에서 밀접히 연관된 문화 요소로 파악할 수 있다. 바그너의 미디어 융합의 이상과 진동 이론의 잠재성을 결합하여, 연구자는 《니벨룽의 반지》가 무대 예술의 진동을 개시한 작품임을 밝혔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진동 개념에 기초하여 예술과 테크놀로지 간의 유기적 관계를 디지털 시각 미디어와 결합한 《니벨룽의 반지》의 공연사례를 선별, 분석하여 밝혀내었다. 이러한 유기적 관계는 디지털 시대의 무대를 `무대의 불특정성`과 `이중의 인터페이스`로 재정의하고 재구조화하며, 바그너 작품의 신화적 세계는 디지털 시각 미디어의 도움으로 다시 투명성 위주로 디지털 방식으로 무대에 구현된다. 이러한 미디어 미디어 미학과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련된 연구 결과는 활자적 방식을 넘어 시각적 방식으로 재진술될 수 있는데, 이는 미디어 미학에서 논의된 진동성의 `관찰과 측정`의 필요에 의한다. 따라서 이러한 필요에 의해 본 연구는 진동 모델을 개념적으로 디자인하고 제안하여 연구 결과의 더 효과적인 이해를 도모했다. 즉, 본 연구는 `진동 구름`으로서의 확장된 진동 형태가 현대의 《니벨룽의 반지》공연에서 드러남을 밝힌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11011
형태사항 vi, 99 p. : 삽화 ; 30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Jun-Seok Park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김이경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Yi-Kyung Kim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참고문헌 : p.94-99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