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주요정보
문화원형으로서 불의 속성 분석 및 그 활용 : 한국의 불 문화원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about fire’s attribution as a cultural archetype and its application
서명 / 저자 문화원형으로서 불의 속성 분석 및 그 활용 : 한국의 불 문화원형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about fire’s attribution as a cultural archetype and its application / 안민정.
발행사항 [대전 : 한국과학기술원, 2011].
Online Access 원문보기 원문인쇄

소장정보

등록번호

8022467

소장위치/청구기호

학술문화관(문화관) 보존서고

MGCT 11003

휴대폰 전송

도서상태

이용가능(대출불가)

사유안내

반납예정일

리뷰정보

초록정보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ttributes of fire as a cultural archetype by finding the commonalities of fire for humanity and categorizing the archetypes which Koreans have by setting regional limits. Through this study, the criteria to distinguish the Korean archetypes of fire is suggested and an understanding of the archetypes of fire is increased. After comparing existing categories about fire, fire has been identified to have 3 characteristics; ascending fire, descending fire and circulate/resurrectional fire in this thesis. This research focuses on ascending fire. Ascending fire has been classified into 3 types. First is fire as a foundation of creation and universal composition which signifies fire as a guide to the material and spiritual world. Second is fire as truth and intelligence which shows that fire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by pottery fabrication, metal refinement, instrument of sacrificial rites, economic activity, alchemy, science, etc. Last is fire as wish which intends purification, enemy repulsion, and praying for abundance and prosperity. This type shows the expanded meaning of fire from a ceremonial concept to a concept of coexistence with human life. Descending fire mostly appears as a symbol of death, destruction, punishment and sexual urge. Circulate/resurrectional fire is a cyclic motility that reiterates between ascent and descent which is connected to immortality. Based on the above categorization, several festivals are examined to understand how the archetypal characteristics of fire is being applied in modern society because that has many intrinsic cultural attribute. This is because festivals embody many intrinsic cultural attributes. Jinju Namgang Yudeung Festival, Jeju Jeongwol Daeboreum Fire Festival, and Las Fallas in Spain are chosen to compare and analyze the use of fire. Through this examination, a future direction on the application of fire as a cultural archetype is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문화원형으로서의 불의 속성을 분석하기 위해, 인류가 불에 대해 갖는 공통적인 원형을 발견함과 동시에 한국이라는 지역적 한계를 설정하여 한국인들이 불에 대해 갖는 사고의 문화원형을 알아보고 유형별로 이를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불 문화원형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 불의 문화원형을 종합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불의 성격은 크게 상승의 불, 하강의 불, 순환과 재생의 불의 세 가지로 나누었으며, 상승의 불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상승의 불은 세 가지로 다시 나뉘는데, 창조와 우주의 구성 원리로서의 불은 불이 빛과 열을 통해 인간에게 물질적이며 정신적인 세계를 열어준 것을 가리킨다. 진리와 지혜로서의 불은 인간이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불이 도기 제작, 금속의 제련, 제의의 시행, 경제활동과 연금술, 과학기술의 발전 등 다각도로 기여하였음을 보여주었다. 기원과 소망으로서의 불은 정화와 벽사의 기능과 이를 통한 풍요와 번영의 기원이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불이 제의적 개념에서 인간 생활에 공존하는 개념으로 의미가 확장되었음을 보여준다. 하강의 불은 주로 죽음과 파괴, 처벌, 성적 충동 등의 상징으로 주로 나타나며, 순환과 재생의 불은 소멸과 창조 사이에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주기적인 운동성으로 드러나서 불멸의 개념으로까지 연결된다. 앞의 분석을 바탕으로, 현대 한국사회에서 불의 문화원형적 성격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문화의 본질적 요소를 많이 담고 있는 축제를 살펴보았다. 진주남강유등축제, 제주 정월대보름 들불축제와 스페인 라스 파야스 축제를 비교하여 축제 프로그램에 활용된 불의 양상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가늠해보았다.

서지기타정보

서지기타정보
청구기호 {MGCT 11003
형태사항 vi, 86 p. : 삽화 ; 26 cm
언어 한국어
일반주기 저자명의 영문표기 : Min-Jung An
지도교수의 한글표기 : 우성주
지도교수의 영문표기 : Sung-Ju Woo
부록 : 1, 설문조사지(한국의 불 이미지에 대한 현대인의 인식). - 2, 설문조사지(제주 들불축제에서 나타나는 불의 이미지).
학위논문 학위논문(석사) - 한국과학기술원 : 문화기술대학원,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81-84
QR CODE

책소개

전체보기

목차

전체보기

이 주제의 인기대출도서